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ESG 지침 만들고, 기업은 책임감 키워야" [2세션 토론]"환경리스크에서 자유로운 기업 없어...민관 공동 노력해야"
이기정 기자공개 2023-09-25 16:06:10
이 기사는 2023년 09월 22일 16:31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쉽지 않은 문제이지만 정부가 보다 넓은 관점에서 ESG 지침을 마련해야 한다. 기업도 자체적으로 ESG에 대한 책임감을 키워야 한다. ESG가 시장의 관심을 받을수록 기업이 살펴야 하는 리스크는 늘어날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루루 란(Luh Luh Lan) 싱가포르 국립대 교수는 22일 더벨이 서울 중구 더플라자호텔에서 개최한 '2023 THE NEXT : Corporate Governance Conference'에서 정부와 기업 중 누가 ESG를 주도해야 하는지 묻는 질의에 이와 같이 답했다.

먼저 겐 교수는 란 교수와 유사하면서도 다소 다른 견해를 밝혔다. 정부는 정치 분쟁과 국가간 이슈 등으로 기업보다 고려해야 할 요소들이 많기 때문에 기업에서 ESG를 주도하는 것이 효율적이라는 설명이다. 다만 정부와 기업이 모두 노력해야 하는 부분이라는 점에서는 란 교수와 의견이 같았다.
겐 교수는 "민간에서 ESG를 주도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보인다"며 "다만 기업도 이해관계가 얽힌 문제에 직면할 수 있기 때문에 이 경우에는 정부가 나서 문제 해결에 도움을 줘야 한다"고 말했다.
클라인 교수는 이 문제를 정부와 기업 관점이 아닌, 이익과 손해의 문제로 봐야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결과론적 관점에서 ESG가 기업 주주들에게 피해를 주는 경우라면 정부가 ESG를 주도하는게 맞을 것"이라며 "반면 ESG가 기업 입장에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요소라면 기업에서 더 적극적으로 ESG를 주도할 것"이라고 말했다.
2세션 토론에서는 ESG 전문가가 기후리스크까지 관리해야 하는지를 묻는 질의도 나왔다. 기후리스크가 개인이 통제가 불가능한 영역이 아닌지를 묻는 질문이다. 이에 대해 클라인 교수는 "큰 관점에서 보자면 기후 대응은 개인이 통제가 불가능한 것이 맞다"며 "때문에 글로벌 차원에서 대응이 필요한 영역"이라고 말했다.
또 클라인 교수에게 기업이 ESG 전문가를 공식 선임하려는 노력이 필요한지를 묻는 질문도 나왔다. 클라인 교수는 "일부 사례에서 기업 임원이 ESG와 관련한 능력을 의무적으로 공시하도록 하는 경우가 있다"며 "다만 정부가 이 부분과 관련해 기업에 개입하려고 하는 것은 아니라고 판단한다"고 답했다.
이날 열린 포럼은 'ESG 시대의 기업지배구조'를 주제로 진행됐다. 2세션은 주제는 '이사회의 의무와 전문성에 대한 새로운 조명'이었다. 세션의 사회는 오현주 법무법인 광장 변호사가 맡았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피플&오피니언
이기정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VC도 '횡재세 논란' 은행의 상생금융이 필요하다
- [Founder Profile/모노리스]'준비된 CEO' 김종석, 스포츠 테마파크 선두주자 우뚝
- [VC 투자기업]스마트레이더시스템 "아마존 계약, 일회성 연구개발"
- [thebell interview/로톡발 훈풍, 리걸테크 개화]박선춘 씨지인사이드 대표 "GRM 필요성 점증 확신"
- [로톡발 훈풍, 리걸테크 개화]AI 법령·규제 솔루션 '씨지인사이드', 2년차 BEP 도달
- 기술특례 '실적' 논란…스마트레이더시스템도 '빨간불'
- [thebell interview/은행 계열 VC 톺아보기]정훈 BNK벤처 전무 "AUM 8000억, 중견 하우스 목표"
- 이상학 부회장 "KTOA 출신기업, 투자유치 적극 지원"
- [은행 계열 VC 톺아보기]'투자 전문가' 없는 BNK벤처 이사회, IR담당 배치 눈길
- 이영 장관 "유웅환 KVIC 대표, 역동성 부족에 힘들어 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