[주주총회 프리뷰]박철완·차파트너스, 금호석화 '주가 상승'에 의기투합박철완 전 상무, 경영권 재도전 혹은 엑시트? 동맹 배경 관심
김위수 기자공개 2024-02-22 09:09:37
[편집자주]
주주총회 안건은 기업의 미래를 담고 있다. 배당부터 합병과 분할, 정관변경과 이사 선임 등 기업의 주요한 결정은 주주총회에서 매듭짓게 된다. 기업뿐 아니라 주주들의 의견을 드러내는 장치이기도 하다. 특별·보통결의 안건들은 주주의 구성에 따라 통과되기도, 반대의견에 부딪혀 무산되기도 한다. 더벨이 주주총회 안건이 불러올 기업의 변화를 분석해보고 주주 구성에 따른 안건 통과 가능성 등을 전망해 본다.
이 기사는 2024년 02월 20일 15시00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그간 금호석유화학의 주주총회에서 고배를 마셔온 박철완 전 금호석유화학 상무(사진)가 올해 꺼내든 카드는 행동주의 펀드와의 연합이다. 행동주의 펀드로 포트폴리오를 쌓아온 차파트너스와 손을 잡았다.박 전 상무가 차파트너스와 동맹을 맺은 일은 이례적이다. 박 전 상무는 앞서 두 차례 주주활동을 의결권을 위임한 일이 없다. 직접 나서 입장문을 내며 주주활동 전면에 나서왔다
◇재계 인맥이 연결고리?
박 전 상무와 차파트너스의 동맹은 양측의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졌기에 성사됐다는 평이다. 최대주주지만 금호석유화학에 불만이 많은 박 전 상무와 행동주의 펀드를 운용해 수익을 내고자하는 차파트너스의 입장에는 일치하는 부분이 크다.

박 전 상무와 차파트너스의 구체적인 인연은 표면 위로 드러나지 않았다. 주주행동을 제안하기 이전에는 서로 알던 사이가 아니었다는 것이 양측의 주장이다.
단 둘 사이의 연결고리는 적지 않게 포진해 있다. 이전부터 아는 사이일 수도 있고, 몰랐던 사이여도 알기 쉬운 환경이다. 우선 차파트너스를 이끄는 차종현 대표는 고(故) 설경동 대한전선 창업주의 외손자로 조현식 한국앤컴퍼니 고문의 처남이다. 재계에서 인맥을 갖추기 쉬운 환경이라는 설명이다.
차파트너스 역시 재벌가에 끈을 만들기 용이한 입장이다. 관련업계 관계자는 "자산운용사는 기업에 투자하는 입장"이라며 "투자자이다보니 최대주주들과 각을 세우는 일도 있지만 우호적인 관계를 맺고 있는 경우도 심심치 않게 찾아볼 수 있다"고 말했다.
◇주총 동맹, 양측이 얻게 될 이득은
차파트너스가 주주행동을 벌이는 대가로 박 전 상무에게 수수료 등 별도 보수를 받지는 않는 것으로 파악된다. 양측이 동맹관계를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는 결국 '주가 상승'에 있다.
박 전 상무와 차파트너스가 손을 잡았다는 사실이 알려지기 전인 7일 차파트너스는 금호석유화학의 주식 7179주를 매입했다. 취득가는 주당 14만2500원으로 차파트너스가 들인 금액은 약 10억원 수준이다. 금호석유화학 전체 지분율에 있어서 차지하는 비중은 0.03%에 불과하다.
금액 자체는 적지만 수익을 내기에는 충분하다는 것이 차파트너스의 입장이다. 2022년 사조오양을 대상으로 한 주주행동을 펼쳤을 때도 차파트너스가 펀드를 통해 투자한 금액은 10억~20억원 수준으로 추산된다.
무엇보다도 경영권 분쟁으로 주목받아 온 금호석유화학 주주총회에서 주주제안을 통과시킬 경우 대표적인 포트폴리오로 삼을 수 있게 된다. 금호석유화학은 그간 차파트너스가 주주활동을 펼친 기업들보다 규모가 크다. 지난해 3분기 기준 금호석유화학의 자산총계는 연결 기준 7조9414억원이다.
박 전 상무가 얻을 이익에 대해서는 물음표가 남는다. 주주제안대로 금호석유화학의 자사주를 전량 소각할 경우 박찬구 금호석유화학 회장 측이 유사시에 활용할 '방어막'이 없어지는 셈이 된다. 이를 통해 다시 경영권에 도전하기 위한 발판으로 삼을 수 있다는 설명이다. 반면 재계 일각에서는 박 전 상무가 주가 부양을 통한 성공적인 엑시트를 노리고 있다고 보고 있기도 하다.
박 전 상무는 거버넌스 개선과 주주 권리를 보호하기 위해 최대주주로서 주주권을 행사한다는 입장이다.
박 전 상무는 공식 보도자료를 통해 "개인 최대주주로서 회사의 기업거버넌스 개선, 소액주주의 권리 보장, 경영진에 대한 감시와 견제를 위해 필요한 권한을 차파트너스에 위임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동인기연, 필리핀 바타안경제특구청과 협력 강화
- [i-point]태성, 임대공장 계약 "복합동박 장비 초도물량 대응"
- [상호관세 후폭풍]중국·베트남 생산비중 높은 HS효성, '고관세' 영향 불가피
- [중견 철강사 생존전략]동국산업, 손익 '엇박자'…영업흑자에도 순손실 300억
- [Red & Blue]무상감자에 관세 전쟁까지...'신저가' 찍은 KG모빌리티
- [석유화학 숨은 강자들]유니드, 고ROE와 상반된 PBR…중국공장 신설효과 기대
- [현대차그룹 벤더사 돋보기]에스엘 이사회 '오너 3세' 주축…'역할 분배' 뚜렷
- NH증권 점프업리그, 해외로 확장
- [중견 철강사 생존전략]KG스틸, 그룹내 '유동성 창출' 중심 부상
- KB국민은행, 가판대 대폭 조정…한·중 펀드에 힘
김위수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아이티켐 IPO]자본잠식 해소에도 차입금 부담은 '여전'
- [원일티엔아이 IPO]수소 투자 드라이브, 후계자 입지 강화 계기될까
- [발행사분석]롯데리츠, 마트 담보 공모채 발행…조달비용 감축 기대
- 토스증권 보드 멤버에 CFO 합류, 흑자 유지·미국 사업 '의지'
- 코스피 대어와 밸류다운
- [지투지바이오 IPO]적자 늪에 자본잠식, 믿을 건 '계약 뿐'
- [아이티켐 IPO]상장 준비 착착…이사회 정비·RCPS 정리, 실적까지 '호조'
- [thebell League Table]시장 위축되자 딜 몰렸다…DB금투 1위 수성
- [thebell League Table]여전채 주관 경쟁 시작, KB증권 선두 유지할까
- [CFO 워치]이주랑 카카오페이증권 경영관리총괄, 과제는 '비용 관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