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H농협캐피탈, 대손비용 절감 효과로 2년 만에 순익 반등 현금성자산 2배 확대 유동성 확보…NPL자산 설립 이후 최다
김경찬 기자공개 2025-02-17 12:27:26
이 기사는 2025년 02월 14일 17시53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NH농협캐피탈이 2년 만에 실적 개선에 성공했다. 줄어든 대출채권에 이자이익도 감소했으나 대손비용 절감 효과로 순이익은 반등했다. NH농협캐피탈은 현금성 자산을 2배 이상 늘리면서 현금유동성도 확보했다.건전성관리 과제는 여전히 남겨두고 있다. 고정이하여신(NPL)비율과 연체율 모두 1%대를 유지했으나 부실자산이 역대 가장 많은 규모로 확대됐다. NH농협캐피탈은 올해도 리스크관리를 경영과제로 꼽으며 우량자산을 확보해 나갈 계획이다.
◇이자이익 감소 불구 순익 개선, ROE는 떨어져
NH농협금융그룹의 2024년 경영실적에 따르면 NH농협캐피탈은 연간 순이익으로 864억원을 거뒀다. 전년(855억원)보다 1.1% 증가하면서 2년 만에 실적 반등을 이뤄냈다. NH농협캐피탈 관계자는 "대손충당금을 줄이면서 순이익을 개선할 수 있었다"라고 설명했다. 농업지원사업비 반영 전 순이익은 1.3% 증가한 875억원을 기록했다.
농업지원사업비는 농협법에 의거해 농협 고유목적사업인 농업인과 농업, 농촌 지원을 위해 지주회사를 제외한 계열사가 농협중앙회에 매분기 초에 납부하는 분담금을 일컫는다. NH농협캐피탈은 올해 농업지원사업비를 매분기 약 3억원 내외 수준으로 연간 14억원가량 납부한다.

NH농협캐피탈은 지난해 내실 다지기에 주력하면서도 외형 성장세를 이어갔다. 지난해 12월말 기준 NH농협캐피탈의 총자산은 9조5754억원으로 1년 새 3.2% 증가했다. 현금성 자산을 확보한 점이 주목된다. 현금 및 예치금 규모가 6272억원으로 2배 이상 늘었다. 다만 대출채권은 7조2867억원으로 2.8% 감소했다. 대출채권이 줄면서 핵심이익인 이자이익도 떨어졌다. 이자이익으로는 13.8% 감소한 1209억원을 거뒀다.
이는 수익성에도 영향을 미쳤다. 수익성 지표인 ROA(총자산순이익률)는 0.93%로 전년 수준을 유지했다. ROE(자기자본순이익률)는 6.74%로 0.21%포인트 하락하며 다소 악화됐다. 농업지원사업비 반영 전 ROA와 ROE는 각 0.94%와 6.82% 수준이다.

◇우량자산 확보 통한 자산 체질개선 지속
NH농협캐피탈은 일부 부동산PF 사업장의 정상화로 환입이 이뤄지면서 대손충당금 규모가 축소됐다. 지난해 대손충당금은 1485억원으로 전년(1707억원) 대비 13% 감소했다. NH농협캐피탈은 부실채권을 상매각하며 자체적인 리스크관리를 강화하고 있다. 이에 따른 손실흡수능력도 안정적으로 관리하며 대손충당금적립비율은 103.04%를 기록했다.
자산건전성 지표도 부실자산을 적극 매각하면서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다만 최근 5년 사이 가장 높은 지표를 보이고 있다. 고정이하여신(NPL)비율은 0.38%포인트 상승하며 1.98%를 기록했다. 고정이하여신 자산은 2012년 설립 이후 최다 규모로 1441억원까지 확대됐다.
이와 달리 무수익여신비율은 0.77%로 3분기 연속 하락하며 개선세를 보이고 있다. 무수익여신은 고정이하여신(NPL)과 같이 3개월 이상 연체된 여신 중에서 이자수익이 발생하지 않는 부실 여신이다. 연체율은 1.24%로 0.23%포인트 개선됐다.
NH농협캐피탈은 올해도 선제적 리스크관리를 최우선 과제로 내세웠다. 먼저 시장대응력을 강화하기 위해 위기상황분석체계를 고도화할 계획이다. 신용평가체계 정교화 작업을 통해서는 우량자산을 확보하겠다는 복안이다. 영업자산의 체질 개선을 지속하며 지속적인 성장 기반을 구축하겠다는 목표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파이낸스
-
- [IR Briefing]메리츠화재, CSM 성과에 최대실적 또 경신..."올해 더 좋다"
- [이사회 분석]KB금융 이사회, 최소한의 교체로 '안정' 이어간다
- [2025 금감원 정책기조]'일류감독'의 꿈…금감원 쇄신은 계속된다
- [BNK금융 인사 풍향계]방성빈 행장·김성주 대표 연임, 회장 후계 구도 짜여졌다
- [2025 금감원 정책기조]금융업권 제도 정비…‘제2의 티메프’ 막는다
- [J트러스트 계열사는 지금]배당잔치 옛말…부진한 경영실적에 현금배당 중단
- [thebell interview]"M캐피탈, 새마을금고와 시너지 통한 성장 나선다"
- [금융권 AI 빅뱅과 리스크]KB국민카드, AI 혁신 속 보안 강화…정보유출 악몽 씻는다
- [베테랑 사외이사 열전]경영과 정계 섭렵…김주성 한화손보 이사의 노익장
- [thebell interview]이준수 금융연수원장 "내공있는 이사가 빛 발한다"
김경찬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J트러스트 계열사는 지금]배당잔치 옛말…부진한 경영실적에 현금배당 중단
- [thebell interview]"M캐피탈, 새마을금고와 시너지 통한 성장 나선다"
- [J트러스트 계열사는 지금]모기업 임원 감소세…그룹 시선은 인도네시아로
- [J트러스트 계열사는 지금]최성욱 JT친애저축 대표, 그룹 신임 속 10년째 대표직 유지
- '적자 전환' DB캐피탈, 유증 통해 유동성 확보
- [J트러스트 계열사는 지금]국내 상륙 10년, 대주주 리스크 해소로 안정 되찾을까
- 현대커머셜, 3년 만에 현금배당 재개한 배경은
- NH농협캐피탈, 대손비용 절감 효과로 2년 만에 순익 반등
- [롯데캐피탈은 지금]롯데그룹 '알짜 계열사'의 매각설이 나오는 이유는
- 봄날을 고대하는 M캐피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