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치엘비·노터스, '中 반려동물 시장 진출' 공감대 리보세라닙의 동물 항암제 가능성 베팅
최은수 기자공개 2021-12-30 08:37:37
이 기사는 2021년 12월 29일 17시13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에이치엘비와 국내 CRO 선두주자 노터스의 빅딜을 이끈 동력은 무엇이었을까. 양사는 글로벌, 특히 중국 반려동물 시장 진출에 공감대를 형성해 왔던 것으로 보인다. 에이치엘비 측은 수의사 출신인 김도형 대표의 전문성을 고려해 M&A 이후 대표직도 보장했다. 인수전에 뛰어든 경쟁사들을 제치고 본계약을 체결한 배경이다.에이치엘비와 노터스의 인연은 그룹 계열사인 에이치엘비생명과학으로부터 시작됐다. 다만 비임상 파트너사인 것 외에 접점은 없었다. 에이치엘비생명과학은 파이프라인 리보세라닙의 노인성 황반변성 치료제·동물 항암제로의 약물 재창출(Drug repositioning)에 돌입하면서 작년 초 해당 비임상을 노터스에 위탁했다.
올해 초 노터스가 M&A 매물로 나오면서 상황이 급변했다. 당초 노터스 측은 중국 최대 CRO 업체를 인수 우선협상 대상자로 선정하고 딜을 추진해 왔다. 해당 업체는 노터스 최대주주 측 지분 인수가를 경영권 프리미엄을 포함해 주당 4만원으로 책정했다. 다만 해당 CRO 업체의 최대주주인 중국 공산당이 최종 재가를 내주지 않았다.
결국 중국 CRO 업체와의 딜은 무산됐지만 노터스의 매물 가치는 여전히 원매자들에겐 매력적이었다. 작년 매출은 약 600억원, 영업이익률은 15% 정도였다. 올해 3분기까지 유보율(잉여금/납입자본금)은 7813%에 달했다. 에이치엘비를 비롯한 잠재적 매수자들은 노터스 인수를 위해 제한적 경쟁 입찰을 시도했다.
협상 과정에서 추후 인수자와의 시너지, 사업 파트너십이 형성되지 않으면 매각하지 않겠다는 게 정인성·김도형 노터스 대표의 입장이었다. 노터스 관계자는 "그동안 CRO 사업을 통해 성장해 왔지만 향후 신사업 타깃은 반려동물 관련 시장이었다"며 "이를 충족할 만한 새 주인을 찾는 것이 관건이었다"고 말했다.
정 대표와 김 대표 모두 수의사 출신이다. 국내 최대 규모의 동물병원 얼라이언스 로얄동물메디컬센터 원장 등을 맡으면서 중국 등지에 체인 동물병원 설립 후 사업화를 추진해 왔다. 노터스는 체인 동물병원 중국 진출 성과를 거두진 못했지만 반려동물 사업을 바탕으로 꾸준히 중국 시장에 진입하기 위한 포석을 다져왔다.
노터스 측 입장에서는 이를 위해 인수업체가 해외 인프라를 갖췄는지 여부도 판단 기준이었다. 에이치엘비의 경우 그룹 핵심 파이프라인인 리보세라닙이 중국에서 시판되고 있어 현지 진출을 위한 인프라 제공과 서포트가 가능하다는 판단이었다. 에이치엘비생명과학이 개발하는 동물 항암제 또한 리보세라닙의 약물재창출 형태인 만큼 시너지 창출 가능성도 충분하다고 판단했다.
진양곤 에이치엘비 회장 역시 노터스 기존 최대주주 및 경영진의 중국 반려동물 시장 진출 의지를 높게 평가한 것으로 파악된다. 인수 후에도 김도형 대표에 경영 총괄을 맡기는 한편 정 대표는 고문으로 위촉해 노터스의 해외 시장 진출을 지원토록 했다.
에이치엘비 관계자는 "노터스와 손을 잡으면서 신약 후보물질 발굴부터 협력 이점, 빠르게 성장하는 반려동물 의약품 시장 진출 등 시너지가 기대된다"며 "남은 인수절차를 잘 마무리해 주주 이익의 극대화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KGC인삼공사, 혈당 케어 브랜드 ‘GLPro’ 확장
- [i-point]원영식 오션인더블유 회장, 산불 피해 장애인·주민 후원
- [thebell note]WM의 IB화
- [연기금투자풀 지각변동]ETF 포트폴리오 추가…삼성·미래에셋운용의 '고민'
- [Product Tracker]IMM로즈골드5호 GP커밋, 유동화 펀드 구조는
- 전진건설로봇 기초자산 EB…운용사 우려에도 700억 매듭
- 엘엑스운용 'NPL펀드' 론칭…패밀리오피스 자금 확보
- [스튜어드십코드 모니터]마이다스에셋운용, 적극적 행사기조 '현재진행형'
- ACE 미국500타겟커버드콜, 월배당 매력 '눈길'
- [연기금투자풀 지각변동]하위운용사도 눈치싸움…"증권사 무방 vs 기존 선호"
최은수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저평가 시그널: PBR 0.3]OCI그룹, 저평가 극복전략은 '본업경쟁력' 회복
- [저평가 시그널: PBR 0.3]제약바이오 고평가 추세 밖에 선 일성IS·바이오노트
- [저평가 시그널: PBR 0.3]제도·규제 변화' 만난 보험주, 밸류트랩 오명 벗을까
- [레버리지&커버리지 분석]코웨이, '2100억 CP'로 융통한 밸류업 자금
- [저평가 시그널: PBR 0.3]코오롱그룹, 신사업 전초기지 중심 저밸류 탈피
- [Financial Index/시중은행]하나은행, '비용 효율' 최고, 우리은행은 '개선세' 으뜸
- [저평가 시그널: PBR 0.3]미래에셋그룹, '밸류업'이 가른 계열사 PBR 성적
- [Financial Index/시중은행]하나은행, 외화 LCR 200% 돌파…'강달러'도 문제없다
- [Financial Index/시중은행]우리·하나 10%대 ROE, 씨티·iM·KB 이자마진 톱3
- [Financial Index/시중은행]우리은행, 리스크 관리 역량 빛났다 'NPL·충당금' 1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