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상선, 창립 후 첫 '흑자'…미주노선 호황 8월 둘째주 북미서안 '영업이익'…9월말까지 '만선'
고설봉 기자공개 2018-08-13 18:09:38
이 기사는 2018년 08월 13일 18시03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미주 컨테이너 전문선사로 서비스를 개시한 SM상선이 창립 후 첫 주간 영업이익을 냈다. 지난해 1월 공식 출범한지 1년 8개월 만에 적자에서 벗어나며 도약의 기틀을 마련했다.13일 SM상선에 따르면 지난 5월에 개설한 미주 북서안(Pacific Northwest Service) 신규노선과 기존 운영 중이던 미주 남서안노선(China Pacific Express)에서 창립 후 첫 주간 영업흑자를 기록했다. 이로써 SM상선은 올해 8월 첫째주까지 이어졌던 미주 노선에서의 영업적자를 끊었다.
SM상선은 미주 서안 두개 노선에서의 시너지 효과에 힘입어 시장 기대보다 영업이익 달성 시기를 앞당기는데 성공했다. SM상선은 출범 후 꾸준히 고부가가치 화물 확보에 노력했다. 배가 기항하는 지역 위주로 판매를 강화하고 원가 경쟁력을 갖춘 내륙운송망을 구축했다.
SM상선은 출범 초기부터 미주전문선사를 표방했다. 옛 한진해운 미주노선을 인수해 출범한 만큼 이 시장에서 다져놓은 영업 네트워크를 활용해 빠르게 시장에 안착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이에 따라 미주 서안 노선을 주력으로 원양선사로서 입지를 다져왔다.
향후 전망도 밝다. SM상선은 오는 9월 말까지 미주 두개 노선에서 화물 예약률을 100% 이상으로 끌어올렸다. 그만큼 앞으로 한 달간 주간 영업이익 달성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아직 4분기 선적 화물을 100% 확보하지 않은 만큼 시장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SM상선 관계자는 "초대형선 투입이 집중된 유럽노선과 달리 여전히 중소형 선박들이 운영 중인 미주 서비스에 회사가 가진 역량을 집중한 전략이 주효했다"며 "현재 쇄도하는 미주노선 예약으로 9월 말까지 전 선석이 초과 예약되어 있어 당분간 꾸준한 영업이익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이어 "현재 상황에 안주하지 않고 비수기인 4분기 이후 시장 변동성을 예의 주시해 선제적으로 시장에 대응할 것"이라며 "전 임직원들이 시장 환경을 최대한 활용해 올해 좋은 성과를 낼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건설리포트]한미글로벌, 연 5000억 매출 달성 '청신호'
- [비상장사 재무분석]‘체질개선’ 롯데GRS, 선제투자 기반 실적 반등 본격화
- [토목 엔지니어링 뉴 리더십]전경수 유신 회장, 대표 복귀 후 'EPC·신재생' 영토 확장
- 신세계건설, 영업손실 축소…공사비 회수 '과제'
- [Company Watch]'탈 플라스틱 관련주' 세림B&G, 흑자기조 유지
- [Company Watch]'연매출 1500억 목표' 네온테크, 하반기 외형 반등 예고
- [thebell note]한 건설사의 아픈 손가락
- CTO 영입한 다이소, 디지털 전환 '박차'
- LF 오너 4세 구성모, 코람코자산운용 인턴 입사
- [중견 문턱 넘은 광천김]김 제조 외길, 8년 연속 성장으로 외형 갖춰
고설봉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경영권 위협받는 한진칼]압박수위 높이는 호반, 한진칼 공략포인트는
- [감액배당 리포트]KISCO홀딩스, 대규모 '비과세 배당'...주주연대 '만족못해'
- [영상]항공시장 다크호스 대명소노, 티웨이항공에서 멈춰선 이유는
- [경영권 위협받는 한진칼]한진그룹, LS그룹과 혈맹…리스크 선제적 차단
- [경영권 위협받는 한진칼]'탄탄해진' 한진그룹 지배력...KCGI 분쟁 때와 다르다
- [경영권 위협받는 한진칼]지배구조 취약한 국적항공사…우호지분 45.5% '이상무'
- [항공시장 경쟁체제 점검]에어프레미아, 취항편 늘렸지만 고객 유치 실패
- [항공시장 경쟁체제 점검]티웨이항공, 장거리노선 '정상궤도' 올릴 수 있나
- [감액배당 리포트]엠에스오토텍, 자회사 명신산업 자본금 대규모 회수
- [항공시장 경쟁체제 점검]'다크호스' 대명소노, 티웨이항공에 '올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