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생명, 6월 후순위채 발행한다 최대 5000억 규모, KB·NH 주관
김지원 기자공개 2022-05-11 07:05:08
이 기사는 2022년 05월 10일 07:34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한화생명이 약 3년 만에 공모 원화채 시장에 복귀한다. 수요예측을 거쳐 후순위채를 발행할 계획이다. 자본적정성 제고를 위한 움직임으로 풀이된다.10일 투자은행업계에 따르면 한화생명은 다음 달 후순위채 발행을 검토 중이다. KB증권과 NH투자증권을 대표주관사로 선정해 6월 초 수요예측을 진행할 것으로 보인다. 모집금액은 3000억원에서 최대 5000억원 규모로 파악된다.
만기와 콜옵션 유무는 내부 검토 중이나 5년 이상일 가능성이 높다. 후순위채의 경우 만기가 5년 이상일 경우 100% 자본으로 인정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한화생명 관계자는 "선제적으로 자본을 확충하기 위해 후순위채 발행을 검토하는 단계"라고 말했다.
한화생명이 원화 공모채 시장을 찾는 것은 3년 만이다. 한화생명은 2019년 5000억원 규모의 신종자본증권을 발행했다. 올해 1월에는 글로벌본드(RegS/144a) 형태로 국제 채권 시장에서 7억5000만달러 규모의 후순위채를 발행하기도 했다. 만기 10년, 5년 콜옵션 조건을 부여해 최종 금리를 3.379%로 확정했다.
보험사의 재무 건정성 지표인 지급여력(RBC)비율을 높이고자 후순위채 발행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한화생명의 올해 1분기 RBC비율은 161%다. 직전 분기 대비 23.6%포인트 낮아졌다. 금융감독원이 권고하고 있는 150%를 웃도는 수준이지만 금리 상승기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선제적으로 자본을 확충하겠다는 계획이다.
한화생명은 2019년 보유한 채권을 만기보유증권에서 매도가능증권으로 바꿔 금리 민감도가 높아진 상태다. 작년 1분기 시장금리 상승 영향으로 RBC비율이 한 분기 만에 약 30%포인트 낮아지기도 했다. 금리가 오르면 채권평가이익이 줄어들어 RBC비율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후순위채는 채무상환에 후순위성이 있어 보험금 지급 능력 평가보다 신용등급이 낮다. 한화생명의 신종자본증권은 국내 신용평가 3사에서 'AA/부정적'으로 평가받고 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딜
-
- LP 시장 냉각에 블라인드펀드 펀드레이징 난항
- '예비입찰 임박' 메디트, 글로벌 FI 격전지되나
- '실탄 두둑' 베인캐피탈, 일진머티리얼즈 인수전 완주할까
- 씨티증권, 딜 가뭄 속 '최대어' 일진·메디트 잡았다
- 우리종금, 등급상향에 만기구조 장기화 노린다
- [빚투 기생시대 종언]자취감춘 동학개미, 당국도 못잡은 ‘배짱금리’ 막 내릴까
- [IPO 모니터]예심청구 늦춘 오아시스, ‘속도 대신 신중모드’
- [케이뱅크 IPO]카카오만으로 역부족, 피어그룹 외국계 2곳 포함
- [IPO 모니터]대성하이텍, 탄탄한 해외사업 불구 '확실한' 가격 메리트
- 홈IoT 파는 삼성SDS, 소속 직원에 '출향 제도' 적용한다
김지원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GS엔텍, 수요예측 미달…미매각 주관사가 떠안는다
- [Korean Paper]시중은행 올 첫 소셜본드, NH은행 결단력 빛났다
- [thebell League Table]한국물 2년 연속 200억불 돌파…통화 다변화
- [thebell League Table]KB, 2위 NH 주관실적 '두배'
- [Korean Paper]NH농협은행, 6억달러 소셜본드 발행 성공
- [Korean Paper]한국가스공사, 글로벌본드 '북빌딩' 연기
- [Korean Paper]GS칼텍스, BBB급 신용도로 한국물 복귀 성공
- [Korean Paper]한화에너지USA홀딩스, 수은 업고 3억달러 '속전속결'
- [Korean Paper]GS칼텍스, 3억달러 글로벌본드 발행 성공…변동성 극복
- [Korean Paper]KB은행, 3년 연속 커버드본드 발행 성공 '변동성 극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