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bell

전체기사

"불면증 디지털치료제, '베스트 인 클래스' 증명할 것" 강성지 웰트 대표 "DTx로 불면증, 근감소증 타깃, 시리즈B 큰힘"

임정요 기자공개 2022-02-14 07:14:43

이 기사는 2022년 02월 11일 16시44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디지털치료제(DTx) 기업 웰트는 의사 출신 강성지 대표가 2016년 6월 창업했다. 현재 직원 30명 정도다. 지난 1월 IMM인베스트먼트, 스마일게이트인베스트먼트, 포스코기술투자, 한독(SI)으로부터 110억원 규모 시리즈 B 유치를 마무리했다.

시리즈 A 이후 4년 만의 자금 유치였다. 강 대표는 "설립 이후 5년간 30억원으로 운영되던 회사에 110억원이 들어왔다"며 "공격적인 성장을 계획하고 있다"고 말했다. 올해엔 불면증 디지털치료제 앱의 확증임상을 마치고 상업화 허가신청을 넣는다. 추가 인력 영입 외에도 타법인 출자 등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

웰트(Welt) 사명은 '웰니스 테크놀로지'의 줄임말이다. 독일어로 '세계'를 뜻하기도 한다. 시작은 남성용 가죽벨트 형태의 웨어러블 스마트 디바이스였다. 강 대표와 노혜강 CFO(재무총괄)이 삼성전자 재직 당시 연구하던 프로젝트를 스핀오프시켜 공동창업했다.

최근엔 디지털치료제 회사로 거듭나며 앱 개발에 전념하고 있다. 파이프라인 진행속도는 불면증, 알코올중독, 섭식장애, 근감소증 순서다. 강 대표는 이 앱들이 "삼성의 하드웨어, 스마일게이트의 게임역량, 한독의 임상역량에 한화 보험사의 보상정책을 더한 융합 산물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타깃하는 시장은 글로벌이다. 1월 초 미국 라스베가스에서 열린 세계 최대 가전쇼 CES 2022에서 해피파이(Happify), 마하나(Mahana Therapeutics), 베터(Better Therapeutics) 등을 눈여겨 보고 왔다.

웰트가 추구하는 글로벌 시장 내 포지션은 '계열 내 최고(Best-in-class)'다. 불면증, 중독장애로 앞서 FDA 디지털치료제 허가를 받은 페어 테라퓨틱스(Pear Therapeutics)에 우위를 가질 특허 개발을 필수로 인식하고 있다. 페어에서 근무한 경험이 있는 약사 출신 김주영 이사를 영입해 미국 사업 기반을 마련 중이다.

강 대표는 "치료제 영역은 선두주자인 페어테라퓨틱스에서 배우지만 바이오마커 쪽은 우리가 리드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디지털치료제란 행동교정에 국한되지 않는 전반적인 질병 관리 플랫폼"이라며 "디지털바이오마커(임상적 효과성이 증명된 생체신호)를 기반으로 질환을 관리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디지털바이오마커 개발은 의학총괄(CMO)인 이유진 이사와 기술총괄(CTO)인 윤영복 이사와 풀어나가고 있다. 강 대표는 웰트를 제약회사 임원과 IT회사 임원이 한 자리에서 오해, 편견없이 대화할 수 있는 유일한 곳이라고 소개하는데 바로 이 두 이사를 두고 하는 말이다. 이유진 이사는 정신과전문의이며 웰트 합류 전 노바티스 코리아에서 CSO(과학총괄)을 지냈다. 윤영복 이사는 삼성전자 소프트웨어 담당을 거쳐 웰트에 합류했다.

강 대표는 또 "디지털치료제연합(DTA)에서 아시아태평양(APAC)이 하나의 중요한 클러스터로 격상되고 있다"며 "제약·바이오의 경우 유럽과 미국이 헤게모니를 가져왔다면 디지털치료제 분야만큼은 우리가 주도할 수 있는 영역"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주)더벨 주소서울시 종로구 청계천로 41 영풍빌딩 4층, 5층, 6층대표/발행인성화용 편집인김용관 등록번호서울아00483
등록년월일2007.12.27 / 제호 : 더벨(thebell) 발행년월일2007.12.30청소년보호관리책임자황철
문의TEL : 02-724-4100 / FAX : 02-724-4109서비스 문의 및 PC 초기화TEL : 02-724-4102기술 및 장애문의TEL : 02-724-4159

더벨의 모든 기사(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copyright ⓒ thebell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