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조선 해법, 채무탕감 아닌 유동성 보강" 신한BNP 조도형이사 "부도 가능성 낮아, 매출채권 유동화 등 활용"
민경문 기자공개 2017-04-14 08:23:03
이 기사는 2017년 04월 12일 14시58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법정관리 위기에 놓인 대우조선해양을 둘러싸고 채무탕감보다는 현금흐름 미스매치 해소를 위한 매출채권 등 자산유동화가 시급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4월 만기 회사채 상환 이후 부도에 직면할 가능성은 낮으며 출자전환이 이뤄지더라도 실사평가가 선행돼야 한다는 것. 정무적 판단에 따른 인위적 채무 재조정은 지역 경제를 무너뜨리고 회사채 시장 자체를 흔들 수 있다는 의견이다.
조도형 신한BNP파리바자산운용 크레딧리서치팀장(이사)은 12일 "정상적인 회사채 원리금 상환의무를 금융권에 전가하는 채무재조정은 타당성을 결여하고 있다"며 "채무재조정 신청은 금융당국이나 주채권은행이 아닌 기업의 판단을 통해 이뤄지는 것이 시장 원칙"이라고 말했다.
조 이사는 "건조 중인 선박이 2018년까지 74% 이상 인도 예정이고 수출입·산업·시중은행의 RG 여신 중 8.4조 원이 향후 2년 내에 대부분 회수 가능하다"고 말했다.
조 이사는 "채무재조정이 대우조선해양에도 부정적"이라고 했다. 사실상 부도업체로 분류되는 만큼 공기가 장기인 대형 플랜트나 선사 입장에서는 발주 불가 요인이 된다. 1금융권은 기존 채권 대손 발생으로 신규 RG 발급이나 운전자본 대출을 꺼리게 된다는 것.
특히 비자발적 실업을 증가시켜 지역 경제가 황폐화된다는 점을 강조했다. 저성장기에는 단기·재무·인위적 구조조정이 아닌 장기·사업·자연적 구조조정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중기적으로는 영업정상화를 위한 운전자본 관련 크레딧 라인 유지, 해양발전단지 수주 지원 등과 같은 산업경쟁력 확충 방안도 동반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조 이사는"금융당국은 유동성위기를 초래할 수 있는 요인에 대한 재무적 통제방안을 강구했어야 했고, 만약 4월 만기 회사채가 지급불능 상황이라면 주요 투자기관과의 적절한 협의가 수반됐어야 했다"고 말했다. 이라고 말했다.
한편 대우조선 회생안과 관련한 공은 국민연금 등 사채권자들에게 넘어간 상태다. 오는 17일과 18일 예정된 사채권자집회 결과에 따라 대우조선 운명이 결정될 전망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LG그룹 로봇사업 점검]LG CNS, 물류 사업 고도화 'AMR 도입' 초읽기
- [Korean Paper]코레일, 관세 전쟁 속 한국물 복귀전 나선다
- [유증&디테일]'초음파 DDS 선두' 아이엠지티, 임상시험 150억 조달
- 엠케이전자, '반도체 후공정 1위' ASE 어워드 수상
- [AACR 2025 프리뷰]신약 개발 속도내는 제이인츠바이오, 연구 2건 출격
- [AACR 2025 프리뷰]국내 항암 신약 투톱 유한양행·한미약품, '최다' 기록 쓴다
- 뉴로바이오젠, 6.5조 L/O에 1% 마일스톤…상업화 '관건'
- [제약사 개발비 자산화 점검]한미약품, '비만약' 28억 신규 산입…내년 출시 기대감 반영
- [AACR 2025 프리뷰]항암 신약 글로벌 진출 필수 관문, 커지는 K-바이오 존재감
- 2000억 현금 보유 일성아이에스, 부동산 베팅 '요양원' 발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