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스템 횡령 못 막은 이사회, CFO 유명무실 2015년 이후 사내이사 배제…허술한 '재무관리' 배경
최은진 기자공개 2022-01-06 07:16:04
이 기사는 2022년 01월 05일 07:15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오스템임플란트에서 1900억원에 달하는 횡령사건이 발생할 수 있었던 배경으로는 허술한 내부통제가 꼽힌다. 특히 대규모 자금 거래는 이사회를 반드시 거쳐야 하지만 재무전문가가 전무한 상황에서 이 같은 규정은 무용지물이었다.오스템임플란트는 2021년 9월 기준 이사회에 총 5인의 이사가 참여했다. 사내이사는 3인, 사외이사는 2인이다. 엄태관 대표이사와 함께 홍성조 생산본부장, 강두원 영업총괄이 사내이사로 활약 중이다. 사외이사로는 신정욱 인제대학교 응용공학부 교수와 정준석 EY한영회계법인 부회장이 참여하고 있다.

상법에서는 중요한 자산의 처분 및 양도, 대규모 재산의 차입 등에 대해선 반드시 이사회 결의를 거치도록 하고 있다. 오스템임플란트는 이 기준을 50억원으로 두고 있다. 이사회 규정에 따르면 50억원 이상의 계약 및 자산취득, 처분 등 이사회 결의를 거치도록 정하고 있다. 실제로 사업보고서 등에 따르면 오스템임플란트의 이사회 의결사안 대부분이 차입 및 자금대여 등 중요 자금거래 사안이었다.

하지만 오스템임플란트의 이사회에는 재무총괄 임원이 참여하지 않는다. 2015년까지만 해도 최고재무책임자(CFO)였던 이일규 전무이사가 사내이사로 활약했지만 이후부터는 생산 및 영업담당 임원만 사내이사로 올랐다.
사외이사 역시 회계전문가를 선임한 건 2020년부터다. 이전까지만 해도 응용과학 및 의대 교수출신 인물들을 앉혔다. 재무전문성을 갖추지 못한 이사들에게 관련 안건을 처리토록 한 셈이다.
오스템임플란트가 재무 관리를 얼마나 소홀히 했는지 여실히 드러나는 부분이다. 횡령을 벌인 자금관리직원이 어떤 방식으로 1900억원에 달하는 자금을 개인계좌로 이동시켰는 지는 밝혀지진 않았다. 하지만 이사회를 거치지 않고도 자금을 움직일 수 있을 정도로 내부통제 시스템이 제대로 갖춰지지 않았다는 얘기다.
이사회가 자체적으로 재무적 문제를 발견할 전문성도 갖추지 못하고 있는 것은 물론 감시감독 역량도 갖추지 못했다는 설명이다.
법조계 관계자는 "이사회에서 중요 재무사안을 다루도록 하고 있지만 그와 같은 부분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던 것은 물론 이를 감시감독하는 시스템도 없었던 것이 화근이 됐다"고 말했다.
현재 오스템임플란트 CFO는 송인섭 재경본부 전무다. 2019년부터 CFO로 재직중이며 횡령을 벌인 자금관리 직원 역시 해당 부서 직속이었던 것으로 파악된다.
오스템임플란트 관계자는 "CFO 개인과 관련해서는 얘기할 수 있는 게 없고 현재 경찰 수사가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지켜보고 있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스와니코코, 네이버쇼핑 인기 검색어 1위 달성
- 설립 5년 코메스인베, AUM1600억…올해 600억 결성
- [VC 투자기업]제이제이앤컴퍼니스, 해양플랜트 솔루션 활용 북미 진출 시동
- 오리엔트바이오, 1분기 흑자전환…'분기최대 영업익'
- 신금투, 주관계약 '10년차' 대성하이텍 결실맺었다
- 투자 혹한기 뚫은 직방, 1500억 자금 조달 뒷배는 '산은'
- [원전산업 체인 점검]오르비텍, 매출 성장 비결 'HP·ISI 양쪽 날개'
- NHN, 자사주 소각으로 주주환원 빅스텝
- SK텔레콤, 5G 리더십·플랫폼 다 잡았다
- 하나마이크론, 비메모리 테스트·기술 전문성 확장에 방점
최은진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의료재단 리포트]'성모병원 교수들'이 이끄는 가톨릭산학협력단·기술지주
- [의료재단 리포트]성모병원, 의료 네트워크 '최다'…수익도 국내 톱
- 연세대, '기술지주' 앞세워 바이오 투자 매진
- OCI, '바이오 투자·사업개발' 부광약품으로 일원화
- 사업 다각화 꾀한 서울대병원, 자회사 통한 확장
- '독립법인' 서울대병원, 2년 적자 메운 '삼성 기부금'
- 삼성생명공익재단, 바이오 투자 포석된 '교원창업'
- 삼성병원 3곳, 생명·재단·대학 '독자경영'…연 2조 수익
- 그룹보폭 맞춘 아산재단, 바이오 투자 나섰다
- 아산재단, 현대重 계열사 주식보유 '한도관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