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O 제도 대격변]'유명무실' 의무보유 확대...단타 제동 가능할까②물량 선배정 위해선 확약 필수…실효성엔 '의문'
윤진현 기자공개 2025-01-31 08:29:30
[편집자주]
2024년 자본시장 밸류업 프로그램이 발표된 뒤에도 국내 주식시장은 좀처럼 살아나지 못하고 있다. 이에 2025년 금융당국은 기업공개(IPO) 제도와 상장폐지 요건을 대폭 손질했다. 더벨은 이번 금융당국의 개선안, 특히 IPO 제도의 구체적인 변화 내용과 시장 반응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자 한다.
이 기사는 2025년 01월 24일 07시30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금융당국이 기업공개(IPO) 시장의 과열을 막고자 '의무보유 확약' 확대 카드를 꺼냈다. 기관과 정책 펀드 등 투자자가 확약을 설정해야만 물량을 우선 배정하도록 했다. 만일 기관의 확약 비중이 기준치를 하회하면 주관사가 물량 중 1%를 반년간 보유해야 한다. 투자자와 주관사 모두 부담이 커지는 형태다.단순히 확약을 강제하는 방향성에 의문 부호가 붙는다. 증권업계 관계자들은 최단기간 확약인 '15일'에 투자자들이 몰릴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한다. 장기적인 성장성과 주가 상승 가능성에 배팅하는 투자 분위기가 형성되지 않는 이상 극적인 변화가 쉽지 않다는 지적이다.
◇투자자 의무보유 비중 목표치 40%…주관사 부담도 확대
금융당국이 단기 차익 목적의 IPO 참여 과열을 바로잡기 위한 해법으로 '우선 배정 제도'를 도입한다. 기업의 성장성을 보고 상장 후 일정 기간 동안 의무 보유하는 기관 투자자들에게 공모 물량을 선배정하는 제도에 해당한다.
원활한 제도 안착을 위해 오는 7월부터 연말까진 공모 물량의 30%를 우선 배정한다. 이후 2026년부턴 40%로 상향한다는 입장이다. 사실상 기관투자자와 정책 펀드 등 공모주 투자자의 의무 보유 비율이 40%가량이 유지되도록 이같은 조치에 나선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
현행 공모주 배정 비율상 기관 투자자는 전체 공모 물량 중 최소 20% 최대 50%의 물량을 부여 받는다. 이 물량 중 30%(내년 40%)를 의무 보유 확약을 설정하는 기관에 먼저 배정하겠단 의미다.
게다가 금융당국은 기관투자자 외 참여자인 정책펀드도 확약을 설정해야만 공모 물량 별도 배정 혜택을 부여하는 방향을 확정했다. 그간 하이일드펀드, 코스닥벤처펀드 등의 정책펀드는 공모 물량의 5~25% 정도를 별도 배정받는 혜택을 받아왔다. 만일 15일 이상의 확약을 걸지 않으면 일반 펀드와 동일하게 취급될 전망이다.
이번 우선배정안으로 인해 증권사의 압박도 커질 전망이다. 기관 의무보유 확약 물량이 40%에 미달하면 주관사에 보유 의무를 부과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공모 물량의 1%를 취득한 후 6개월간 보유하는 제도를 의무화한 탓이다.
IB 업계 관계자는 "그간 업계 관계자들과 논의되지 않은 조치인데 결국 밸류에이션 과정에 보다 힘을 실으라는 의도로 풀이된다"며 "주관사에 이같은 의무를 지우면 보다 책임감 있게 공모 과정을 진행할 것이란 기대감도 담긴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지난해 확약 비중 6.9% 불과…15일에 확약 집중 '전망'
물론 시장에서 자진 의무보유 확약을 통한 장기 투자 필요성도 언급된 것도 사실이다. 한국거래소가 지난 2023년 6월부터 상장일 가격제한폭을 기존 90~200%에서 60~400%로 확대하면서 의무보유 확약 미설정이 본격화했다. 사실상 공모가의 4배까지 수익을 얻을 수 있어 투자자들이 단기차익을 우선시 하게 됐다는 의미다.
