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화되는 코코본드 'Tier-2 쏠림' '완판 랠리' Tier-2 vs '미달' Tier-1
김병윤 기자공개 2016-03-29 13:17:00
이 기사는 2016년 03월 28일 08시00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올 들어 은행권의 자본확충 수단이 조건부후순위채권(Tier2 코코본드) 쪽으로 쏠리고 있다. 국책은행인 IBK기업은행조차 조건부자본증권(Tier1 코코본드) 투자자를 모집하기 어려울 정도로 Tier-1에 대한 투자자들의 투심이 악화됐기 때문이다.작년 2조 4000억 원까지 증가했던 Tier-1 발행액은 금융감독 당국의 규제 강화이후 투자 수요가 크게 줄었다. 도이치뱅크의 대규모 손실로 인한 이자 미지급 우려가 커진 것도 투자 심리를 위축시킨 요인으로 평가된다.
◇ 'Tier1 vs Tier2' 엇갈리는 투심…기업은행조차 조건부자본증권 투자자모집 실패
28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올 들어 은행의 Tier-2 발행이 활발하다. 전북은행은 이달 800억 원 규모 Tier-2 발행에서 투자 수요를 모두 확보했다. 같은 JB금융지주 계열 광주은행 역시 700억 원 어치 완판에 성공했다.
우리은행 역시 2500억 원 규모 발행을 위한 수요예측에서 2500억 원 자금을 모두 확보했다. 신한은행 경우 국내(3000억 원)와 해외(5억 달러) 투자자들을 대상으로 Tier2 발행을 결정했고, 최근 외화로 Tier2 발행을 성공적으로 마쳤다.
반면 Tier1 코코본드 발행은 한 건도 이뤄지지 않았다. 발행 시도가 전혀 없었던 것은 아니다. 기업은행이 조건부자본증권 발행을 추진했으나 투자자를 확보하지 못해 무산됐다.
기업은행은 지난 3일 6000억 원 규모의 Tier1을 발행하겠다고 공시했다. 올 상반기 중 두 차례로 나눠 발행하겠다는 계획이었다. 기업은행은 이중 4000억 원 어치 발행을 위해 투자자 모집에 나섰다. 하지만 투자 수요가 제대로 모이지 않아 결국 발행을 미뤄야 했다. 투자 수요가 발행 총액의 10%도 채 되지 않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와는 완전 상반된 분위기다. 기업은행은 지난해 높은 신용등급(신종자본증권 신용등급 AA, 등급전망 '안정적')을 바탕으로 Tier-1 발행에 연달아 성공했다. 지난해 3월과 9월에 각각 Tier1 4000억 원과 2000억 원어치를 발행했다. 투자자 모집 과정에서 발행액을 넘어서는 5000억 원, 3000억 원의 자금이 몰려 성황을 이뤘다.
◇쉽지 않은 Tier-1 투심 회복…'Tier-2 쏠림' 당분간 이어질 듯
Tier1은 지난해까지 총 2조 7647억 원 어치 발행됐다. Tier-1 발행 규모는 2014년 3600억 원에서 이듬해 2조 4000억 원 정도로 크게 늘었다. 하지만 올들어 투자 심리가 위축됨에 따라 발행 규모는 예년만 못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가장 큰 이유는 도이치뱅크에서 비롯된 이자미지급 우려다. 올 초 도이치뱅크는 지난해 3분기와 4분기 각각 60억 유로, 21억 유로 적자를 기록했고, 연간순손실 규모는 68억 원에 달한다고 밝혔다. 이에 도이치뱅크의 배당가능이익은 크게 감소해 기발행된 Tier-1의 이자미지급 가능성이 제기됐다.
금융당국 규정 변경돼 Tier-1 이자미지급 가능성이 높아진 것도 투자 위축 배경으로 꼽힌다. Tier-1 이자지급 재원은 지난해 말까지 상법상 배당가능이익이었다. 하지만 올해부터 이자지급 재원은 지배주주 지분 연결당기순이익에서 대손준비금을 차감한 후 금액으로 변경됐다.
업계 관계자는 "당국 규정이 변경됨에 따라 자본비율 기준에 미달되는 은행이 적자를 기록할 경우 이자지급이 중단된다"며 "최근 은행 수익성에 우려가 짙어진 상황에서 이번 규정 변경은 Tier-1 투자 심리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는 "Tier-1 경우는 금세 투자 심리가 살아나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며 "은행들은 2019년까지 단계적으로 맞춰야 하는 BIS비율에 맞춰 적절히 대응해 나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제이엘케이, ‘메디컬 AI 얼라이언스’ 출범식 개최
- 카카오엔터테인먼트 매각, 투자자간 셈법 엇갈린다
- 카카오, '11조 몸값' 카카오엔터테인먼트 매각 추진
- [i-point]대동, 우크라이나 농업부와 미래농업 기술 지원 협력 논의
- '위기를 기회로' 탑코미디어, 숏폼 올라탄다
- [thebell interview]임형철 블로코어 대표 “TGV로 글로벌 AI 투자 확대”
- [VC 경영분석]유안타인베, '티키글로벌' 지분법 손실에 '적자 전환'
- [VC 경영분석]성과보수 늘어난 CJ인베, 줄어드는 관리보수 '과제'
- [VC 경영분석]'첫 성과보수' 하나벤처스, 모든 실적 지표 '경신'
- [VC 경영분석]SBVA, '펀딩·투자·회수' 선순환…'당근' 성과 주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