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상범 LGD 부회장, '글로벌 1등' 주역의 과제는? [LG 구광모 시대 키맨]구본준·권영수 후임 OLED 성공…6년만에 영업손실, 성과 창출 분주
김현동 기자공개 2018-05-31 12:03:00
[편집자주]
구본무 회장 타계로 LG그룹이 4세 경영 시대로 접어들었다. 구광모 상무는 다음달 지주회사 ㈜LG의 사내이사에 오른다. 향후 LG그룹은 구광모 상무를 중심으로 각 계열사의 전문 경영인이 협업하는 체제로 움직일 것으로 전망된다. 주요 계열사의 전문 경영인을 비롯해 '구광모 시대'를 전후한 LG그룹 키맨을 살펴본다.
이 기사는 2018년 05월 28일 14시24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한상범 LG디스플레이 대표이사 부회장은 중대형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를 글로벌 1등 사업으로 이끈 주역이다. 구본준 부회장, 권영수 부회장에게서 LG디스플레이를 이어받아 6년째 이끌어오고 있다. 과감한 투자를 통해 OLED 사업화에 성공했고 LG전자가 OLED TV로 프리미엄 TV 시장을 석권하는 데 뒷받침이 됐다.반면
|
한 부회장은 2012년 LG디스플레이 대표이사에 부임했다. 액정표시장치(LCD) 산업이 성숙기에 접어든 때였다. 전임 권영수 대표이사 시절 매년 1조원 이상의 순익을 거두던 LG디스플레이는 2011년 8000억원 가까운 순손실을 냈다. LCD 패널 공급 과잉에 따른 영향이었다.
한 부회장 취임 이후 LG디스플레이는 대형 OLED 패널 양산을 위한 투자에 적극적으로 나섰다. 2013년 LG디스플레이는 대형 OLED 양산을 결정했다. 수율불안정에 대한 우려가 있었지만 데이터 간 연관 분석을 통해 공정이나 설비 이상을 조기에 감지해 품질을 높였다. 그 결과 세계 최고 수준의 수율을 확보했다.
대형 OLED 패널은 OLED TV가 프리미엄 시장에서 빠르게 자리를 잡으면서 LG디스플레이의 확실한 수익원으로 자리잡았다. 한 부회장의 선제적 투자의 결실이었다.
빠른 결단 덕분에 LG디스플레이는 2012년 2분기부터 지난해까지 23개 분기 연속 흑자를 달성했다. 디스플레이 분야에서 확고한 글로벌 1위 기업으로 올라섰다.
이 같은 성과에 힘입어 한 부회장은 2015년 11월 LG디스플레이 대표이사에 재선임됐고 부회장으로 승진했다. 2017년 11월에는 2021년까지 3년의 임기를 재차 받았다.
반면 소형 OLED패널 사업은 약점으로 지적된다. LG디스플레이는 중대형 패널 위주의 전략으로 소형 패널 시장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았다. 그러면서 삼성디스플레이에 애플의 OLED패널 단독공급자 지위를 빼앗겼다.
LG디스플레이는 올 1분기에 매출 5조6751억원에 영업 손실 938억원을 기록했다. 6년만의 영업손실이다. 2012년 대표이사 취임 직후 영업흑자를 낸 이후 6년만의 적자전환이다.
중국 발 공급 과잉 여파로 LCD패널 가격이 급락한 영향을 받았다. 애플과 협상을 시작한 OLED 패널 공급에선 성과가 더디게 나타나고 아직은 매출 비중이 높은 LCD패널에서 가격 급락의 영향을 받았다.
재계 관계자는 "한 부회장은 LG디스플레이를 중대형 OLED 패널 시장을 이끄는 사업자로 만들어낸 주역"이라면서 "향후에는 대형 OLED 치중 전략을 뛰어넘는 성과를 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고 전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오르비텍, 방사성폐기물 처리 신기술 도입
- 대우건설, 해외시장 진출 '박차'
- [Company Watch]온타이드, 매출절반 차지하는 해외법인 부진 지속
- [ESS 키 플레이어]한중엔시에스 '국내 유일 수랭식 공급' 가치 부각
- [크립토 컴퍼니 레이더]빗썸, 비언바운드 법인 청산…해외사업 '고배'
- [현대차그룹 벤더사 돋보기]에스엘, 투자 대폭 늘렸는데도 '무차입 기조' 유지
- [i-point]서진시스템 "베트남 대상 상호관세 부과 영향 제한적"
- [저축은행경영분석]굳건한 1위 SBI저축, 돋보인 '내실경영' 전략
- [보험사 자본확충 돋보기]iM라이프, 4달만에 후순위채 또 발행…힘에 부치는 자력 관리
- [저축은행경영분석]J트러스트 계열, 건전성 개선 속 아쉬운 '적자 성적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