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P운용, 김민국표 ‘저평가’ 진단 이번에도 적중할까 딥밸류 스타일 2호 출시…행동주의 포트폴리오 포함
이민호 기자공개 2022-06-14 10:10:22
이 기사는 2022년 06월 13일 14시53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VIP자산운용이 내재가치 대비 크게 저평가된 종목에 집중투자하는 딥밸류(Deep Value) 스타일의 펀드를 약 2년3개월 만에 출시한다. 앞서 2020년 3월 출시한 펀드가 국내 헤지펀드 시장에서도 손꼽히는 수익률을 달성하면서 이번 펀드의 향후 성과에도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13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VIP자산운용은 최근 ‘VIP Deep Value II’ 펀드를 신규 론칭했다. 올해 들어 이어지고 있는 증시 부진으로 주식형펀드에 대한 선호가 감소하고 있는 상황에서도 이 펀드에는 368억원의 자금이 몰렸다.
이 펀드는 VIP자산운용 김민국 대표가 운용을 맡는다. 이번 자금모집 흥행에는 김 대표가 앞서 설정한 ‘VIP Deep Value’에서 거둔 성공이 큰 역할을 했다. 김 대표는 코로나19 여파로 국내 증시가 바닥을 쳤던 2020년 3월 오히려 극심한 저평가 구간으로 판단하고 ‘VIP Deep Value’를 설정했다. 김 대표는 이익 성장에도 내재가치 대비 크게 저평가된 종목에 투자하는 딥밸류 스타일에 강점을 보유하고 있다.
당시 증시가 크게 출렁였지만 곧 반등에 성공했고 2020년말부터는 연중 주목받지 못했던 가치주가 랠리를 이어가면서 결과적으로 김 대표의 판단은 적중했다. ‘VIP Deep Value’는 2021년 한 해 동안 185%를 웃도는 수익률을 달성하면서 2021년 더벨 헤지펀드 리그테이블 롱바이어스드(Long Biased) 전략 펀드 중 수익률 1위에 오르기도 했다.
이 펀드는 올해 들어서도 지난달말까지 5개월간 4.5%의 수익률을 달성하고 있다. 이 기간 코스피지수가 9.8% 하락한 것을 고려하면 두드러진 성과다. 자금유입도 지속돼 설정액이 456억원으로 커진 상태다.
이번에 출시한 ‘VIP Deep Value II’도 앞선 펀드와 전반적인 출시 배경은 유사하다. 올해 들어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가 높은 상승률을 기록하면서 인플레이션이 장기화되고 있는데다 연준(Fed)이 이를 억제하기 위해 기준금리를 공격적으로 인상하면서 국내외 증시가 부진을 면치 못하는 상황이다. 하지만 김 대표는 단기적으로 증시가 조정받을 수는 있지만 현재 시점에서 크게 저평가된 종목을 선별해 투자해 놓으면 결국 장기적으로는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다는 판단이다.
특히 일부 편입 종목은 김 대표가 전개하고 있는 공개 및 비공개 주주행동주의의 대상기업인 점도 주목할 만하다. 김 대표는 변화 의지가 있는 대주주 또는 최고경영자(CEO)와의 우호적인 관계를 바탕으로 주주정책과 사업방향을 제시하는 컨설팅형 행동주의를 표방하고 있다. 이 때문에 비공개 행동주의가 기본이지만 한라홀딩스, 아세아 및 아세아시멘트, 현대에이치티의 경우처럼 일부 기업에 대해서는 전략적 판단에 따라 공개 행동주의에 나서고 있기도 하다.
주주행동주의 대상기업이 편입종목에 포함된 이유는 이들 기업이 결국 딥밸류 스타일의 관점에서 선별한 저평가 종목과 궤를 같이 하기 때문이다. 김 대표의 주주행동주의는 기본적으로 사업성이 우수한 기업을 대상으로 한다. 하지만 미흡한 주주환원정책 등의 이유로 기업가치가 저평가돼 있다고 보는데 최근 비우호적인 매크로 환경에 따른 주가 부진도 이들 기업이 딥밸류 종목에 해당하게 하는 한 가지 원인이 되는 것이다.
김 대표는 이번 ‘VIP Deep Value II’ 자금모집 때도 딥밸류와 주주행동주의를 결합한 포트폴리오 구성을 적극적으로 어필한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이번 펀드에는 기존고객 외에도 신규고객이 다수 출자했는데 이들 신규고객은 ‘VIP Deep Value’ 트랙레코드에 더해 주주행동주의 전개에 따른 기업가치 재평가 가능성에 신뢰를 보낸 것으로 알려졌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더본코리아 거버넌스 점검]구색 갖춘 사외이사, 법조계 일색 '아쉬움'
- 삼성E&A, '본드콜' 발생 태국 플랜트 계약 끊어냈다
- [건설리포트]BS한양, 에너지사업 포트폴리오 전환 '수익성 입증'
- 제이알투자운용, 역삼 '삼원타워' 매각…투자 13년만
- [건설리포트]'흑자전환' 코오롱글로벌, 원가 절감 숨은 공신은
- [건설리포트]일성건설, 외형 축소 속 원가율 개선 '성과'
- 삼성물산 건설부문, 성장세 가파른 '인도' 공략 본격화
- [현대건설 SMR 리포트]미래 성장동력 '차세대 원전', 밸류업 해법될까
- [영상]잘 나가는 현대차에 美관세 변수, 이승조 CFO의 재무전략은
- 롯데EM, 동박 미 관세 면제에 K배터리간 경쟁 '심화' 전망
이민호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조달전략 분석]SK어드밴스드, 회사채 중심 조달로 차입 3배 증가
- [저평가 시그널: PBR 0.3]'저평가' SK디스커버리, 주주환원이 열쇠될까
- [저평가 시그널: PBR 0.3]BGF-BGF리테일 'PBR' 가른 요인은
- [머니체인 리포트]CJ그룹 '제당→셀렉타'로 이어지는 지급보증 부담
- CJ셀렉타 매각 철회가 남긴 과제
- [머니체인 리포트]R&D 자금소요 CJ바이오사이언스, 현금 지원군 'CJ아메리카'
- [저평가 시그널: PBR 0.3]현대제철, '미국 제철소' 건설로 PBR 개선 기대
- [머니체인 리포트]미국사업 중심 '슈완스' 떠받치는 CJ제일제당
- [Financial Index/SK그룹]HBM 덕본 SK하이닉스, 이자부담 큰폭 완화
- [Financial Index/SK그룹]SK렌터카 '통큰' 매각, SK네트웍스 재무개선 성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