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네트웍스 직영주유소 매각]누구와 손잡을까, 인수자 짝짓기 경우의 수 6가지예비입찰 마감 1주일 전 TF 구성한 SK에너지 깜짝 등장, 다양한 변수 존재
박기수 기자공개 2019-10-16 09:22:25
이 기사는 2019년 10월 15일 14시39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SK네트웍스 직영주유소 인수전을 두고 관련 업계에서는 에쓰오일(SI)과 맥쿼리자산운용(FI)이 컨소시엄을 이루고, 현대오일뱅크(SI)와 코람코자산신탁(FI)이 짝을 이뤄 인수전에 참가할 것이라는 예측이 짙었다. 각각 SI와 FI들이 일종의 '물밑 작업'을 단행하며 파트너십을 구축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다. 다만 예비 입찰 1주일 전 SK에너지가 '깜짝 재등장'하면서 의외의 SI·FI 조합이 나올 수도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
◇SK네트웍스·CS의 선택은
15일 SK네트웍스 직영 주유소 자산 매각 딜(Deal) 과정에 정통한 관계자에 따르면 매각주관사인 크레디트스위스(CS)는 인수 후보 중 정유사인 전략적 투자자(SI)와 FI들의 페어링(Pairing) 작업을 담당한다. 여기서 페어링이란 SI 한 곳과 FI 한 곳을 그룹으로 묶는 작업으로 페어링이 된 인수 후보자 한 곳이 최종 후보로 결정된다.
SK네트웍스는 기존에 주유소 자산과 운영권을 하나로 묶어 '통매각' 방식으로 국내 정유사들에게 인수를 제안했다고 알려진다. 다만 1조원이 넘는 가격에 정유사들이 난색을 보이자 매각 주관사로 선정된 CS가 '자산은 FI, 운영권은 정유사가 인수'한다는 분할 매각 방식을 들고 왔고, 정유사들과 FI들의 관심이 되살아났다.
업계는 현대오일뱅크와 코람코자산신탁이, 에쓰오일과 맥쿼리자산운용이 짝을 이뤄 매각 작업에 돌입할 가능성을 높게 점쳤다. 정유사와 FI 간의 협업 관계가 수 개월간 구축됐고, 물밑 작업을 통해 컨소시엄을 이룰 것이 기정사실화처럼 받아들여졌다.
다만 최종 인수 후보를 선정하는 등의 '주도권'은 SK네트웍스와 CS가 쥐고 있어 예상치 못했던 조합이 나올 수도 있을 전망이다. 딜 관계자는 "SI와 FI 매칭은 매각 주관사에서 시켜주기로 한 것이기 때문에 정유사들의 관건은 주유소 운영권 조건에서 SK네트웍스와 최고의 합의를 이뤄내는 것"이라면서 "(FI로 맥쿼리가 선정됐다고 가정했을 때) 에쓰오일과 맥쿼리가 짝을 이룰 것이라는 관측이 현재 시점에는 짙지만, 만약 다른 SI가 내놓은 조건이 월등할 경우 SK에너지-맥쿼리, 현대오일뱅크-맥쿼리 조합도 가능하다"라고 말했다.
눈여겨볼 점은 '현대오일-코람코', '에쓰오일-맥쿼리'라는 관계가 현재 시점에서 얼마나 돈독한지다. 딜 관계자는 "예를 들어 코람코자산신탁이 최종 FI 인수 후보자로 지목될 경우, '현대오일뱅크가 아니면 인수전에 참가하지 않겠다'라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고 말했다.
|
◇SK에너지 "그래도 같은 그룹 자산인데…" 예비입찰 마감 1주일 전 TF 조직
이번 딜에서 업계는 SK에너지의 인수 가능성을 가장 낮게 봤다. 이미 주유소 개수가 국내 정유사들 중 독보적 1위인데다 굳이 높은 금액을 주고 주유소 사업을 가져올 이유가 없어보였기 때문이다.