그럼에도 지난해 의무보유확약 비중을 고려할 때 과중한 수준이란 분석이 지배적이다. 전체 상장사의 기관확약 평균치는 2021년(33.2%) 이래 2022년 22.2%, 2023년 12%, 2024년엔 6.9%까지 내려왔다. 지난해 코스피 7곳이 21.4%의 확약 비중을 기록한 반면 코스닥의 경우 4.8%로 현저히 낮아 이같은 결과가 나왔다.

확약 기간에 따른 가점을 대폭 늘리면서 기관의 고민은 더욱 깊어지게 됐다. 금융당국은 기존 3개월에서 6개월로 늘리겠다고 밝혔다. △6개월 7점 △3개월 5점 △1개월 3점 △15일 2점 등으로 구분된다.
그간 유명무실했던 15일 확약에 힘이 실릴 것으로 여겨진다. 최저 기준에 맞춰 물량을 받으려는 모습이 관측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이 경우 단기성 투자 수요를 완전히 바로잡기는 쉽지 않다는 분석이 나온다.
단순히 확약을 늘리는 방향성이 맞는지를 두고 의문부호가 붙는 이유다. 투자자의 입장에서 주가 상승 가능성이 높으면 의무보유확약을 걸어 다량의 물량을 보유하려 할 것이다. 문제는 이 기조가 안착되지 않은 시장에서 보유 시기만을 늘리는 방향성이 실효성이 있는지를 두고 우려가 제기된다.
실제로 금융당국의 집계치상 2024년 IPO 77개 종목 중 74개(약 96%)에서 기관투자자가 상장일에 순매도를 택했다. 증권업계 관계자는 "단기성 투자가 주가 된 공모주 시장이 기형적이라는 평가에 동의한다"면서도 "단순히 의무 보유를 늘리도록 해 시장 분위기가 바뀔 수 있을지는 미지수"라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미술품 증권신고서 분석]아티피오, 투자증권 정정 후 통과…핵심은 '배당소득세'
- [i-point]소룩스 "주가하락 반대매매 탓, 임상·합병 추진 계속"
- 파인밸류운용 꽂힌 PGT…2차전지 리튬염 생산 본격화
- [i-point]아이티센 "금 품귀 현상, 조각투자·개인거래 등 대안 주목"
- 무뇨스 현대차 사장, 첫 타운홀 미팅…'3H 청사진' 의미는
- '현대엔지 시공' 신광교 클라우드시티 '반도체 수요 겨냥'
- 에스이인터, ‘젤라또피케’ 브랜드 안착…사업 다각화 순항
- [에이유브랜즈 IPO]무신사 플랫폼 동반성장, 브랜드 발굴 '성공작' 나올까
- [주주총회 프리뷰]주주서한 받은 농심, '기업가치 정상화' 요구 배경은
- [Company Watch]현대지에프홀딩스, 재무 청사진 '순차입금 20% 감축'
윤진현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Korean Paper]미래에셋 포모사본드 발행 성공…해외사업 '반등' 호재
- [Deal Story]실수요 결집 롯데칠성, 캡티브 잔치서 '군계일학'
- [IPO 모니터]롯데글로벌로지스, 피어그룹 '업사이드' 훈풍 잡을까
- 대만 공략 나선 미래에셋증권, '포모사본드' 데뷔한다
- 사무라이본드 6년만에 복귀 KT, 일본 투자자 만난다
- [IB 프로파일]글로벌 '정통 IB' 개척 1세대, 원준영 씨티증권 전무
- [IPO 모니터]스팩도 밸류 할인 '뉴노멀'…삼성9호 합병 완주 '방점'
- [Deal Story]HL만도 은행빚 공모채로 갚는다…차입 다각화 '방점'
- 제이알글로벌리츠, 공모채 예외 규정 적극 활용한다
- 현대차증권의 '성장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