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배구조 분석]솔브레인 공개매수 마무리…지주사 개편 일단락지분 31%까지 확보…공정거래법 개정안 고려
김슬기 기자공개 2020-12-18 12:43:44
이 기사는 2020년 12월 17일 14시36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올해 지주회사로 전환한 솔브레인홀딩스가 솔브레인 주식 공개매수를 마무리했다. 사업회사 지분을 30% 이상 확보하면서 1년여간의 지주사 체제 전환을 일단락지었다. 다만 이달 중 신주 상장이 이뤄지면 솔브레인홀딩스의 주식 수가 대폭 증가해 주가흐름에는 긍정적이지 않을 수 있다는 평가다.솔브레인홀딩스는 지난 16일 일반공모 현물출자 유상증자 청약을 마쳤다. 솔브레인 주주들을 대상으로 한 청약으로 구주를 받고 홀딩스 신주를 발행해 주는 것이다. 당초 발행하기로 했던 주식은 1563만6894주였으나 청약수량은 1134만4351주였다. 청약률은 72.55%다.
솔브레인홀딩스는 이달 30일 신주를 상장시킬 예정이다. 실권주 429만여주는 미발행한다. 신주 발행가액은 주당 4만3877원이며 솔브레인 주식과의 교환비율은 5.21229801주였다. 솔브레인 1주당 매수가격은 22만8700원이다. 솔브레인 한주를 주면 솔브레인홀딩스 주식 약 5주를 받는다는 뜻이다.
이번 일반투자자 청약은 대부분 정 회장 일가가 참여했을 것으로 보인다. 전일 기준 솔브레인 주가는 25만5100원으로 솔브레인홀딩스가 제시한 주당 매입가보다 낮다. 반면 지주사인 솔브레인홀딩스의 주가는 같은 날 4만2750원을 기록했다. 일반투자자의 경우 솔브레인 주가가 더 높은 상황에서 더 비싼 가격을 주고 지주사 주식을 매입할 유인이 적다.
청약주식 수를 보면 정 회장을 비롯한 대주주 일가 모두가 현물출자 유증에 참여하지는 않은 것으로 파악된다. 정 회장은 사업회사 솔브레인 지분 29.64%(230만여주), 특별관계자들은 13.81%(132만여주), 총 43.45%(418만주)를 보유하고 있다. 정 회장이 보유한 주식을 모두 지주사 주식으로 전환한다고 가정할 경우 1220만여주까지 늘어나야 한다. 하지만 이번 청약수량은 1134만여주다.

현 수준으로도 대주주 일가가 지주사에 미치는 지배력은 공고할 것으로 예상된다. 대주주 일가의 기존 보유지분과 신주 발행되는 주식 등을 감안하면 이들의 지분은 70%대를 넘어선다. 솔브레인홀딩스가 이번에 확보하게 된 솔브레인 주식은 217만주다. 기존에 보유하고 있던 주식 23만여주를 더하면 총 241만여주가 된다. 지분율로 따지면 31% 수준이다.
올해까지 지주사는 자회사에 대해 상장사 20%, 비상장사 40% 이상의 지분을 보유해야 하지만 지난 9일 지주회사의 자회사 의무 지분율을 상장사 30%, 비상장사 50%로 상향하는 공정거래법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면서 기준이 높아졌다. 솔브레인홀딩스 역시 이를 감안, 높아진 기준에 맞게 지분 매입을 한 것으로 관측된다.
한편 신주 발행 이후 솔브레인홀딩스의 주식 수는 2096만여주까지 확대되면서 주가 흐름에는 물음표가 찍혔다. 분할 상장 첫날 솔브레인홀딩스는 상한가를 치며 5만9800원에 장을 마쳤다. 다음날도 25% 가량 주가가 올라 7만5000원을 기록, 신고가를 찍었다. 이후 주가는 하락세를 보이면서 4만원대로 내려왔다.
이달 내 신주 상장을 마치면 발행주식 수는 기존 주식 수(약 962만주)에 비해 2배 늘기 때문에 주가에 긍정적이진 않다. 다만 늘어나는 주식이 대부분 대주주 일가의 주식으로, 유통 가능성이 낮아 주가 하방이 어느정도 막혀있다고 볼 수 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영상]항공시장 다크호스 대명소노, 티웨이항공에서 멈춰선 이유는
- 코스닥 오너의 투자조언
- [i-point]에이루트, 무상감자 결정
- [i-point]샌즈랩, 지식재산 경영인증 획득… IP 포트폴리오 강화 박차
- [i-point]한컴케어링크, 3년 연속 질병관리청 생산 과제 수행기관 선정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vs 라인메탈]주가만으로도 확실한 환원, 미래투자 차이점은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vs 라인메탈]안정적 배당 추구 vs 적극적 주주환원에 '알파'도 기대
- 교보생명, 보장성 비중 축소 속 실적·CSM 동시 감소
- BC카드, 신사업 선전에도 본업 매출 축소
- 푸본현대생명, 환율 변동성에 투자부문 적자
김슬기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LS증권 ROE 반등…LS네트웍스 캐시카우 될까
- '개미친구' 키움증권의 화려한 변신
- [도우인시스 IPO]1분기 실적 주춤, 수요예측에 영향 줄까
- [발행사분석]공모채 단골 '한진', 시장선 A0급 대접
- [Policy Radar]회사채 캡티브 영업 검사, 한국·신한증권으로 확대
- 포스코퓨처엠 달라진 유증 환경…뚝 떨어진 수수료율
- KIST·M83, 인공지능 기반 3D 객체 식별 기술 '맞손'
- 4년만에 유상증자 포스코퓨처엠, 키움증권 합류 눈길
- [도우인시스 IPO]이사회로 본 '뉴파워프라즈마·삼성벤처' 동행, 유효기간은
- 미래에셋, 8.5%까지 끌어올린 ROE…목표 달성 가시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