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이바이오로직스, PD-1 면역항암제 국책과제 선정 임상 2상 연구지원...'의료 AI' 루닛이 위탁연구개발기관으로 참여
임정요 기자공개 2021-12-20 14:03:22
이 기사는 2021년 12월 20일 13:56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항체 신약 개발 전문기업 와이바이오로직스는 면역항암치료제 'YBL-006'가 국가신약개발사업단 2021년 2차 '신약 임상개발' 부문 신규 지원 과제로 선정됐다고 20일 밝혔다.국가신약개발사업은 국내 제약·바이오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와 국민건강 증진을 위한 범부처 국가 R&D 사업이다. 국내 신약 R&D 생태계 구축을 위해 범부처(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보건복지부)가 신약 개발의 전 주기 단계를 지원한다. 와이바이오로직스는 YBL-006의 임상 2상 임상시험계획(IND) 승인과 임상 1상 진행 및 임상 2상 권장용량 확인을 목표로 2년간 연구지원을 받게 된다.
면역항암제 후보물질 YBL-006은 와이바이오로직스가 자체 개발한 PD-1 면역관문억제제다. 신체의 면역 반응을 유도해 암세포 표면에 위치한 면역관문 단백질 PD-1을 타깃한다.
키트루다, 옵디보 등으로 알려져 있는 PD-1 면역항암제 시장은 면역항암요법의 표준치료제로 부상하며 규모가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시장이다. 글로벌 의약품 시장조사기관 이밸류에이트파마(EvalueatePharma)는 2024년 글로벌 PD-1과 PD-L1을 더한 면역항암제 시장 규모가 546억 달러(약 63조원90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한 바 있다.
바이오 업계에서는 이번 선정을 통해 와이바이오로직스의 글로벌 시장 공략이 가속화되리라는 기대가 나온다. 와이바이오로직스는 올해 6월 미국임상종양학회(ASCO)에서 고형암 대상 ‘first-in-human(인체 최초)’ 임상 1상 중간 결과를 발표했다. 이어 9월에는 유럽 최대 규모 항암학회(ESMO)에서 YBL-006의 임상 1상 용량증가 중간 결과를 공개해 관심을 모았다.
와이바이오로직스는 YBL-006 용량 확장 연구에 더불어 내년 임상 2상 추진을 계획 중이다.
와이바이오로직스 관계자는 “전 세계적으로 품목허가를 받은 PD-1 기반 면역항암제는 고작 10종에 그치고 있으며, 이중에서 국내 기업이 개발한 제품은 전무해 개발 가능성 및 약물의 우수성을 인정받아 국가신약개발사업단의 지원을 받았다“며 “PD-1기반 국산 면역항암제가 탄생할 경우 그만큼 글로벌 시장에 끼칠 수 있는 영향력도 클 것이라 기대된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사업에는 YBL-006의 안정성과 내약성 검증을 위해 의료 인공지능(AI) 개발기업 루닛이 위탁연구개발기관으로 함께 한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현장진단' 타스컴, 50억 조달…890억 밸류
- '일동제약 자회사' 아이디언스, 150억 시리즈B 마무리
- OK저축은행, 외부서 IB 인력 수혈…수익 다각화 착수
- 조용병 신한금융 회장, 3연임 탄탄대로 열렸다
- 전영묵 삼성생명 사장 "부동산PF 안전히 체크 중"
- [수출입은행장 후보군 분석]기재부 '국제금융' 라인 독차지 관행…내부출신 가능성은?
- 에디슨이노, 제이스페이스 대표 사내이사로 선임
- [대동을 움직이는 사람들]'30년 생산 현장통' 노재억 전무, 매출 1조 '숨은 공신'
- 대상라이프사이언스, '이사회 정비' 해외 공략 시동
- [격변기 홈쇼핑 생존전략]GS리테일, '고객통합 속도' 홈쇼핑BU 성장동력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