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페이, 적정가치 찾기…'가입자 가치' 중요도↑ 플랫폼 '확장성' 밸류 반영 난제…글로벌 유사기업의 가입자 기반 '유력'
최석철 기자공개 2021-04-28 13:44:09
이 기사는 2021년 04월 27일 07:05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카카오뱅크에 이어 카카오페이도 증시 입성을 위한 본격적인 시동을 걸었다. 10조원을 넘는 빅딜인 데다 국내 테크핀 기업 가운데 사상 처음으로 증시에 입성하는 만큼 테크핀을 주된 정체성으로 삼은 IPO 후발주자의 관심이 쏠린다.새로운 사업모델인 만큼 기존 전통적인 지표로는 적정 기업가치를 산출하기는 어렵다는 평가다. 유저의 사용을 바탕으로 하는 플랫폼 사업자라는 측면에서 가입자당 평균매출(ARPU)이나 MAU(월간 활성화 이용자 수) 등의 지표를 적극 활용하는 방식이 대안으로 떠오른다.
◇카카오페이, 사업 확장성 매력 포인트...알리페이 덕분에 '페이 서비스' 이해도↑
27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카카오페이의 최대 매력 포인트는 플랫폼의 확장성이다. 결제와 송금, 대출, 자산관리, 청구서, 인증 등 다양한 서비스가 제공되는 창구다.
카카오라는 대중 플랫폼을 사용하는 전국민의 결제 정보와 송금 정보, 생활 정보 등이 결집한 플랫폼인 만큼 추후 빅데이터 측면에서도 활용성이 매우 크다. 개별 가입자를 대상으로 한 타켓 광고나 금융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형태다.
2대 주주가 알리페이라는 점에서 한국과 중국에서 상호 협업 가능성도 높다는 점도 매력 포인트다. 국내에 있는 다양한 플랫폼 사업자 중 해외에서도 통용되는 경우가 극히 드물지만 알리페이와 협업을 통해 국경을 넘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 지붕 아래 나란히 IPO를 추진하고 있는 카카오뱅크와 비교하면 시장에 나서는 발걸음이 한결 수월할 것이라는 평가가 나오는 이유다. 카카오뱅크의 경우 은행업이라는 본업 이상의 사업모델을 제시해야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카카오뱅크의 경우 은행으로서 주된 수입을 예대마진에서 확보하고 있으며 금융당국의 은행 규제인 BIS비율을 맞춰야하는 한계가 있다. 반면 카카오페이는 플랫폼을 기반으로 다양한 사업을 붙여가는 구조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자유로울 수 있다. 과거 주관사 선정 단계에서부터 카카오페이가 카카오뱅크보다 매력적으로 평가됐던 이유다.
알리페이가 공모단계까지는 통과했던 만큼 시장에서 카카오페이와 유사한 기업에 대한 이해도가 한단계 높아졌다는 점도 긍정적 포인트로 꼽힌다.
◇전통적 밸류 지표 적용 어려움...가입자 수 기초 밸류에이션 '적절' 평가
다만 이런 확장성을 어떻게 기업 밸류에 담아낼 수 있는지가 최대 난제다. 한국거래소에 상장예비심사 청구서를 제출한 단계지만 아직 기업 밸류 방식을 100% 확정짓지 못한 이유다.
통상적으로 IPO과정에서 활용되는 PBR(주가순자산비율), PSR(주가매출비율)과 PER(주가수익비율), EV/EBITDA 등은 현재 카카오페이의 기업가치를 산정하는 데 적절치 못하다는 평가가 우세하다.
카카오페이와 유사한 사업모델을 같고 있는 상장사가 거의 없는 만큼 같은 업종의 벤치마크를 두고 비교하는 상대평가(Peer group analysis) 방식은 현실적으로 어렵다.
카카오페이의 매출 성장세가 가파르긴 하지만 향후 수익 가치를 현재로선 예상하기 어려운 만큼 일단 가입자 수를 기초로 밸류에이션을 진행할 가능성이 높다. 카카오나 네이버 등 플랫폼 기업이나 렌탈업종, 통신사 등의 기업가치를 측정하는 데 주로 사용되는 방식이다.
비교기업이 국내외에서 어떤 지표를 토대로 기업가치를 인정받고 있는지를 살펴는 방식이다. 월간 활성 사용자(MAU) 수나, 가입자당 평균매출(ARPU), 가입자당 트래픽 등을 기초로 밸류에이션을 진행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카카오페이의 유사기업으로 유력하게 꼽히는 페이팔의 경우 지난해 ARPU는 21달러(약 2만3300원)였다. 카카오페이의 ARPU는 약 7000원 수준으로 추산됐다. 약 3분의 1 수준으로 여기에 다른 기업의 ARPU 등과 미국 증시와 한국 증시의 밸류 격차 등을 감안해 조정하는 방식이 유력하다는 평가다.
IB업계 관계자는 “카카오페이의 경우 현재 적자를 내고 있다는 점이 오히려 밸류 단계에서의 탄력성을 가져올 수 있는 부분"이라며 "향후 어떤 기업을 비교기업으로 하는지, 그 기업을 시장에서 어떤 지표로 보는지에 따라 갈릴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싸움의 고수' 김앤장
- [thebell desk]한미의 오너, 한미의 대주주
- 한국투자증권, 영업익 1위 '순항'...투자·차입 규모 조절
- [IB수수료 점검]SK증권, '자본잠식' 큐로홀딩스 유증 딜 수수료 '최대'
- [Company & IB]SK브로드밴드·한국증권, 장기물 흥행 '의기투합'
- [IPO 모니터]'자진 철회' 에이스엔지니어링, 상장 행선지 바꾸나
- [동인기연은 지금]'공들인' 자체 브랜드, 상장 이후 성장세 '멈췄다'
- 자회사 수혈 '숨가쁜' JB지주, 막바지 조달 나선 배경은
- 더랜드, 더팰리스73 'EOD' 3개월째…사업 운명 기로
- [새판 짜는 항공업계]다크호스 이스타항공, 항공업 판도 바꿀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