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계 증권사, 2021년 IPO로 한몫씩 챙긴다 카카오 계열사에 크래프톤까지…역대 최대 규모
남준우 기자공개 2020-12-17 13:54:22
이 기사는 2020년 12월 16일 10시28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카카오그룹이 2021년 예정된 계열사 상장 주관사 선정 교통정리를 끝내는 모습이다. 딜 규모가 큰 만큼 외국계 주관사들도 합류해 IPO를 진행할 예정이다.카카오 계열사와 더불어 크래프톤도 대기 중이다. 그동안 외국계 IB들은 M&A에 집중하고 기업공개(IPO) 주관은 빅딜이 아니면 크게 관심을 갖지 않았다. 2021년은 사상 최대 빅딜 퍼레이드가 펼쳐지는 덕분에 주관 수수료로 지갑을 채울 수 있게 될 전망이다.
◇외국계 주관사, 2021년 빅딜 준비 완료
외국계 주관사들은 국내 시장에서 매년 건수는 적지만 높은 주관 실적을 기록했다. M&A 자문 업무에 집중하며 IPO는 빅딜에만 참여하는 고효율 전략을 펼쳐왔다. 올해는 2021년 4건의 빅딜 IPO를 주관하기 위해 분주히 뛰어다녔다.
특히 카카오그룹이 빅딜을 쏟아내며 한 몫씩 챙길 수 있게 됐다. 카카오그룹이 이해상충 문제를 고려해 한 증권사에 복수로 대표주관을 맡기지 않았기 때문이다. 기관투자자가 1년에 쓸 수 있는 예산이 정해져 있다. 주관사 입장에선 가장 매력적인 회사를 추천해야 한다. 계열사 딜을 동시에 주관할 경우 선택과 집중이 힘들어진다.
카카오페이는 올 10월 골드만삭스와 JP모간을 대표주관사로 선정했다. 카카오뱅크는 최근 크레디트스위스를 대표 주관사로, 씨티글로벌마켓증권을 공동 주관사로 선정했다. 초대형 IPO인 크래프톤에는 외국계 다수가 공동주관사로 합류했다. 크레디트스위스, 씨티글로벌마켓, JP모간 등이다.
◇잔뼈 굵은 씨티·JP모간, 오랜만에 모습 드러내는 골드만·CS

씨티글로벌마켓증권은 국내 빅딜에 자주 참여하며 매번 높은 주관 실적을 올리고 있다. 더벨 플러스에 따르면 씨티글로벌마켓증권은 15일 기준 ECM 주관 순위에서 5위를 차지했다. 2016년 4위, 2017년 5위 등 상위권을 유지해왔다.
올해는 SK바이오팜 상장 대표주관 하나만으로도 충분했다. 상장가 9593억원 중 3117억원을 책임졌다. 2016년과 2017년에는 각각 조단위 딜이였던 삼성바이오로직스와 넷마블을 담당하며 단 한건의 주관으로 순위권에 올랐다.
JP모간은 15일 기준 ECM 주관 순위 7위에 올랐다. 올해 빅히트엔터테인먼트 상장으로 2887억원의 실적을 올렸다. 2017년에는 씨티글로벌마켓증권과 함께 넷마블 IPO를 담당하며 8517억원의 주관 실적으로 4위에 오른 바 있다.
골드만삭스와 CS는 한국 시장에서 오랜만에 모습을 드러냈다. 골드만삭스는 2017년 생명보험사 오렌지라이프 상장에 미래에셋대우, KB증권과 공동주관으로 참여했다. 1조1055억원 딜로 2211억원의 주관 실적을 냈다.
CS는 2016년 이후 약 5년만에 모습을 드러낸다. 2016년 삼성바이오로직스와 두산밥캣이라는 굵진한 딜로 4072억원의 주관 실적을 내며 2016년 ECM 주관 실적 순위 6위에 오른 바 있다.
내년 딜 단위는 역대급이다. 카카오뱅크 20조원, 카카오페이 10조원, 카카오페이지는 3~4조원 규모의 기업가치를 예상하고 있다. 크래프톤도 30조원이 넘을 것으로 보인다. 2016년 이후 외국계 주관사들이 참여한 IPO를 다 합쳐도 카카오페이 하나에 못 미친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거래소, 3시간 심사 끝에 제노스코 상장 '미승인' 확정
- 대방건설, '부채비율 80%' 안정적 재무구조 유지
- [상호관세 후폭풍]'90일 유예'에 기업들 일단 안도, 정부 협상 성과에 쏠린 눈
- 에이치알운용, 한투 이어 '신한 PWM' 뚫었다
- KB증권, 2분기 롱숏·메자닌 헤지펀드 '집중'
- "지분 3%로 이사회 흔든다"…얼라인 '전투형 전략'의 정석
- 하나증권, 성장주 중심 라인업 변화
- 우리은행, 가판대 라인업 확대…'해외 AI·반도체' 신뢰 여전
- 하나은행, 라인업 고수 속 'NH필승코리아' 추가
- 리운운용, 메자닌 전문가 모셨다…투자 영역 확대
남준우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KCGI·미래에셋, '중복 상장 논란' 에식스솔루션즈 엑시트 플랜은
- '인프라 강자' 스톤피크, 아시아 2호 펀드 조성 추진
- [PE 포트폴리오 엿보기]'형님 잘 둔' 대한항공씨앤디서비스, 한앤코도 웃는다
- [회생절차 밟는 홈플러스]'지급 보증' 테스코, 임대료 미지급 점포 구세주될까
- [thebell League Table]'난공불락' 삼일PwC, 이번에도 산뜻한 선두 출발
- [PE 포트폴리오 엿보기]'FI·SI 다수 접촉' 티오더, 신규 투자 유치 추진
- 홈플러스에 대한 LP들의 자성
- 웰투시, '화장품 전문 기업' 엔코스 투자 추진
- [회생절차 밟는 홈플러스]'세일앤리스백 점포 부지' HUG 매각, 실현 가능성은
- [회생절차 밟는 홈플러스]점포 담은 'LP·자산운용사', HUG 매각 카드 '만지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