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SDI도 뛰어들었다…LFP가 뭐길래 매장량·생산국 리스크 낮아, 중국 견제 반사수혜 가능성↑
원충희 기자공개 2023-03-22 13:02:30
이 기사는 2023년 03월 20일 13:49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삼성SDI가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개발을 처음으로 공식하면서 국내 배터리 3사 모두 LFP 시장 진출에 나섰다. LFP는 국내 배터리사들의 주력인 니켈·코발트·망간(NCM)보다 양극재 1kg당 약 15배 저렴한 것으로 알려졌다.향후 테라와트시(TWh)급 배터리 시대에 대비해 니켈, 코발트보다 풍부한 광물자원인 철을 기반으로 하는 LFP 배터리가 중요해지고 있다. 특히 니켈, 코발트의 경우 중국과 외교적으로 가까운 국가에서 주로 생산되고 있어 미국·유럽 입장에선 의존성 확대 부담이 있다.
◇양극재 1kg당 NCM-LFP 가격차 15배 수준
삼성SDI는 지난 15일 열린 정기주주총회에서 LFP 배터리 개발을 처음으로 공식화했다. 같은 날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인터배터리 2023' 전시회에선 SK온과 LG에너지솔루션이 LFP 배터리 시제품을 공개했다. 이로써 국내 배터리 3사 모두 LFP에 공식적으로 뛰어들었다.
LFP 배터리는 국내업체들이 주력해온 NCM 대비 값비싼 소재인 니켈과 코발트를 사용하지 않아 생산단가가 낮고 화재 위험이 적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구성광물 특성상 에너지 밀도를 높이는 것이 제한적이라 주행거리가 짧다는 단점이 있다.

LFP는 이미 중국계 CATL, BYD, SVOLT 등이 규모의 경제를 달성한 상태라 국내업체들로선 가격경쟁력이 부족하다. 때문에 차별화된 기술경쟁력을 확보하는 것이 유리하다. 하이니켈, 코발트프리 배터리 개발에 나선 것도 이런 이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 업체들이 LFP 배터리 개발을 시작한 데는 미국 인플레이션억제법(IRA) 시행으로 중국업체들의 진입이 어려운 북미시장에 기회가 있어서다. IRA는 미국 내 또는 미국과 FTA 협정을 맺은 국가에서 생산한 소재를 쓰도록 규제하고 있다. 반도체, 배터리 등 주요 산업을 미국 내에 끌어들이고 중국을 견제할 목적이다.
◇니켈·코발트, 중국과 가까운 남미·아프리카 주생산
여기에는 중장기적으로 배터리 광물 매장량에 대한 고민과 자원무기화를 둘러싼 각국 간의 이해관계가 잠재돼 있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는 최근 투자자 컨퍼런스 통해 "미래에는 240TWh 배터리 필요할 것이며 이를 위해 가장 풍부한 광물자원인 철을 기반으로 하는 LFP 배터리가 중요하다"고 언급했다.
NCM 배터리에 사용되는 니켈, 코발트의 매장량은 각각 약 9000만톤, 710만톤 수준이다. 반면 가장 흔한 금속인 철의 매장량은 약 1700억톤 정도로 추산된다. 문제는 니켈, 코발트의 매장량도 적은데다 중국과 외교적으로 가까운 남미, 아프리카 등지에 주로 생산되고 있어 미국, 유럽 입장에서는 해당 국가의 자원 의존성이 커지는 게 부담이다. 철은 그런 부담이 현저히 적다. 철의 최대 매장지는 호주와 브라질이며 유럽, 캐나다도 상당량의 철광석을 수출하고 있다.

NCM 진영에서는 장기적으로 원료 광물의 리싸이클링 생태계 구축해 조달 단가를 낮춰 가격경쟁력도 갖출 수 있다는 로드맵을 그리고 있다. 다만 리싸이클링 생태계 구축까지 최소 5~10년 걸릴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그전까지 완성차 업체들은 누가 더 많은 전기차를 안정적으로 생산하느냐에 존폐가 달려있다.
이 과정에서 LFP 배터리는 전기차 생태계 확장의 징검다리 역할을 할 대안이다. 미국과 유럽 입장에서는 이런 역할을 중국에게 맡기고 싶지 않은 셈이다. 최근 국내기업들의 LFP 배터리 개발 역시 이런 흐름에서 나타나는 현상이다.
배터리 업계 관계자는 "미국·유럽 완성차 업체들의 LFP 배터리 니즈 확대, 친환경 공급망에 중국기업을 배제하려는 움직임이 있다"며 "고객사들이 국내 배터리 기업들을 향해 LFP 개발을 강력히 요청하고 있어 여기에 부응하려는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코리아와이드-NH증권, 스테리싸이클코리아 인수 완료
- [Korean Paper]한국물 '맏형' 수은, 자금시장단 개편 후 첫딜 '흥행'
- 5년만에 공모채 찍은 맥쿼리인프라, '완판' 성공
- [IPO 모니터]프로테옴텍 수요예측 흥행 실패…밴드하단 미만 확정적
- 스튜디오산타 "전 사업부 개편 작업 완료"
- 삼부토건, 우크라이나 이르핀시와 재건 관련 MOU 체결
- 가온그룹, KT에 '올인원' 프리미엄 신제품 공급
- HL디앤아이한라, 최형진 CFO 합류 후 확 바뀐 조직도
- [쟁글 공시·평가 중단 파장]1위 업체의 사업 중단, 경쟁사에게 기회 아닌 위기로 작용
- [Fab & Lab]산업의 감초 UC 만드는 LS머트리얼즈 생산공장 가보니
원충희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네이버파이낸셜은 지금]간편결제서 종합자산관리로 서비스 진화
- [네이버파이낸셜은 지금]본사보다 더 풍족한 자회사…그룹 현금창고 역할
- 위메이드, 새 성장동력 '매드엔진' 몸값은 얼마
- [네이버파이낸셜은 지금]직접 진출보다 '제휴'…오프라인 결제 공략 '청신호'
- [네이버파이낸셜은 지금]최대 매출 계열사…덩치 대비 낮은 수익기여도
- 카카오페이, KP보험서비스 유증…네이버와 반대 행보
- '코인게이트' 사태의 본질
- [모빌리티 플랫폼은 지금]곳간 비어가는 타다, 토스·쏘카 '추가 출자'는 언제
- [모빌리티 플랫폼은 지금]우티, 유한회사 한계…우버 의지에 달린 생존 가능성
- [모빌리티 플랫폼은 지금]진모빌리티, 자금여력 빠듯…'토스 주담대'는 어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