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밸류, 주식형펀드 1.5조도 ‘위태’ [자산운용사 경영분석]②주식형펀드 설정액 4년새 1조 이상 감소…올해 수익률 반등 ‘고무적’
이민호 기자공개 2021-02-25 12:59:36
이 기사는 2021년 02월 23일 08:02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한국투자밸류자산운용 주식형펀드 설정액이 지난해에만 3000억원 이상 감소했다. 시그니처 펀드인 ‘한국밸류10년투자1(주식)’에서 약 1300억원이 빠져나가는 등 대부분 펀드에서 자금유출이 지속됐다. 다만 일임계약금액은 보험사 자금 유치에 성공하며 오랜 기간 이어온 감소세를 끊어내는 데 성공했다.23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한국투자밸류자산운용의 지난해말 전체 펀드설정액은 2조6201억원으로 2019년말보다 20.2% 감소했다. 2017년말 3조6083억원이었던 점을 감안하면 3년 새 1조원 가까이 줄어든 것이다.

전체 펀드설정액의 58.4%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주식형펀드에서 자금유출이 지속됐다. 지난해말 주식형펀드 설정액은 1조5290억원으로 2019년말보다 17.7% 감소했다. 2016년말 2조6721억원이었던 주식형펀드 설정액은 4년 만에 1조원 이상 줄었다.
시그니처 펀드인 ‘한국밸류10년투자1(주식)’에서 지난해 한 해 동안 1305억원이 빠져나갔다. 지난해말 이 펀드 설정액은 3821억원이다. 이 펀드는 2006년 한국투자밸류자산운용 출범과 함께 이채원 전 대표를 주축으로 설정됐다. 국내 가치주펀드의 대명사로 불리며 한때 1조5000억원이 넘는 메가펀드로 위상을 공고히 했던 점을 고려하면 크게 쪼그라든 것이다.
급격한 자금유출에는 수익률 부진이 바탕이 됐다. theWM에 따르면 이 펀드의 이번달 19일 대표클래스 기준 최근 5년 수익률은 2.89%에 불과해 동일유형(일반주식) 내 상위 99.76%에 머무르고 있다. 다만 올해 들어 우수한 수익률을 거두고 있는 점은 고무적이다. 연초 이후 수익률은 11.95%로 동일유형 내 상위 7.00%에 올라있다.
지난해말부터 올해초까지 이어진 가파른 국내증시 상승국면에서 그동안 성장주에 밀려 상승폭이 작았던 전통적 가치주들의 상승폭이 커진 혜택을 본 것으로 풀이된다. 여기에 시장 트렌드에 부합하도록 가치투자 개념을 확장시켜 포트폴리오 종목수를 늘린 점도 한몫했다.
이외 주식형펀드에서도 전반적인 설정액 감소가 잇따랐다. ‘한국밸류10년투자배당[자](주식)’에서 지난해 291억원이 감소했고 ‘한국밸류10년투자소득공제(주식)’에서는 156억원이 줄었다. ‘한국밸류10년투자중소형[자](주식)’의 경우 112억원 감소했고 ‘한국밸류10년투자100세행복[자](주식)’도 93억원 줄었다.
주식형펀드 다음으로 높은 비중(35.0%)을 차지하고 있는 채권혼합형펀드 설정액은 9177억원으로 1조원선이 붕괴됐다. 2019년말과 비교해서는 17.3% 줄었다. ‘한국밸류10년투자퇴직연금1(채혼)’에서 812억원 감소했고 ‘한국밸류10년투자1(채혼)’에서는 389억원 줄었다.
일임계약금액의 경우 지난해말 8961억원으로 2019년말보다 18.4% 늘었다. 2018년말 9105억원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플러스(+) 증가율로 돌아선 것은 고무적이다. 일임계약고객수는 12곳으로 변화가 없었지만 일임계약건수가 35건으로 6건 증가했다.
보험 특별계정 자금이 6568억원으로 2019년말보다 27.9% 증가한 것이 주효했다. 공제회 자금도 1575억원으로 3.6% 소폭 증가했다. 연기금 자금은 356억원으로 변화가 없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베스트
-
- 디쓰리쥬빌리, '환경' 포트폴리오 확장 가속도
- 티그리스인베, '영상VFX' 자이언트스텝 결실 맺는다
- [스튜어드십코드 모니터]NH아문디, 'ESG리서치팀' 주주활동 구심점
- [스튜어드십코드 모니터]한국운용, 의결권 행사 주축 '상설 위원회'
- 이지스투자파트너스, 1호 펀드 결성…'팀프레시' 베팅
- [VC 경영분석]SBI인베, M&A 10년 암흑기 벗어나 부흥기 돌입
- '유전자 치료제' 알지노믹스, 105억 시리즈B 유치
- [VC 펀드분석]유안타인베, '퀀텀점프펀드'로 바이오 포트폴리오 강화
- [자산관리 디지털 시프트]미래에셋 전략사업 '마이데이터' 디지털혁신본부 주도
- 한국운용, '손실차등형' 부동산 블라인드펀드 내놨다
이민호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헤지펀드 판매사 지형도 분석]아샘운용-유안타증권 '연결고리' 김환균 대표
- [자산관리 디지털 시프트]하나은행, AI·빅데이터 결합 '비대면 플랫폼' 승부수
- [자산관리 디지털 시프트]우리은행, '비대면 플랫폼' 자산관리 고도화 신호탄
- [자산관리 디지털 시프트]자산관리 패러다임 전환, 키워드는 ‘디지털’
- [아트라운지]온라인 경매 '훈풍', 젊은 투자자 뛰어들었다
- 한국운용, 주력 주식형 위축…'전기차'만 웃었다
- 조홍래號 한국운용, 부동산펀드 의존도 커졌다
- [2021 WM하우스 전략]“부동산 특화 대체투자 상품 공급 확대하겠다”
- 라움운용, ‘고공행진’ 매크로펀드 주력상품 전면배치
- 금투협, 사모펀드팀 '부'로 격상…운용업계 ‘반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