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당주식형, LG유플러스·KT&G 매집 [펀드 포트폴리오 맵] 배당성향 강화 기대감 조성…삼성전자·삼성전자우 비중 감소
최필우 기자공개 2018-09-06 09:34:06
이 기사는 2018년 09월 05일 10시50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국내 설정된 배당주식형펀드가 LG유플러스와 KT&G 편입 비중을 확대했다. 두 종목이 배당 성향을 강화할 것이란 기대감이 조성되면서 편입 비중이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 삼성전자와 삼성전자우는 주가 하락 여파로 편입 비중이 감소했다.5일 theWM에 따르면 지난 7월 2일 기준 전체 자산운용사 배당주식형 펀드(대표펀드 기준)에서 편입 비중이 가장 많이 늘어난 종목은 LG유플러스였다. LG유플러스 비중은 지난 6월 한달 동안 0.91%포인트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LG유플러스의 배당주식형 내 비중은 5.08%까지 늘어났다.
|
LG유플러스를 편입하고 있는 배당주식형 펀드는 총 13개다. 신영자산운용과 미래에셋자산운용의 펀드들이 LG유플러스를 편입하고 있다. LG유플러스 편입 비중을 보면 신영자산운용의 배당주펀드에서 비중이 더 많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신영연금배당증권전환형자투자신탁(주식)'과 '신영고배당소득공제증권자투자신탁(주식)'은 편입 비중을 각각 0.61%포인트, 0.59%포인트씩 늘려 1.99%, 1.97%까지 끌어 올렸다. 순자산이 1조원을 넘는 '신영밸류고배당증권자투자신탁(주식)'은 0.58%포인트 늘어난 3.01%까지 증가했다.
LG유플러스는 지난해 주당 배당금을 기존 350원에서 400원으로 50원(14.3%) 올리는 등 배당 성향을 강화하는 추세다. 아울러 최근 5G 도입 수혜주로 부각되면서 주가가 오른 것도 편입 비중이 늘어나는 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KT&G는 총 23개 배당주펀드에서 편입 비중이 늘어났다. '미래에셋고배당포커스연금저축증권전환형자투자신탁1(주식)'은 편입 비중을 0.49%포인트 늘려 3.63%까지 확대했다. 신영밸류고배당펀드 내 비중은 0.43%포인트 늘어난 2.97%였다. 마찬가지로 배당 성향 강화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KT&G는 영업이익 감소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주당 배당금이 400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00원(11.1%) 늘어났다.
이밖에 LG화학(0.23%포인트%), SK텔레콤(0.14%포인트), KB금융(0.1%포인트) 비중이 증가했다.
|
삼성전자는 편입 비중이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다. 삼성전자 편입 비중은 1.75%포인트 줄어 22.45%까지 감소했다. 6월 한달 동안 주가가 8% 가량 하락한 게 비중 감소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삼성전자우 역시 0.09%포인트 감소해 11.8%로 줄었다.
GS(-0.35%포인트), 기업은행(-0.09%포인트), SK하이닉스(-0.08%포인트) 등은 비중이 감소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코스닥 오너의 투자조언
- [i-point]에이루트, 무상감자 결정
- [i-point]샌즈랩, 지식재산 경영인증 획득… IP 포트폴리오 강화 박차
- [i-point]한컴케어링크, 3년 연속 질병관리청 생산 과제 수행기관 선정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vs 라인메탈]주가만으로도 확실한 환원, 미래투자 차이점은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vs 라인메탈]안정적 배당 추구 vs 적극적 주주환원에 '알파'도 기대
- 교보생명, 보장성 비중 축소 속 실적·CSM 동시 감소
- BC카드, 신사업 선전에도 본업 매출 축소
- 푸본현대생명, 환율 변동성에 투자부문 적자
- 코리안리, 보험계약마진 증가… 킥스비율도 우상향
최필우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금융사 임베디드 동맹 분석]신한금융, 더존비즈온과 'ERP 뱅킹' 야심찬 청사진
- [우리금융 인사 풍향계]임종룡 회장 '독립 경영' 방침 드러난 보험사 CEO 선임
- [금융사 임베디드 동맹 분석]신한은행, 디지털 경쟁력으로 '공급망 금융' 선도한다
- [우리금융 인사 풍향계]'동양 성대규·ABL 곽희필' CEO 내정, 신한라이프 모델 따른다
- [금융사 임베디드 동맹 분석]KB국민은행, 코인·카페·편의점 침투 '리테일 최강자' 굳힌다
- [금융사 임베디드 동맹 분석]KB국민은행, 플랫폼 전략 전환 기점된 '모니모' 제휴
- [금융사 임베디드 동맹 분석]은행과 기업 플랫폼, '경쟁자→동반자' 인식 바뀌었다
- [JB금융 인사 풍향계]이승국 JB금융 CRO, 김기홍 체제 '최장수 임원' 등극
- [BNK금융 인사 풍향계]경남은행, 부산은행과 인사 교류로 '투뱅크' 한계 극복
- [우리금융 동양생명 M&A]밸류업 트리거 될 'ROE 10%'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