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테크놀로지, 대우조선해양건설 최대주주 등극 키스톤PE·인터불스 보유 지분 152억원에 인수
이명관 기자공개 2019-01-17 10:14:53
이 기사는 2019년 01월 17일 09시37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한국테크놀로지가 대우조선해양건설을 인수한다. 대우조선해양건설은 이번 거래를 통해 사모펀드 품을 떠나 1년 6개월여만에 새로운 주인을 맞이하게 됐다.17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한국테크놀로지는 이사회를 열고 대우조선해양의 최대주주인 'DSC밸류하이1호'를 매입키로 했다. 거래금액은 152억 5000만원이다. DSC밸류하이1호는 키스톤PE가 대우조선해양을 인수하기 위해 설립한 특수목적법인(SPC)이다.
이번 거래의 매도자는 키스톤PE와 코스탁 상장사인 인터불스 2곳이다. 이들은 DSC밸류하이1호 지분을 절반씩 나눠 갖고 있다. 키스톤PE는 DSC밸류하이1호의 의결권부 우선주 50%를, 인터불스는 보통주 50%를 보유하고 있다.
DSC밸류하이1호의 매매계약은 매도자별로 각각 이뤄졌다. 의결권부 우선주 50% 매매가는 82억 5000만원으로 책정됐다. 잔금납입은 지난 16일 계약체결과 함께 이뤄졌다. 나머지 보통주 50% 매매가는 70억원이다. 보통주 매입의 잔금납입일은 내달 18일이다.
이번 거래가 완료되면 한국테크놀로지는 대우조선해양건설 지분 99.21%를 확보한 최대주주에 오르게 된다. 이번 거래를 통해 대우조선해양건설은 1년 6개월여만에 새로운 주인을 맞이할 전망이다.
대우조선해양건설은 앞서 지난 2017년 7월 키스톤PE에 매각됐다. 당시 대우조선해양이 단행한 고강도 구조조정의 일환으로 매물이 됐다. 이후 매각 주관사로 이음PE를 선정하고 매각 절차를 진행했다. 키스톤PE는 SM그룹, 대명종합건설 등과 경쟁을 벌인 끝에 대우조선해양건설 인수자로 최종 낙점됐다. 구주 거래금액은 45억원이었다.
대우조선해양건설 전신은 1969년 설립된 세림개발산업이다. 1989년 진로그룹에 인수되기도 했던 대우조선해양건설은 회사정리절차에 돌입하면서 2005년 9월 대우조선해양과 케이디비밸류제일호 사모투자로 구성된 디에스엠이컨소시엄에 매각됐다. 이후 2006년 대우조선해양(지분율 95.06%) 계열로 편입됐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LP Radar]산은, 상반기 혁신성장펀드 위탁운용사 7곳 최종 선정
- 씨앤씨인터내셔널, ‘코스모프로프 월드와이드 볼로냐 2025’ 참가 성료
- 이창환 얼라인 대표, 코웨이 자료 놓고 "FCF냐 OCF냐"
- 밸런스히어로, 눈에 띄는 성장세 IPO '청신호'
- [출격 나선 롱숏 운용사]'대표 하우스' 타임폴리오 물만났다…'국장' 집중 모드
- 한국증권, GWM-PB라운지 '투트랙' 전략
- 수수료 전쟁 ETF, 결국 당국 '중재'나서나
- 메테우스운용, '김정현 운용부문장' 새 대표 낙점
- "리빙트러스트 발족, 하나금융 유언대용신탁 명망 잇는다"
- JB운용, '머큐어 앰배서더 홍대' 인수 눈앞
이명관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수수료 전쟁 ETF, 결국 당국 '중재'나서나
- [회생절차 밟는 홈플러스]단기채 '100% 변제'의 진실, 핵심은 기간
- 유안타증권, 해외상품 전문가 '100명' 육성한다
- 미래에셋운용, '고위험 ETF' 수수료 인하 검토 배경은
- 글로벌 최초 패시브형 상품…'노후' 솔루션 대안되나
- [WM헤드 릴레이 인터뷰]"'시니어 손님' 핵심 연령층…하나더넥스트로 노림수"
- [회생절차 밟는 홈플러스]법원, '기본요건' 빠졌는데 개시결정 내린 이유
- 미래에셋증권, 신규 '파르나스타워 센터' 콘셉트는
- NH증권, 현대중공업 메자닌 해외펀드에 셀다운
- [ETF 人사이드]에셋플러스 '고태훈' 카드…액티브 ETF 확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