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bell

전체기사

2015 핵심 경영 키워드 '환율·혁신·소비' [2015 더벨 경영전략 포럼]美 금리인상·환율 변화, 中 기업 성장, 내수침체 대응전략 필요

정호창 기자공개 2015-03-25 10:05:00

이 기사는 2015년 03월 24일 17시51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크기변환_2015 더벨 경영전략 포럼1

최근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이 그 어느 때보다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시장 전문가들이 올해 국내 경제와 기업 경영에 큰 영향을 미칠 핵심 변수로 환율 변화와 중국 기업의 추격, 내수경기 침체 고착화 등을 꼽았다. 미국 금리인상에 따른 달러 강세와 엔화 약세, 원화 절상에 대한 대비책을 세우고 중국 기업 성장에 대응할 수 있는 산업 생태계 혁신, 저성장기조 탈출을 위한 대응전략 마련에 적극 나서야 한다는 분석이다.

자본시장 미디어 머니투데이 더벨은 24일 서울 소공동 플라자호텔에서 '2015 더벨 경영전략 포럼'을 열어 다양한 대내외 도전에 직면한 우리 경제와 기업들의 핵심 경영 변수를 점검하고 대응 전략을 모색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날 행사는 오정근 아시아금융학회장과 서동혁 산업연구원 신성장산업연구실장, 김창배 한국경제연구원 거시연구실 연구위원 등이 발표자로 나선 가운데 국내외 기업과 금융회사 임직원 150여 명이 참석해 전문가들의 의견을 경청했다. 사회는 윤덕룡 대외경제정책연구원 국제거시팀 선임연구위원(사진·아래)이 맡았다.

오정근 학회장은 '미국 금리인상 가능성과 한국·세계 경제 영향'이란 주제 발표를 통해 대외변수 분석에 나섰다. 오 학회장은 "미국 기준금리가 올 4분기 정도에 0.65% 수준 인상될 가능성이 높다"며 "이는 슈퍼달러(달러 초강세)와 초엔저 현상, 취약한 신흥 시장국의 외화 유동성 위기를 초래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오 학회장은 특히 슈퍼달러에 동반되는 초엔저 현상에 대한 대비를 강조했다. 그는 "과거 경험에 의하면 엔화에 대한 원화 가치 절상은 매번 우리 경제에 경상수지 악화로 인한 위기를 가져왔다"며 "지난 2012년 6월 이후 원화가치가 엔화 대비 62%나 절상돼 올해 우리나라 통화정책의 최대 과제는 원·엔 환율의 안정적 관리가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오 학회장은 "단기 대책으로 우선 엔화 대비 원화의 추가 절상을 방지하고 추가적으로 적정 수준으로의 복귀를 추진해야 한다"며 "G20회의에서 합의하고 국제통화기금도 인정한 '자본이동관리원칙'을 토대로 정책적 대응에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외환시장 교란에 대한 질서있는 외환시장 개입 △무분별한 자본유입에 대한 거시건전성 차원의 규제 △전향적인 금리 환율 정책조합 운용 △불황형 흑자 교정을 위한 내수 진작 등을 대응 방향으로 제시했다. 이어 중장기 대책으로 △적합한 환율제도 모색 △자본이동관리원칙을 토대로 '한국적 자본이동관리제도 도입' △국제금융외교 강화 등을 주문했다.

서동혁 실장은 중국 기업의 매서운 추격을 변수로 꼽았다. 그는 "향후 5년간 중장기 경쟁력을 전망해 볼 때 거의 모든 산업에서 중국이 최대 경쟁국이 될 것으로 보인다"며 "다양한 산업군에서 중국이 한국을 추월할 날이 멀지 않았다는 점에서 혁신적 대응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서 실장은 중국의 추격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수출전략과 가치사슬(Value Chain) 및 산업 생태계의 혁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중국과 차별화된 수출경쟁력 강화를 위해 중견·중소기업을 적극 육성할 필요성이 있다"며 특히, 중국시장에서는 한류를 활용하고 맞춤형 소비재, 융합제품 등에 집중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서 연구실장은 밸류 체인에도 혁신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취약한 업스트림 분야를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파급효과가 크며 전·후방산업으로 연계가 가능한 제품 개발에 노력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아울러 미래산업을 짊어질 수 있는 중소벤처기업을 적극 육성하는 방식의 산업생태계 혁신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세 번째 세션의 발제자로 나선 김창배 연구위원은 '저성장 기조 고착화와 내수경기'라는 주제 발표를 통해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임금 인상을 통한 내수 확대 전략의 실효성에 의문을 제기했다. 그는 "정부가 생각하고 있는 '임금 인상→가계소득 증가→가계 소비 증가' 시나리오는 주요 통계 지표를 살펴보면 설득력이 떨어진다"며 "수출 주도 경제 성장 구조를 갖춘 우리나라에서는 역효과가 날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크기변환_2015 더벨 경영전략 포럼13
↑ 윤덕룡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김 연구위원은 경기 부양을 위해 고소득층의 소비를 늘리는 것이 더 효과적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통계청 자료를 보면 고소득층 평균소비성향을 5% 포인트만 상승시켜도 전체 소비는 2.63% 증가한다"며 "소득세와 과소비 논란 등 국내 소비 진작의 걸림돌이 되고 있는 고소득층에 대한 인식을 바꿔야 한다"고 설명했다.

김 연구위원은 "한국 경제가 과거와 같이 노동과 자본 집약적 성장 방식만을 고집하면 저성장 기조가 더 뚜렷해질 것"이라며 "주력 산업이 제조업에서 서비스업으로 넘어가고 그 과정에서 연구개발(R&D)과 금융 분야가 발전하면서 시너지가 나와야 한다"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주)더벨 주소서울시 종로구 청계천로 41 영풍빌딩 4층, 5층, 6층대표/발행인성화용 편집인김용관 등록번호서울아00483
등록년월일2007.12.27 / 제호 : 더벨(thebell) 발행년월일2007.12.30청소년보호관리책임자황철
문의TEL : 02-724-4100 / FAX : 02-724-4109서비스 문의 및 PC 초기화TEL : 02-724-4102기술 및 장애문의TEL : 02-724-4159

더벨의 모든 기사(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copyright ⓒ thebell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