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2018년 02월 06일 17시46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삼라마이다스(SM그룹)의 제주칸트리구락부(제주CC) 인수가 좌초됐다. 기업회생절차(옛 법정관리) 중인 제주CC의 회생계획안이 부결됐기 때문이다.서울회생법원 제13부는 6일 제주CC 회생계획안 심리와 결의를 위한 관계인집회를 열어 회사 측 회생계획안 인가를 위한 표결을 진행했다. 그 결과 주주인 김해파트너스가 반대하고, 제주자산개발과 제주은행 등 담보채권자의 92.14%, 회생채권자의 14.01%만 동의해 가결요건을 충족하지 못했다.
회생계획안이 통과되기 위해선 △주주(주식 총수 50% 이상) △회생담보권자(채권액 75% 이상) △회생채권자(채권액 66.67% 이상)의 동의가 필요하다. 이번 제주CC 회생계획안에 대해선 담보권자 이외의 조는 모두 반대했다.
이로써 인수·합병(M&A)을 추진해 온 SM그룹의 인수도 좌절됐다. 앞서 SM그룹 계열사인 ㈜삼라, 산본역사, 하이플러스카드는 컨소시엄을 맺어 제주CC 경영권 지분을 확보하는 내용의 'M&A 투자 계약'을 지난해 10월 25일 체결했다.
SM그룹은 제주CC가 발행하는 신주와 회사채를 470억 원에 인수하고, 이 가운데 463억 원은 변제 재원으로 활용할 계획이었다. 주관사 용역수수료 5억 3000만원과 관리인특별보수 1억 4000만원을 차감한 금액이다.
회생계획안에 따르면 담보권자인 제주자산개발의 경우 원리금 채권과 이자 중 80%를, 제주은행은 46.26%를, 기타대여금채권자의 경우엔 19.05%를 현금으로 변제받을 계획이었다. 회원대여금·입회보증금·상거래채권 등 회생채권 보유자는 원금과 이자의 20.05%를 현금으로 변제받는다.
제주CC는 1962년 '5·16 도로 개통식' 참가를 위해 제주에 온 고(故) 박정희 전 대통령의 지시로 지어진 골프장이다. 1966년 정규 18홀 회원제로 문을 열었다. 다만 제주도 내 골프장이 계속 늘어나며 경쟁이 심해지고, 인건비와 경영비도 늘어나며 재무 상황이 나빠졌다.
한편 제주CC 회생계획안이 부결됨에 따라 회생절차 폐지 사유가 발생했다. 법원은 약 2주 간의 시간을 부여해 관계자들의 의견을 듣고 회생계획안을 강제로 인가할 것인지, 회생절차를 폐지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계획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저축은행경영분석]굳건한 1위 SBI저축, 돋보인 '내실경영' 전략
- [보험사 자본확충 돋보기]iM라이프, 4달만에 후순위채 또 발행…힘에 부치는 자력 관리
- [저축은행경영분석]J트러스트 계열, 건전성 개선 속 아쉬운 '적자 성적표'
- 한국소호은행, 소상공인 금융 혁신 이뤄낼 경쟁력 세가지
- [금융지주 해외은행 실적 점검]하나은행, 함영주 회장 2기엔 글로벌 사업 힘 싣는다
- [여전사경영분석]현대캐피탈, 친환경차 리스 중심 영업수익 확대…순익은 감소
- [금융지주 해외은행 실적 점검]우리은행, 동남아 3대 법인 '엇갈린 희비' 출자 전략 영향은
- [캐피탈사 리스크 관리 모니터]NH농협캐피탈, 부실위험 사전 통제 중점…그룹과의 협업은
- [이사회 분석]신한카드, 일본계 주주 영향 속 사외이사 2인 교체
- [은행권 신지형도]어느덧 10년 맞은 인터넷전문은행, 시장 판도 변화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