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지주 '황각규-송용덕 체제' 역할 분담 변화는 황각규 '미래전략·성장사업' 담당 …송용덕, 계열사 지원 업무·호텔롯데 상장 주력 관측
박상희 기자공개 2019-12-20 09:58:29
이 기사는 2019년 12월 19일 14시49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롯데그룹의 유통·서비스BU(사업부문)장을 맡고 있는 송용덕 부회장이 롯데지주 공동대표에 내정되면서 황각규 부회장과 '투톱 체제'를 이루게 됐다. 롯데그룹 2인자로 불리는 황 부회장 이외에 송 부회장이 롯데지주 대표로 추가 선임되면서 향후 역할 분담이 어떻게 이뤄질지 주목된다.롯데지주는 19일 이사회를 열어 송 부회장을 신임 롯데지주 대표로 선임했다. 내년 3월 임기 만료를 앞두고 있는 신 회장과 황 부회장은 연임됐다. 이에 따라 롯데지주 대표는 기존 두명에서 세명으로 바뀐다. 오너일가인 신 회장을 제외하면 황 부회장 단독 체제에서 송 부회장과 함께 2인 체제가 된 셈이다.
롯데지주 관계자는 "황 부회장이 계속 해왔던 전략 분야와 미래 성장 동력 등 사업적인 부분을 맡고 송 부회장은 이런 사업을 원활하고 신속하게 지원하는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황 부회장은 롯데 정책본부 출신이다. 정책본부는 롯데지주 출범 이전 그룹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던 조직이다. 황 부회장은 1995년 호텔롯데 기획조정실 국제팀장으로 발령난 이후 △ 2004년 롯데 정책본부 국제실장 △ 2014년 정책본부 운영실장 △ 2017년 롯데그룹 경영혁신실장 등을 거쳤다.
계열사 대표를 지낸 경력이 있는 다른 부회장이나 BU장과는 달리 황 부회장은 그룹 컨트롤타워에만 몸 담았다. 기획과 전략 업무에 뛰어나다. 롯데가 재계 5위로 성장하는데 밑거름이 된 대형 M&A(인수합병) 거래도 주도했다.
반면 송 부회장은 1979년 입사 이후 40여 년간 호텔롯데에만 몸담은 '호텔 전문가'다. 호텔 이외에 다른 계열사 경험은 없다. 전형적인 관리통으로 분류된다. 업무 처리도 꼼꼼하고 치밀한 것으로 전해진다. BU 별 사업 체제와 계열사 관리를 담당할 것으로 점쳐지는 이유다.
신 회장이 송 부회장을 롯데지주 대표이사로 부른 데에는 호텔롯데 상장을 염두에 둔 것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호텔롯데 최대주주는 일본 롯데다. 호텔롯데 상장은 롯데그룹 지배구조에 큰 영향을 미칠수밖에 없다. 송 부회장은 호텔BU장을 맡기 이전부터 호텔롯데 상장에 깊숙이 관여해왔다. 일본롯데와 롯데그룹 간 호텔롯데 관련 커뮤니케이션 업무를 담당할 것으로 예상하는 이유다.
롯데지주 관계자는 "호텔롯데 상장은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은 물론 롯데그룹 지배구조와 관련성이 깊다"면서 "송용덕 부회장이 롯데지주 대표이사가 된 배경에는 호텔에서 경력을 쌓아오면서 상장 준비를 맡아온 부분도 감안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1조 대어' 리브스메드, 미국 1800개 병원 공급망 뚫었다
- 라이프운용, 채권혼합형으로 '라인업 다양화'
- '이지스운용' 1대주주 지분 매각, 경영권 딜로 진화?
- 한화운용 책무구조도 대응…'운용-마케팅' 나눴다
- 더제이운용, 채널 다양화 기조…아이엠증권 '눈길'
- AI콴텍, RA 서비스 전선 확대…유진증권 고객 확보
- [Company Watch]SOOP, 중간배당 조항 신설…주주환원 '속도' 더한다
- [Company Watch]SK쉴더스, 현금 창출력 회복했지만 '비용 부담 여전'
- [ESS 키 플레이어]훈풍 탄 서진시스템, '1조 클럽' 가입
- [캐시플로 모니터]한화 3형제 가족회사 한화에너지, 가용 현금만 5000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