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스트운용, 태영건설 지분 왜 다시 사들이나 "시가총액 5000억, 5년 성장전망 대비 극단적 저평가"
허인혜 기자공개 2021-01-18 07:55:32
이 기사는 2021년 01월 15일 08시13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주주 행동주의에 나섰다 대부분의 지분을 정리했던 머스트운용이 최근 다시 태영건설 주식을 사들이고 있다. 지배구조 개편을 이끌어 내면서 차익실현을 한 이후에도 만성적인 저평가는 여전히 매력적이라는 판단을 하고 있다.태영건설이 향후 3년간 대규모 건설 계약을 앞두며 실적개선 기대감이 커진 것도 긍정적이다. 머스트운용이 이끈 인적분할로 태영건설이 건설업에만 집중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됐다는 점 역시 재매수의 이유로 꼽힌다.
머스트운용의 태영건설 지분은 1월 5%를 넘겼다. 머스트운용의 투자 성격을 감안할 때 짧은 시일 내에 태영건설 주식을 재매각하는 것보다는 추가 매수에 나설 가능성이 더 높다. 머스트운용 관계자는 "향후 약 5년간 발생할 이익 대비 현재의 시총 5000억원이 매우 저렴하다는 것이 투자의 메인 아이디어"라고 답했다.

동종업계 주가수익비율(PER) 대비 태영건설의 PER은 매우 낮은 수준이다. 태영건설의 시가총액은 약 5000억원 정도다. PER은 2020년 3분기 기준 1.66배로 산출된다. 인적분할이 9월 말 집행된 만큼 정확한 PER 산출은 어렵지만 태영건설의 분할 전 합산 PER은 5~6배 수준이다.
대형 건설사들의 PER이 9~10배로 집계된다. 인적분할 전에도 동종업계 대비 낮아 태영건설의 주가가 상대적 저평가 됐다는 의미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앞으로의 이익 대비 PER이 가장 중요하지만, 현재 이익으로 계산된 PER로도 동종업계 대비 매우 싼 수준"이라고 분석했다.
재매집의 두 번째 이유는 태영건설 건설부문의 실적개선 전망이다. 태영건설의 지난 수주 실적 대비 앞으로 예정된 분양 계획이 더 많아서다. 태영건설은 2020년 자체 분양세대수 1851세대를 기록했다. 전년 3495세대 대비 주춤한 성적이다.
내년과 내후년에는 해마다 큰 폭의 반등이 예상된다. 태영건설은 올해와 내년, 내후년 대규모의 개발사업 분양이 예정돼 있다. 지난 2015~2016년 1차 개발 산업 확장기에 이어 내년 2차 호황이 나타날 확률이 높다는 설명이다. 2021년 약 3800세대를 시작으로 2022년과 2023년 1만3000세대 이상의 분양을 목표로 하고 있다. 자체 분양세대수 전망치는 2021년 3750세대, 2022년 5160세대, 2023년 8160세대다. 성정환 현대차증권 연구원은 2020년 12월 30일 발표한 보고서에서 태영건설이 두 번째 개발 사이클을 목전에 두고 있다고 평가했다.
인적분할로 태영건설이 건설업에만 집중할 수 있는 토양도 마련됐다. TSK코퍼레이션(환경), 블루원(골프장임대), 태영인더스트리(무역) 등 비건설 계열사가 티와이홀딩스로 이관됐기 때문이다. 성장폭은 건설 사업부문에 큰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태영건설에 대한 시장의 평가도 나쁘지 않다. 현대차증권 리포트에 따르면 지난 3분기를 기준으로 1년간의 투자등급 통계는 '매수'에 무게가 실려 있다. 2019년 10월부터 2020년 9월까지 태영건설에 대한 리포트 156건 중 137건(87.8%)가 매수의견을 냈다. 매도의견은 한 건도 없었고 보유 의견이 12.2%였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폴라리스오피스, 서버리스 ‘웹오피스’ GS인증 1등급
- [i-point]킵스바이오파마, 윤상배 신임 대표 합류
- [i-point]국떡, 美 특허청 상표권 등록…"글로벌 시장 본격 공략"
- '전력반도체 올인' 매그나칩, 2분기 내 DDI 철수
- [지방 저축은행은 지금]부·울·경 12곳 중 9곳이 적자, '빅3'도 PF 직격탄
- [금융지주 해외은행 실적 점검]흑자 기조 이어간 KB미얀마은행, 웃지 못하는 이유
- [보험사 자본확충 돋보기]ABL생명, 후순위채 의존도 급등…커지는 '자본의 질' 고민
- [보험사 CSM 점검]한화생명, 빅3 중 홀로 잔액 감소…효율성 악화에 발목
- [지방은행vs인뱅 구도 변화]리테일 강자 된 인터넷은행…다음 타깃은 소호 금융
- [캐피탈사 리스크 관리 모니터]BNK캐피탈, 여신감리 기능 확대…자산 손실 최소화 목표
허인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Red & Blue]유상증자부터 승계까지 '요동친' 한화에어로스페이스
- [상호관세 후폭풍]조선업, 미국 제조공백에 '전략적 가치' 부상
- [2025 서울모빌리티쇼]HD현대사이트솔루션 대표 "북미 매출목표 유지한다"
- [조선 기자재 키플레이어]오리엔탈정공, 실적·배당 확대 불구 여전한 저평가
- '터널 끝' 적자 대폭 줄인 대선조선, 흑전 기대감
- [한화그룹 승계 로드맵 점검]증여세 '2218억' 삼형제의 재원조달 카드는
- [방산 체급 키우는 한화그룹]몸값 높아진 오스탈, 한화그룹 주판 어떻게 튕겼나
- [한화그룹 승계 로드맵 점검]김승연, ㈜한화 지분 절반 넘겼다…'장남 승계' 굳히기
- '햇볕 든' 조선사업...HJ중공업, 상선·특수선 고른 성장
- 한화에어로 '상세한' 설명에...주주들 "유증 배경 납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