흑전 하나생명, '보장성 중심' 체질 개선 순항 12억 적자에서 121억 흑자…보험·투자 모두 고른 성장
정태현 기자공개 2025-04-29 12:45:18
이 기사는 2025년 04월 28일 14시43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하나생명보험(하나생명)이 올해 1분기 흑자로 전환했다. 보험계약마진(CSM) 축적에 유리한 보장성보험 판매를 적극적으로 늘린 영향이다. 안정적인 장기 수익을 창출하는 방향으로 체질을 원활하게 개선하고 있다는 평가다.하나생명은 올해 1분기 121억원의 순익을 내 전년 동기 12억 적자에서 흑자로 전환했다. 보험 부문 손익이 20억원에서 84억원으로, 투자 손익이 13억원 적자에서 77억원 순익으로 모두 증가했다.

하나생명은 "방카슈랑스 채널에서 보장성 보험 판매를 확대했고, GA 채널에선 신규 제휴를 늘리고 실적을 증대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판매 기반을 강화했다"고 설명했다.
보장성보험은 저축성보다 유동성 확보에는 불리하지만 CSM 축적에는 유리하다. CSM은 보험부채 중 향후 상각을 통해 기간에 따라 이익으로 전환되는 걸 말한다.
하나생명은 지난 2024년 남궁원 사장이 부임한 뒤 보장성 보험 판매에 집중하는 전략으로 포트폴리오를 재구성하기 시작했다. 보험부문에서 장기적이고 안정적으로 이익을 내는 방향으로 전략을 수정한 것이다.
생명보험협회 월간 통계에 따르면 올해 2월 보유계약 기준 개인보험에서 보장성보험 금액이 차지하는 비중은 59.8%다. 전년 동월 52.3%에서 7.5%포인트 커졌다.
투자부문 의존도가 크다는 점도 자연스레 개선되고 있다. 보장성 보험 중심 전략이 정착되기 전까진 전체 순익은 투자손익에 큰 영향을 받았다. 투자 손익이 개선되면 전체 순이익도 늘고, 악화하면 전체 순이익도 감소하는 식이었다.
하나생명은 투자손익 관리에도 힘쓴다는 방침이다. 하나생명 측은 "향후 해외 상업용 부동산과 프로젝트파이낸싱(PF) 관리를 철저히 하겠다"고 강조했다.
하나생명은 지난해 실적에 대해선 회계처리 기준 변경을 고려해 소급해 집계했다. 앞서 금융감독원은 금리연동형 보험상품의 공시이율 예실차(예상 보험금과 실제 발생한 보험금 차이) 효과를 당기손익과 기타포괄손익으로 나눠 처리해야 한다는 기준을 세웠다. 보험사들에 이를 지난해 연말 결산부터 반영하도록 했다.
그간 하나생명을 포함한 대다수 보험사는 공시이율 예실차액을 당기손익과 연결된 투자손익에 반영해 왔다. 이를 기타포괄손익에도 배분하면 순이익이 줄어든다. 보험사들은 이 순이익 감소분을 앞으로의 실적에 적용하는 것과 과거 실적에 소급 적용하는 것 중 하나를 선택해야 했다. 하나생명의 경우 지주 연결기준으로는 전진법을, 별도기준으로는 소급법을 적용하기로 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플레이오토, 쇼핑몰 관리 모바일 앱 등 부가서비스 3종 출시
- [Korean Paper]"은행채 잡자" 국민은행 외화채에 100억달러 운집
- 웅진, '프리드라이프 인수' 라이프케어 플랫폼 '도약'
- [Korean Paper]한국물 발행 러시…해진공도 조달 나섰다
- [i-point]넥스턴바이오사이언스, 넥스턴바이오 흡수 합병
- [i-point]'사기혐의 피소' 에스엘에너지 “회사 무관 개인 관련 사안”
- [Korean Paper]5년만에 발행 나선 동양생명, 꾸준한 IR 통했다
- [Korean Paper]철강 디스카운트 없었다…포스코홀딩스 달러채 흥행
- 현대건설, 천안 '힐스테이트 두정역' 선착순 공급
- [i-point]케이쓰리아이, 글로벌 대기업향 XR시뮬레이터 후속수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