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금융 회장 선임 절차, 자율경영체제 확인 내부출신 후보군·자율적 인선 과정·회장 임기 3년 확정...과점주주체제 안착 방증
김현정 기자공개 2020-01-06 08:23:45
이 기사는 2020년 01월 03일 10시45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우리금융지주 회장 선임 과정 및 결과가 2018년말과 크게 달라졌다. 후보군을 모두 내부에서 추렸고 인선 절차도 사외이사들로 구성된 임원추천후보위원회 내에서 독자적으로 진행됐다. 회장 임기도 3년으로 확정했다. 불과 1년 사이 과점주주 중심의 자율경영 체제가 안정적으로 자리를 잡고 있는 것이 확인됐다는 평가다.1년 전만해도 우리금융이 지주사 체제로 전환하면서 지주 회장 자리가 생기자 내부·외부를 가리지 않고 10명이 넘는 인사들이 하마평에 올랐다. 전직 우리은행 출신의 금융감독원, 예금보험공사 임원을 비롯해 현 정부와 인연이 있는 전직 관료나 금융권 인물들도 후보군에 오르내렸다.
당시 최종구 전 금융위원장이 정부의 회장 인선 절차 개입가능성을 시사하면서 혼탁 양상이 심화되기도 했다. 최 전 위원장은 우리금융의 자율경영 원칙을 존중한다는 뜻은 변함이 없다면서도 "예보를 통해 지분 18% 이상을 보유하고 있는 만큼 지배구조에 당연히 관심을 가질 수밖에 없기에 의사표시를 할지를 고심하고 있다"고 말해 낙하산 인사에 대한 우려가 증폭되기도 했었다.
하지만 이번 임추위는 여느 민간 금융사 회장 인선과 다르지 않게 절차가 진행됐다는 평가를 받는다. 우선 회장 후보군이 손태승 우리금융 회장을 비롯, 정원재 우리카드 사장과 조운행 우리종합금융 사장, 이동연 우리FIS 사장 등 주요 계열사 대표이사들로 꾸려졌다.
네 명의 후보들 모두 한일은행과 상업은행으로 입행해 30년 가량을 줄곧 우리은행에서 일해 온 내부 인사들이다. 물론 능력 있는 외부출신 인사를 후보로 추천하는 것도 한 방법이 될 수 있겠지만 이번 행보는 우리금융 민영화 이후 독자적 경영이 입증됐다는 데서 의미가 있다는 평가다.
금융위의 스탠스 역시 일 년 전과는 사뭇 결이 달라졌다는 얘기도 나온다. 전날 은성수 금융위원장은 손 회장의 연임을 놓고 "우리금융의 인사 스케줄상 불가피했던 결정"이라며 우리금융의 인선 절차를 존중하는 취지의 시그널을 보냈다. 지금도 예보를 통해 지분 18.32%를 보유하고 있는 것은 변함이 없지만 우리금융을 과점주주(총 합산 지분율 25.9%) 체제 아래 움직이는 민간금융사로 온전히 이해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우리금융 임추위는 지난 인선 절차에서 1년으로 제한됐던 회장의 임기를 3년으로 늘리기도 했다. 2018년 11월 금융위와 예보 측은 우리은행의 임시 이사회 전, 우리금융의 회장과 행장을 1년간 겸직하는 방안을 제시했고 당시 사외이사들도 이런 정부의 입장을 반영한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업 특성상 중장기 리스크를 고려해 경영전략을 수립해야 하기 때문에 보통은 CEO임기를 '2+1년' 체제를 유지하고 있다. 이 때문에 당시 만일 1년 뒤 지배구조가 바뀌게 된다면 직전 CEO가 준비한 경영전략도 수포로 돌아갈 가능성이 있다는 점에서 우려가 커지기도 했다. 내부적으로 겸직 임기는 줄여도 회장 임기는 3년을 보장해야 한다는 말이 나왔었지만 결국 손 회장의 지주 회장 임기는 1년으로 결정된 바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우리금융은 2001년 지주 출범 뒤 2014년 해체되기 전에도 윤병철·황영기·박병원 전 회장 등 유난히 외부출신 회장이 많았다"며 "민영화 작업 이후 과점주주 중심의 이사회가 자리잡으면서 과거를 떨쳐낸 모습이 이번 회장 인선 절차에서 돋보였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제이엘케이, ‘메디컬 AI 얼라이언스’ 출범식 개최
- 카카오엔터테인먼트 매각, 투자자간 셈법 엇갈린다
- 카카오, '11조 몸값' 카카오엔터테인먼트 매각 추진
- [i-point]대동, 우크라이나 농업부와 미래농업 기술 지원 협력 논의
- '위기를 기회로' 탑코미디어, 숏폼 올라탄다
- [thebell interview]임형철 블로코어 대표 “TGV로 글로벌 AI 투자 확대”
- [VC 경영분석]유안타인베, '티키글로벌' 지분법 손실에 '적자 전환'
- [VC 경영분석]성과보수 늘어난 CJ인베, 줄어드는 관리보수 '과제'
- [VC 경영분석]'첫 성과보수' 하나벤처스, 모든 실적 지표 '경신'
- [VC 경영분석]SBVA, '펀딩·투자·회수' 선순환…'당근' 성과 주목
김현정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이사회로 간 기업인]사외이사 영입의 법칙, ‘조력자를 찾아라’
- [2025 대한민국 사외이사 인식 조사]이사회 지원 조직, 정보 비대칭에 기여…보완점도 많아
- [2025 대한민국 사외이사 인식 조사]의사결정시 오너·대표 영향력 여전히 막강
- [thebell interview]“10년을 내다보는 전략, NEXT SK 이사회의 과제”
- [thebell interview]SK식 삼권분립…이사회가 힘을 갖다
- [이사회로 간 기업인]기업 돈줄 '금융업'·밸류체인 잘 아는 '제조업' 출신 인기
- [이사회로 간 기업인]100명 중 20명…귀한 '기업인 출신 사외이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