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 생활가전 영업이익률 사상 첫 두자릿수 판매 증가·마케팅비 효율적 집행 영향…역대 최대 매출액 달성할듯
김혜란 기자공개 2021-01-11 08:08:32
이 기사는 2021년 01월 08일 18:01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LG전자 생활가전(H&A) 부문이 지난해 역대 최대 매출액을 달성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H&A 부문 영업이익률이 사상 처음으로 두 자릿수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통상적으로 H&A사업의 경우 4분기에 마케팅비용이 대거 집행되며 실적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지만 이번에는 비용절감에 성공한 점도 실적 개선에 기여한 것으로 분석된다.8일 LG전자는 지난해 4분기(10~12월) 연결회계기준 매출이 18조7826억원, 영업이익 6470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발표했다. 분기 매출이 18조원을 넘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할 수 있었던 건 H&A사업본부가 역대 최고 성적을 내면서다. LG전자가 사업부문별 실적을 공개하진 않았지만 업계에서는 H&A사업부문의 지난해 4분기 연결회계기준 매출이 사상 처음으로 5조원을 넘어섰을 것으로 추정한다.
지난해 초부터 이어진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확산사태로 억눌렸던 수요가 급격히 되살아나는 '펜트업(pent-up) 효과', 집에서 머무르는 시간이 늘어난 '집콕' 트렌드 확산 등이 생활가전 판매가 늘어난 배경으로 분석된다.
업계에서는 H&A부문 매출이 지난해 누적 기준으로는 약 22조원을 달성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영업이익은 2조원대 중반수준으로 추산된다.
2015년부터 지난해까지 H&A 사업부문 실적추이를 들여다보면 H&A 매출이 꾸준히 성장세를 이어왔다는 점이 눈에 띈다. 2015년 H&A사업부문 매출은 약 16조6000억원이었다. 6년 만에 매출이 33%가량 성장한 셈이다.
H&A사업의 경우 영업이익과 영업이익률도 매해 새 기록을 경신하고 있다. 2015년 5.7%였던 영업이익률은 이듬해 7%대로 상승한 뒤 2018년 9.3%를 달성했다. 지난해 말엔 영업이익률이 11%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영업이익률이 두 자릿수를 기록하는 건 이번이 처음이다.
지난해 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이 3%가량 늘어난 것에 비해 영업이익은 같은 기간 22.5% 증가한 영향이 컸다. 2019년 말 영업이익은 약 2조원을 기록했으며 지난해 말 H&A사업부문 영업이익은 약 2조4500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업계 관계자는 "4분기엔 크리스마스와 블랙프라이데이가 있고 새해를 앞둔 시점이라 전 세계적으로 가전업계가 마케팅 비용을 확 늘린다"며 "하지만 전년 동기 대비 마케팅 비용을 크게 줄여 비용을 효율적으로 관리한 덕분에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LG전자 H&A 부문의 경우 북미뿐 아니라 유럽 등 거래하는 통화가 다양해 환율변동 리스크도 큰 부담이 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이 밖에 TV사업을 담당하는 HE사업본부도 LG전자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TV가 글로벌 시장에서 인기를 끌면서 매출 4조원을 돌파할 것으로 점쳐진다. HE본부의 경우 온라인 판매비중이 지난 3분기 30~50% 증가했는데 이번에 얼마나 온라인이 매출 상승에 어느 정도 기여했을지도 관전포인트다.
매출 순위로 세 번째인 전장사업이 4분기 들어 적자폭을 줄였을 것으로 예측되는 점도 긍정적이다. LG전자는 내년 3분기부터 해당사업의 흑자전환이 가능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더스트리
-
- [Company Watch]첫 삽 뜬 대한그린파워 프로젝트, 중장기 수익구조는
- [코스닥 주총 돋보기]감사위 도입 삼진, 삼성 출신 중용 이어간다
- [모빌리티 人사이드]현대차, '외부 인재' 돋보인 첫 E-GMP 전기차 출시
- [두산그룹 구조조정]지게차 매각 검토하는 ㈜두산, 밥캣 매각 선제 조치일까
- 김승연 회장 복귀 앞둔 한화그룹, 부회장 2인 행보는
- [항공업 구조조정]조원태 회장도 어쩌지 못한 ‘제동레저’, 성과없이 결별
- [이사회 분석]고려아연, 감사위원 분리선출·여성이사 진입
- [한진그룹 경영권 분쟁]부결 예상되는 HYK의 정관변경안, 강행 배경은
- [오너십 시프트]'새 주인 1년' 레드로버, 거래재개 가능할까
- '세포배양 배지' 엑셀세라퓨틱스, 기술성 평가 통과
김혜란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이사회 모니터/LG전자]직군은 다변화…나이·성별 다양성 확보할까
- 매각 무산 엠트론 UC사업, 우여곡절 끝 LS전선 품으로
- [이사회 모니터/LG전자]기타비상무이사에 집중된 권한
- [이사회 모니터/LG전자]CEO-의장 분리했지만 지주사 임원 의장은 한계
- [이사회 모니터/LG전자]변혁의 10년, 구본준→구광모 체제
- [Company Watch]"비메모리 비중 확대" 원진 SFA 부회장 선구안 빛볼까
- 삼성·LG전자의 이례적 M&A 행보
- 쪼갰던 LS ITC, 일렉트릭이 인수한 이유는
- '호실적' 서울반도체 배당성향 확대
- 5%대 영업이익률 회복한 서울반도체, 성장세 이어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