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페이, 꼬인 IPO 실타래…깊어지는 고심 밸류 영향 미미, 신고서에 적시된 리스크 vs 촉박한 시간, 규제 대응력 확인 필요
최석철 기자공개 2021-09-15 08:00:06
이 기사는 2021년 09월 14일 17:33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카카오페이가 IPO 일정을 놓고 고심에 빠졌다. 공모일정을 앞두고 정부의 규제가 더욱 강화됐지만 매출과 비즈니스모델 자체에 끼치는 영향은 그리 크지 않다는 평가다.하지만 금융당국과 협의할 시간이 다소 촉박한 데다 굳이 리스크를 짊어지고 IPO 일정을 강행할 이유 역시 없다. 금융당국의 태도가 이번 IPO의 핵심 변수로 떠오른 만큼 안정적인 상장일정을 택할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 제기되는 이유다.
◇단순정정·기간정정 놓고 당국과 협의...기존 증권신고서에 적시된 리스크
14일 업계에 따르면 카카오페이와 주관사단은 금감원과 IPO 증권신고서 정정 방식을 놓고 논의를 지속하고 있다. 금융당국의 시각이 가장 주요한 변수가 된 만큼 적극적인 의견 개진보다는 당국의 태도 변화를 주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위가 카카오페이의 펀드·보험 서비스를 놓고 금소법 위반으로 해석한 만큼 정정 사유 발생에 대해선 이견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이를 효력발생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단순정정으로 진행할지, IPO 일정을 바꾸는 기간정정에 해당하는 중대한 내용변경으로 진행할지를 놓고 협의를 이어가고 있다.
자본시장법상 증권신고서는 제출된 뒤 15영업일이 지나야 효력이 발생한다. 이 기간에 금감원은 신고서를 살펴 하자나 기재 불충분 사유가 있는지를 판단해 정정을 요구할 수 있다.
일단 카카오페이는 펀드 투자 관련 서비스의 제공 주체를 카카오페이증권으로 명시하고 운전자보험과 반려동물보험, 해외여행자보험 등 일부 보험서비스를 잠정중단했다. 향후 금융당국과 협의를 거쳐 재오픈 여부를 결정할 방침이다.
일부 서비스가 중단됐지만 IPO 밸류 자체에 심각한 리스크는 아니라는 평가다. 현재 중단된 일부 보험서비스의 경우 카카오페이의 전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한 자릿수로 알려졌다.
아울러 해당 서비스를 카카오페이 밸류 산정에서 완전히 배제할 필요성 역시 낮다는 관측이 우세하다. 펀드·보험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체가 카카오페이증권과 KP보험서비스라는 점만 소비자에게 명확하게 인지가 된다면 향후 사업을 진행하는 데 큰 무리가 없을 전망이다. 관련 법적 리스크 역시 기존 증권신고서에 적시된 내용이다.
◇추석 연휴 이전 정정방식 윤곽 잡혀야...대내외 IPO 필요성 공감대 형성
다만 문제는 시간이다. 단기간 내에 법령 해석에 대한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합의가 이뤄져야하지만 효력발생일 이전에 추석 연휴가 끼면서 실질적으로 협의를 이어갈 시간이 더욱 촉박해졌다.
지난 8월 31일 제출한 카카오페이 IPO 증권신고서의 효력발생일은 오는 9월 25일이다. 오는 25일 토요일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실질적으로는 27일 효력발생이 이뤄질 예정이었다. 정정 보고서를 작성하는 데 필요한 시간까지 포함하면 사실상 이번주 내에 정정 방식의 윤곽이 대략적으로라도 잡혀야한다는 계산이다.
시장 관계자는 "카카오페이가 이번에 내놓은 개선안에 대한 금융당국의 의견을 수렴하는 데에도 시간이 부족하다"며 "금융당국의 입장을 명확히 확인하기 전에는 단순정정으로 결정하기에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굳이 금융당국과 치열한 눈치싸움을 벌일 이유가 없다는 점 역시 고민을 키우는 요인이다. 한차례 공모가 고평가 논란에 휩싸였던 만큼 더욱 신중한 태도를 취하는 것이 향후 공모일정을 진행하는 데 유리할 수 있다.
최근 금융위와 금감원, 공정위 등 감독기관이 카카오페이는 물론 카카오그룹 전반에 대해 규제 칼날을 들이대고 있는 만큼 굳이 '모난 돌'이 될 이유가 없다.
투자자에게 신뢰를 줘야하는 시기라는 점 역시 걸림돌이다. 카카오페이 IPO에 대한 공감대를 이끌어내야하는 시기다. 밸류를 소폭 수정하고 일정을 뒤로 미루더라도 관련 리스크를 해소하는 데 주력하는 것이 정공법이 될 수도 있다.
상장예심 효력(6개월)과 ‘135일룰’ 등 상장일정과 관련된 시간 제한 역시 널널한 상황이다. 한차례 IPO 일정을 또 미루더라도 연내 상장을 추진하는 데에는 별다른 장애물은 없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수은 공급망 펀드 출자사업 'IMM·한투·코스톤·파라투스' 선정
- 마크 로완 아폴로 회장 "제조업 르네상스 도래, 사모 크레딧 성장 지속"
- [IR Briefing]벡트, 2030년 5000억 매출 목표
- [i-point]'기술 드라이브' 신성이엔지, 올해 특허 취득 11건
- "최고가 거래 싹쓸이, 트로피에셋 자문 역량 '압도적'"
- KCGI대체운용, 투자운용4본부 신설…사세 확장
- 이지스운용, 상장리츠 투자 '그린ON1호' 조성
- 아이온운용, 부동산팀 구성…다각화 나선다
- 메리츠대체운용, 시흥2지구 개발 PF 펀드 '속전속결'
- 삼성SDS 급반등 두각…피어그룹 부담 완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