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P모간·씨티증권, 클래시스 매각주관사로 선정 글로벌 IB 복수 선정해 매각 속도, 프리미엄 포함 3조대 '빅딜'
감병근 기자/ 임효정 기자공개 2024-10-24 08:11:09
이 기사는 2024년 10월 22일 14:06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코스닥 상장사인 미용의료기기 제조업체 클래시스 매각이 조만간 본궤도에 오를 전망이다. 최대주주인 사모투자펀드(PEF) 운용사 베인캐피탈이 매각주관사 선정 작업을 마무리하는 등 관련 절차에 속도를 내고 있다.22일 투자업계에 따르면 베인캐피탈은 클래시스 매각을 위한 절차를 진행하고 있다. 최근 매각주관사 선정 작업이 마무리된 단계로 전해진다. JP모간과 씨티글로벌마켓증권이 공동 매각주관사를 맡는 방안이 유력한 상황이다.

인수 당시 1만5000억원 수준이던 클래시스 주가는 전일 종가 기준으로 6만1900원을 기록했다. 시가총액은 4조원에 근접한 상태다. 단순 계산으로 경영권을 제외한 베인캐피탈 보유 지분의 시장 가치만 2조4000억원 수준이라는 계산이 나온다.
업계에서는 경영권 프리미엄 등을 포함할 경우 이번 베인캐피탈의 보유 지분 매각가가 3조원 수준에 이를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글로벌 투자은행(IB) 두 곳을 매각주관사로 선정하는 것도 조단위 '빅딜'을 원활히 수행하기 위해서라는 분석이다.
클래시스는 'K-뷰티'에서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꼽히는 미용의료기기 분야에서 핵심 기업으로 손꼽힌다. 대표 제품인 '슈링크' 등을 내세워 국내 뿐만 아니라 동남아시아, 남미로 시장을 확대하고 있다.
작년 연결기준으로 매출 1801억원, 영업이익 896억원을 기록했다. 베인캐피탈 인수 직후인 2021년 말과 비교하면 매출은 79%, 영업이익은 73.3% 증가했다.
작년 상각전영업이익(EBITDA)은 936억원이다. 보유지분 61.57%에 대해 3조원대 거래가 이뤄질 경우 적용되는 EBITDA 멀티플은 40배 이상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키워드로 본 이재용 회장 2년]반도체가 촉발한 위기, 그룹 사장단 거취 '폭풍전야'
- [글로벌 파이낸스 2024]신한은행, 최적의 우즈베키스탄 진출 전략 모색
- [글로벌 파이낸스 2024]삼성비나보험, 20년 노하우 '고객 중심' 서비스 차별화
- [보험사 할인율 영향 점검]농협생명, 듀레이션 갭 축소에 지급여력 개선
- [DB손해보험 밸류업 점검]총주주환원율 35% 제시, 자사주 정책 부활할까
- [글로벌 파이낸스 2024]"본점의 글로벌 사업개발 데스크 역할 수행"
- [저축은행 CEO 연임 포커스]'연임 앞둔' 전찬우 한투저축 대표, 장수 CEO 합류할까
- [글로벌 파이낸스 2024]"뉴욕지점 설립 경험, 런던지점 신설에 녹인다"
- [글로벌 파이낸스 2024]"BNK만의 노하우로 우즈벡 MFO 시장 선도할 것"
- 신한금융 "총주주환원율 50% 달성, 충분히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