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금융 지분 매각, 원론적 입장만 반복한 공자위 9000원대 맴도는 주가, 구체적 움직임 없어 부정적 영향 지적도
김현정 기자공개 2020-06-24 08:08:44
이 기사는 2020년 06월 23일 17시05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금융위원회 공적자금위원회가 우리금융지주 지분 매각을 두고 장시간 회의 끝에 22일 밝힌 답은 결국 '원론적 입장' 정도에 그쳤다. '코로나 19' 사태에 따른 하반기 시장 상황을 봐가며 매각 작업을 개시하겠다고 발표했다. 기대를 모았던 '확정 시점'은 이번에도 없었다.매각 기한으로 잡아놓은 2022년까지 아직 시간적 여유가 있는 만큼 지금은 상황 주시가 '최선의 방책'이란 결론을 내린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4전5기 끝에야 지분 매각에 성공할 수 있었던 '아픈 기억'이 있다는 점에서 현 실정에 맞는 구체적 실행안에 서둘러 나서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공자위는 올 상반기부터 2022년까지 예금보험공사가 보유한 잔여지분 전량(17.25%)을 단계별로 정리하겠다는 로드맵을 지난해 6월 발표했다. 당시만 해도 주가 흐름이 안정적이었던 만큼 스케줄에 맞춰 매각 절차에 돌입할 것이라는 기대가 높았다.
그러나 로드맵 발표 당시에는 전혀 예상치 못한 '코로나 19' 변수가 떠올랐다. 올해 들어 우리금융 주가가 폭락하며 상황이 달라졌기 때문이다.
현 상황에서는 예보도 어쩔 수 없어 보이는 문제들이 있다. 지난해 7월 중순만 해도 1만4000원 안팎이었던 우리금융 주가는 현재 9000원 초반대를 맴돌고 있다. 예보 입장에서 주당 매각가가 1만2300원이 넘어야 원금 회수가 가능하다. 폭락장에서 주식을 굳이 매각하면 손실이 클 수 밖에 없다.
또 다른 현실적 장벽도 있다. 2010년 이후 정부가 우리은행 주식 매각 작업을 본격화했을 때 예보는 인수 적임자를 찾기 위해 국내 뿐 아니라 글로벌 각지를 직접 방문하며 구석구석 물색했다. 중동 산유국 국부펀드, 유럽·싱가포르 등 금융기관들을 대상으로 잠재적 투자가치를 알리기 위한 수많은 해외 IR을 개최했다. 그러나 코로나로 인해 해외 현지 IR 등 진행 길이 막혔다.
여기에 지난해 정한 매각 시한까지 아직 시간이 많이 남아 있기도 하다. 공자위 관계자는 “기존 로드맵을 지키지 못할 정도로 시간이 촉박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시장 상황을 봐가면서 매각을 추진하기로 한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일각에선 예보 측에서 어떤 액션도 취하지 않고 있는 것에 대해 우려 섞인 시선도 있다. 구체적 시점을 명확히 잡고 일정을 추진하는 모습을 보여주지 않는다면 잔여지분 매각에 대한 시장 기대감도 크게 떨어뜨리는 결과를 낳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주가 부양이 이뤄지지 않고 있는 또 다른 이유 중 하나로 거론된다. 사실상 17.25%의 예보 지분은 우리금융 주가가 힘을 받지 못하는 주된 이유로 꼽힌다. 거대 물량이 언제 시장에 풀릴지 모르는 불확실성이 있기 때문에 투자자들이 선뜻 우리금융 주식을 사기 어렵다는 해석도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이번에 붙은 전제 역시 그간 금융환경이 좋아지면, 상황이 호전되면 등 단서와 다를 게 없다”며 “지금이 코로나 영향권 아래지만 자문사 선정 등 구체적으로 단계별 액션을 보여주는 것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다른 관계자는 "우리금융 주가를 부양시키기 위해선 예보가 일부 손실을 보더라도 첫 단추를 일정대로 끼우는 모습을 보여줘야만 시장도 반응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제이엘케이, ‘메디컬 AI 얼라이언스’ 출범식 개최
- 카카오엔터테인먼트 매각, 투자자간 셈법 엇갈린다
- 카카오, '11조 몸값' 카카오엔터테인먼트 매각 추진
- [i-point]대동, 우크라이나 농업부와 미래농업 기술 지원 협력 논의
- '위기를 기회로' 탑코미디어, 숏폼 올라탄다
- [thebell interview]임형철 블로코어 대표 “TGV로 글로벌 AI 투자 확대”
- [VC 경영분석]유안타인베, '티키글로벌' 지분법 손실에 '적자 전환'
- [VC 경영분석]성과보수 늘어난 CJ인베, 줄어드는 관리보수 '과제'
- [VC 경영분석]'첫 성과보수' 하나벤처스, 모든 실적 지표 '경신'
- [VC 경영분석]SBVA, '펀딩·투자·회수' 선순환…'당근' 성과 주목
김현정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이사회로 간 기업인]사외이사 영입의 법칙, ‘조력자를 찾아라’
- [2025 대한민국 사외이사 인식 조사]이사회 지원 조직, 정보 비대칭에 기여…보완점도 많아
- [2025 대한민국 사외이사 인식 조사]의사결정시 오너·대표 영향력 여전히 막강
- [thebell interview]“10년을 내다보는 전략, NEXT SK 이사회의 과제”
- [thebell interview]SK식 삼권분립…이사회가 힘을 갖다
- [이사회로 간 기업인]기업 돈줄 '금융업'·밸류체인 잘 아는 '제조업' 출신 인기
- [이사회로 간 기업인]100명 중 20명…귀한 '기업인 출신 사외이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