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2022년 11월 24일 07시39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건설경기가 침체일로를 겪는 상황을 지켜보면 다음 수순은 무엇일지 궁금해진다. 10여년전 금융위기 때와 큰 틀에서 같은 흐름을 보이고 있다는 점에서 시사점이 있다.레고랜드 PF사태가 아니더라도 국내 건설사는 '지방' 사업장에 '고분양가'를 내세운 대가를 톡톡히 치르고 있다. 수도권 규제 탓에 지방물량에서 수주고를 쌓고 실수요를 찾지 못해 미분양을 맞는 구도가 과거 10여년전과 별 차이가 없다.
절대적인 미분양 규모는 과거에 비해 크진 않다. 다만 심각성에 대해선 모두 공감하고 있다. 대구는 미분양이 1만세대를 넘었다. 이달 울산 최중심지에 분양한 건설사는 분양률 제로를 기록했다는 얘기가 심심찮게 들린다.
내년을 지나면 할인매각이 나오고 공사 미수금을 대손상각으로 인식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대형 건설사도 재무적인 타격을 피할 수 없다는 얘기가 된다.
과거 경험에 비춰보면 다음 수순은 미분양 펀드의 등장이다. 투자금을 만들어 미분양 아파트를 싸게 사들인 뒤 되파는 방식이다.
여태까지 정부조치는 모두 실기한 측면이 있다. 미분양 펀드만큼은 아직 선제적으로 취하지 않은 조치 중에 하나로 손에 꼽힌다.
과거 미분양 펀드는 준공후 물량에 초점을 맞춘 탓에 실질적인 건설사 유동성 지원 효과가 없다는 비판을 받았다. 건물이 다 지어질 때까지 미분양을 방치하고 있다가 펀드가 만들어진 후에 조치를 취한 탓에 건설사로 돌아가는 몫이 적었다. 확보된 자금 대부분이 대주단을 위한 대출금 상환에 쓰인 탓이다.
유동성 지원의 목적은 어디까지나 건설사에 초점이 맞춰져야 한다. 건설경기 침체 악화를 막으려면 선제적인 조치가 필요하다. 준공전 미분양 펀드는 대안이 될 수 있다. 그동안 정부 조치가 비판을 받았다면 이제는 선제적인 조치로 호응을 얻기를 바란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거래소, 3시간 심사 끝에 제노스코 상장 '미승인' 확정
- 대방건설, '부채비율 80%' 안정적 재무구조 유지
- [상호관세 후폭풍]'90일 유예'에 기업들 일단 안도, 정부 협상 성과에 쏠린 눈
- 에이치알운용, 한투 이어 '신한 PWM' 뚫었다
- KB증권, 2분기 롱숏·메자닌 헤지펀드 '집중'
- "지분 3%로 이사회 흔든다"…얼라인 '전투형 전략'의 정석
- 하나증권, 성장주 중심 라인업 변화
- 우리은행, 가판대 라인업 확대…'해외 AI·반도체' 신뢰 여전
- 하나은행, 라인업 고수 속 'NH필승코리아' 추가
- 리운운용, 메자닌 전문가 모셨다…투자 영역 확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