다만 SK에너지가 이번 딜에 참가한 과정이 밝혀지면서 다시 한번 유력 인수 후보로 재조명받고 있다. SK네트웍스 주유소 자산 딜에 정통한 한 관계자에 따르면, SK에너지는 예비 입찰 마감 데드라인(9월 24일) 1주일 전 급하게 TF팀을 짜고 인수전 참가를 결정했다. '주유소 운영권'만 사면 되는 상황이 연출되자 이전보다 자금 부담이 없어져 다시 한번 불씨를 되살렸다는 분석이 힘을 얻는다.
|
한 재계 관계자는 "좋은 딜을 맺었던 전례가 있는 만큼 '같은 그룹부터 챙긴다'는 그림이 올해도 재현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여기에 결정적으로 주유소 자산·운영권 분리 매각 추진 이전 단계에서 SK네트웍스가 SK에너지에게 가장 먼저 인수 의향을 물어봤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SK에너지의 인수 가능성이 높게 점쳐지고 있다. 재계 관계자는 "SK네트웍스는 기존에 주유소 자산과 운영권을 하나로 합쳐 '통매각' 형식으로 딜을 추진했다"라면서 "이 과정에서 가장 먼저 인수 의향을 물어봤던 곳이 SK에너지다"라고 말했다.
한 재계 관계자는 "일각에서는 주유소 사업의 수익성이 크지 않고 인수 효과도 미미해 SK에너지의 인수 의지가 크지 않을 것이라는 업계 시선도 있다"라면서 "다만 매각 주관사로 CS가 선정되기 이전 단계에서부터 SK네트웍스가 가장 먼저 인수 의향을 물어본 회사가 SK에너지였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현재 GS칼텍스를 제외한 정유 3사가 SI 후보자로 들어와 있지만 지난 2년 전과 올해 5월 상황을 고려했을 때 다시 한번 SK에너지가 우선순위일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제이엘케이, ‘메디컬 AI 얼라이언스’ 출범식 개최
- 카카오엔터테인먼트 매각, 투자자간 셈법 엇갈린다
- 카카오, '11조 몸값' 카카오엔터테인먼트 매각 추진
- [i-point]대동, 우크라이나 농업부와 미래농업 기술 지원 협력 논의
- '위기를 기회로' 탑코미디어, 숏폼 올라탄다
- [thebell interview]임형철 블로코어 대표 “TGV로 글로벌 AI 투자 확대”
- [VC 경영분석]유안타인베, '티키글로벌' 지분법 손실에 '적자 전환'
- [VC 경영분석]성과보수 늘어난 CJ인베, 줄어드는 관리보수 '과제'
- [VC 경영분석]'첫 성과보수' 하나벤처스, 모든 실적 지표 '경신'
- [VC 경영분석]SBVA, '펀딩·투자·회수' 선순환…'당근' 성과 주목
박기수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Financial Index/한화그룹]방산·태양광 희비 '극명'…솔루션 ROE 악화 심화
- [Financial Index/삼성그룹]삼성전자, 잉여현금흐름 '20조' 육박…계열사 대부분 흑자
- [캐시플로 모니터]한화 3형제 가족회사 한화에너지, 가용 현금만 5000억
- [조선업 리포트]한화오션, 든든한 자금줄 산은 덕 현금흐름 '이상무'
- [Financial Index/삼성그룹]삼성전자, 순현금만 93조…차입 부담 버거운 호텔신라
- [Financial Index/삼성그룹]삼성전자, 영업익 본 궤도로…수익성 독보적 1위 삼바
- [Financial Index/삼성그룹]삼성重 매출성장 1위, 삼바·삼전도 반등…고민 깊은 SDI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증자]한화에어로, 차입 조달했어도 부채비율 유럽과 '비슷'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증자]오션 연결로 부채비율 낮췄는데…유증이 최선이었나
- [Financial Index/삼성그룹]1년새 주가 어디가 올랐나…금융사·삼성重·삼바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