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초대형 SI, 일진머티리얼즈 M&A '다크호스' 급부상 미국 듀퐁·인도 할디아 비롯 복수 글로벌 화학사 투자 검토
김경태 기자공개 2022-06-30 08:24:54
이 기사는 2022년 06월 29일 10시01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일진머티리얼즈 매각 입찰이 임박한 가운데 해외 전략적투자자(SI)들이 다크호스로 부상할 조짐을 보이고 있다. 글로벌 시장의 초대형 화학사들이 투자설명문(IM)을 수령한 뒤 진정성 있는 검토를 이어가고 있기 때문이다. 글로벌 사모투자펀드(PEF) 운용사와 더불어 인수전의 유력 원매자로 부상할지 주목된다.29일 투자업계에 따르면 해외 대형 SI들도 일진머티리얼즈 매각주관사 씨티글로벌마켓증권이 배포한 IM을 받은 뒤 입찰 참여를 저울질하고 있다. 글로벌 최상위 화학사인 미국 듀퐁(Dupont), 인도 최대 화학사 중 하나인 할디아(haldia petrochemicals) 등이 IM을 수령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달 일진머티리얼즈가 깜짝 매물로 등장한 뒤 시장에서는 국내 대기업집단이 우선적으로 거론됐다. 매각 측의 호가가 높은 점 등을 고려해 포스코그룹, LG그룹, SK그룹, 롯데그룹이 유력한 인수후보자로 회자됐다. 하지만 포스코그룹이 불참을 선언하고 LG화학도 입찰에 참여하지 않는 쪽으로 기울면서 흥행에 어려움이 예상됐다.

하지만 대규모 블라인드펀드를 보유한 글로벌 대형 PEF 운용사들이 투자 검토를 지속하면서 인수전 분위기가 달아오를 여건이 조성됐다. 블랙스톤, 콜버그크래비스로버츠(KKR), 어피너티에쿼티파트너스 등 글로벌 PEF 운용사들이 투자 검토를 하고 있다.
여기에 글로벌 대형 SI들이 일진머티리얼즈 인수전 참전을 저울질하면서 입찰에서 다크호스로 부상할 수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듀퐁과 할디아 등 해외 SI 역시 일진머티리얼즈가 가진 성장성이 크다는 점과 최근 원·환율 상승으로 투자에 우호적인 여건이 형성됐다는 점에 투자를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올 들어 국내에서 진행된 조 단위 빅딜에서 해외 FI와 SI의 참여로 인수전이 흥행한 사례가 있다. 글랜우드프라이빗에쿼티(PE)가 매물로 내놓은 PI첨단소재의 경우 벨기에와 프랑스 소재기업인 솔베이, 알키마 등이 본입찰까지 완주하며 다른 원매자들과 막판까지 치열한 경쟁을 벌였다.
새주인으로 낙점된 베어링PEA는 해외 FI다. 스웨덴 발렌베리 가문의 EQT파트너스가 올해 베어링PEA의 경영권을 사들였다. EQT파트너스를 새주인으로 맞이한 직후 국내에서 첫 대형 바이아웃(경영권 거래) 투자를 성사시킨 셈이다.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베어링PEA는 블라인드펀드의 미소진금액(드라이파우더)이 많이 남아 있어 입찰에서 공격적인 가격을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미래에셋증권과 우리은행을 인수금융 주선사로 선정하는 등 거래종결(딜클로징)에 힘을 쏟고 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샌즈랩, 지식재산 경영인증 획득… IP 포트폴리오 강화 박차
- [i-point]한컴케어링크, 3년 연속 질병관리청 생산 과제 수행기관 선정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vs 라인메탈]주가만으로도 확실한 환원, 미래투자 차이점은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vs 라인메탈]안정적 배당 추구 vs 적극적 주주환원에 '알파'도 기대
- 교보생명, 보장성 비중 축소 속 실적·CSM 동시 감소
- BC카드, 신사업 선전에도 본업 매출 축소
- 푸본현대생명, 환율 변동성에 투자부문 적자
- 코리안리, 보험계약마진 증가… 킥스비율도 우상향
- [저축은행 서민금융 리포트]정책자금대출 경쟁 붙은 지주계, 앞서가는 하나저축
- 현대캐피탈, 본업 경쟁력으로 손익 방어…사옥 매각익 반영
김경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Company Watch]'쉼 없는 공장가동' 삼성메디슨, 소니오 정상화는 '요원'
- [Company Watch]삼성D, 코닝 주식 매각 '복잡해진 셈법'
- LK삼양, 신제품·신성장동력 힘 가시화 '반전 집중'
- SK, SK마리타임 합병 관련 조세심판 기각
- [삼성 빅딜 리부트]여유 없는 매도자 상황 노린 '영리한' M&A
- [삼성 빅딜 리부트]국내는 좁다…8년만 대형 M&A도 '크로스보더'
- [미국 로비활동 점검]삼성SDI 미국법인, 인하우스 조직 '분주'
- 크레센도, HPSP 리캡 'LP 중간회수·제값받기' 포석
- [IR Briefing]'저점 확인' 카카오, 비핵심사업 정리·슈퍼앱 진화 초점
- 하만에 오디오사업 판 마시모, 매각대금 '주가 부양' 투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