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bell

전체기사

[thebell desk]'벼랑 끝' 지방 건설사를 향한 시선

신상윤 건설부동산부 차장 공개 2024-06-28 08:35:43

이 기사는 2024년 06월 27일 07:09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남 일 같진 않네요. 대기업군에 속한 건설사도 지방 사업장에선 동업해야 할 관곈데 걱정입니다. 지방 건설사들의 힘들다는 곡소리가 서울에서도 울릴 수 있습니다."

광주·전남지역에 뿌리를 둔 중견 건설사 남양건설이 법정관리를 신청한 것으로 전해진 최근 한 대기업 건설사 임원이 우려 섞인 목소리로 전한 이야기다. 부동산 PF 부실 영향 등이 건설업계 전반을 위협하고 있는 가운데 모그룹 지원이 가능한 대기업군 건설사와 달리 지방의 건설사들은 벼랑 끝에 서 있는 상황이다.

남양건설뿐 아니라 광주의 한국건설이 법정관리를 신청했고 부산에선 남흥건설과 익수종합건설이 부도났다. 그 외 수많은 지방 건설사들이 겪는 어려움을 지켜보는 대기업군 건설사들이 불안해하는 이유는 왜일까.

지방 건설사가 지역 내 일감을 중심으로 성장하는 것과 달리 대기업군 건설사는 전국에서 먹거리를 찾는다. 이를 고려하면 대기업군 건설사가 자본이나 자원이 상대적으로 풍족한 만큼 단독 사업 기회가 더 많을 것으로 보이지만 현실에선 조금 다르다.

사업을 진행하기 위해 포기할 기회비용이나 자원을 투입할 수 있는 여력 등을 따져보면 지방 건설사와 컨소시엄이 유리할 때가 많기 때문이다. 여기에 지역 의무 공동도급 등의 제도는 대기업군 건설사에도 경쟁력 있는 지방 건설사가 필요한 이유다.

문제는 남양건설과 같이 경쟁력 있는 지방 건설사들이 하나둘 무너지기 시작하면 지역의 건설산업 자체가 흔들릴 수도 있다는 점이다. 주요 인력의 다른 산업 이탈이나 기술 경쟁력 저하 등은 지방 건설산업의 존립과도 이어진다.

이 같은 위기는 부동산 호황기에 무리해서 주택 사업을 확대했던 배경이 크다고 입을 모은다. 변명할 거리가 없진 않다. 주택 사업은 마진이 큰 데다 공사 시간도 비교적 짧으니 마다할 이유가 없었다. 하지만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으로 인한 원자재 가격 상승과 고금리 기조 지속 등은 주택 사업을 잠재적 시한폭탄으로 만들었다.

시장에선 드러나진 않지만 숫자는 더 많을 것으로 보고 있다. 경쟁사가 줄어드니 좋은 일 아니냐고 반문할 수도 있지만 지방 건설사의 역할과 협업할 지점들도 적지 않아 대기업군 건설사에서도 마냥 좋은 소식은 아니란 입장이다. 특히 각종 인허가와 맞물린 건설산업은 사업장이 위치한 지방단치단체와의 관계 등을 고려하면 지방 건설사의 역할이 적지 않은 편이다.

이런 상황에서 주요 지방 건설사들이 무너지기 시작하면 대형 건설사들도 일감 확보가 녹록지 않을 수 있다. 특히 주택과 달리 토목사업은 수도권보단 지방에 더 많은 것이 현실이다.

적확히 들어맞진 않지만 부산 가덕도 신공항이나 대구·경남 신공항 같이 수십조원 규모 사업이 밥상 위에 차려졌지만 대형 건설사들이 선뜻 숟가락을 얹지 않는 이유도 여기에 있지 않을까. 벼랑 끝에 선 지방 건설사 위기를 남의 일로만 치부할 수 없는 건설인들의 마음이 착잡한 이유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주)더벨 주소서울시 종로구 청계천로 41 영풍빌딩 5층, 6층대표/발행인성화용 편집인이진우 등록번호서울아00483
등록년월일2007.12.27 / 제호 : 더벨(thebell) 발행년월일2007.12.30청소년보호관리책임자김용관
문의TEL : 02-724-4100 / FAX : 02-724-4109서비스 문의 및 PC 초기화TEL : 02-724-4102기술 및 장애문의TEL : 02-724-4159

더벨의 모든 기사(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copyright ⓒ thebell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