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운용, ‘이벤트드리븐’ 해외펀드 선별투자한다 ‘삼성글로벌이벤트드리븐’ 설정 임박…블랙록·릭소·바렌 등 6개 피투자펀드 선정
이민호 기자공개 2021-09-28 07:15:21
이 기사는 2021년 09월 24일 15시35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삼성자산운용이 이벤트드리븐(Event Driven) 전략의 해외펀드에 분산투자하는 상품을 내놓는다. 인수합병(M&A)과 구조조정 등 이벤트를 활용하는 복수 펀드를 선별해 시장상황에 따라 편입비중을 조절하면서 수익을 노릴 예정이다.24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삼성자산운용이 ‘삼성글로벌이벤트드리븐’ 펀드 출시를 준비하고 있다.
이 펀드는 이벤트드리븐 전략을 구사하는 다수 해외펀드에 분산투자하는 전략을 취한다. 이벤트드리븐 전략은 각종 이벤트에 따른 주가변동 과정에서 수익창출 기회를 포착한다. 실적변동이나 자사주매입 등 정기적인 이벤트 외에도 인수합병 등 기업활동이 여기에 포함된다. 다수 이벤트드리븐 펀드에 분산투자하면 주식과 채권 등 전통자산과의 상관관계를 낮추면서 단일 펀드 투자에 비해 안정성을 끌어올리는 효과가 있다.

황준연 대체자산운용팀장이 운용을 책임진다. 황 팀장은 이 펀드 외에도 ‘삼성글로벌상장AI혼합자산’과 ‘삼성탑티어글로벌헤지펀드’를 운용하고 있다. 특히 지난해 7월 설정한 ‘삼성탑티어글로벌헤지펀드’는 주력전략이 해외펀드 재간접투자라는 점에서 이번에 출시하는 ‘삼성글로벌이벤트드리븐’과 유사하다. 이 펀드의 이번달 23일 기준 순자산은 83억원이다. 다만 이 펀드는 시장중립형 전략에 무게를 실어 변동성을 비교적 낮춘 점이 이번 ‘삼성글로벌이벤트드리븐’과 다르다.
‘삼성글로벌이벤트드리븐’ 투자풀(pool)에는 리스크관리에 적합하도록 유럽 공모펀드 기준인 UCITS를 만족하거나 이 기준에 준하는 공모펀드만 포함된다. UCITS 공모펀드는 유동성 제약, 분산투자 규정, 투자국가 제한, 리스크 통제, 거래상대방 리스크 등을 준수해야 한다. ‘삼성글로벌이벤트드리븐’은 각 피투자펀드에 대한 편입비중을 자산총액의 20% 이내로 제한하면서 시장상황에 따라 조절해 운용할 계획이다.
삼성자산운용은 이벤트드리븐 전략에 부합하면서 투자가 적합한 6개 해외펀드를 풀에 포함시켰다. 인수합병 차익거래(Merger Arbitrage), 특수상황(Special Situation), 구조조정 후 매각(Distressed&Stressed Credit) 등 전략을 이용하는 ‘Lumyna PSAM’과 미국 중심 인수합병 차익거래, 경영진 교체, 기업 스핀오프, 구조조정 등 이벤트를 활용하는 ‘BlackRock Global ED’가 대표적이다.
이외에도 △인수합병 차익거래에서 단기적이고 확신성 높은 투자건에 대량 포지션을 구축하는 ‘Lyxor Tiedemann’ △유럽, 북미, 아시아 지역 인수합병 차익거래와 이벤트드리븐 전략을 이용하는 ‘Helium Select’ △미국과 유럽 지역 공시된 딜에만 투자하는 ‘GAMCO Merger Arb’ △인수합병 차익거래, 이벤트 기반 주식 롱숏, 꼬리 위험 헤징(Tail Risk Hedging) 전략을 구사하는 ‘Varenne Global’이 포함됐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샌즈랩, 지식재산 경영인증 획득… IP 포트폴리오 강화 박차
- [i-point]한컴케어링크, 3년 연속 질병관리청 생산 과제 수행기관 선정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vs 라인메탈]주가만으로도 확실한 환원, 미래투자 차이점은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vs 라인메탈]안정적 배당 추구 vs 적극적 주주환원에 '알파'도 기대
- 교보생명, 보장성 비중 축소 속 실적·CSM 동시 감소
- BC카드, 신사업 선전에도 본업 매출 축소
- 푸본현대생명, 환율 변동성에 투자부문 적자
- 코리안리, 보험계약마진 증가… 킥스비율도 우상향
- [저축은행 서민금융 리포트]정책자금대출 경쟁 붙은 지주계, 앞서가는 하나저축
- 현대캐피탈, 본업 경쟁력으로 손익 방어…사옥 매각익 반영
이민호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조달전략 분석]SK어드밴스드, 회사채 중심 조달로 차입 3배 증가
- [저평가 시그널: PBR 0.3]'저평가' SK디스커버리, 주주환원이 열쇠될까
- [저평가 시그널: PBR 0.3]BGF-BGF리테일 'PBR' 가른 요인은
- [머니체인 리포트]CJ그룹 '제당→셀렉타'로 이어지는 지급보증 부담
- CJ셀렉타 매각 철회가 남긴 과제
- [머니체인 리포트]R&D 자금소요 CJ바이오사이언스, 현금 지원군 'CJ아메리카'
- [저평가 시그널: PBR 0.3]현대제철, '미국 제철소' 건설로 PBR 개선 기대
- [머니체인 리포트]미국사업 중심 '슈완스' 떠받치는 CJ제일제당
- [Financial Index/SK그룹]HBM 덕본 SK하이닉스, 이자부담 큰폭 완화
- [Financial Index/SK그룹]SK렌터카 '통큰' 매각, SK네트웍스 재무개선 성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