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ieu 2022]'TDF' 퇴직연금 대세 굳건…'KB운용' 삼성운용 넘었다[공모펀드/퇴직연금]올 들어 1조1400억 순유입…미래에셋 점유율 1위 여전
이돈섭 기자공개 2022-12-30 08:21:32
이 기사는 2022년 12월 27일 15시48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올해도 타깃데이트펀드(TDF)가 퇴직연금 시장의 성장을 견인했다. 해외혼합형 TDF가 연초 이후 부진한 수익률에도 불구하고 적립금 유치 돌풍을 일으켰다. 국내외 매크로 경기 환경 변화에 변동장세가 펼쳐진 가운데 퇴직연금 가입자 역시 해외시장을 선호한 결과로 풀이된다.개별 자산운용사별로는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미래에셋자산운용 우위가 이어진 가운데 KB자산운용이 삼성자산운용을 압도하는 모습을 연출했다.
27일 한국펀드평가에 따르면 지난 9일 현재 국내 전체 49개 운용사 퇴직연금 펀드(속성분류 기준) 2447개의 설정액 합계는 23조7648억원이었다. 연초 이후 1조1430억원이 순유입했다. 퇴직연금 펀드 세부 유형 중 국내주식형과 국내채권형 등 대부분 국내 펀드에서 자금이 빠져나갔지만, 해외혼합형과 해외주식형 등 해외투자 펀드에 대규모 자금이 들어와 국내펀드 축소분을 상쇄하면서 전체 규모 확대를 견인했다.
해외투자 펀드 세부 유형 중에서는 해외혼합형 펀드 규모가 가장 컸다. 해외혼합형 펀드 설정액은 8조9799억원. 올 들어 1조4320억원이 들어왔다. 해외혼합형 펀드 중에서는 TDF 인기가 단연 도드라졌다. TDF 설정액은 6조5905억원으로 해외혼합형 펀드 전체 설정액의 73.4%를 차지했다. 연초 이후 1조1253억원이 몰린 결과로 국내외 세부 유형을 불문하고 가장 큰 자금 유입세를 기록했다.
구체적인 TDF 빈티지별로는 포트폴리오 내 비교적 채권 자산 규모가 큰 TDF2020을 제외한 나머지 빈티지 전부가 설정액 확대 추세를 이어왔다. 퇴직연금 적립금 운용 비히클로 TDF가 주목받고 있는 데다, 올 들어 미국 증시 흐름이 국내보다 비교적 양호해 연금 적립금이 대거 이동했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지난해의 경우에도 TDF 중심으로 해외투자 펀드 설정액이 확대 추이를 기록한 바 있다.

'피델리티글로벌테크놀로지'에 2961억원이 순유입해 설정액 1조1854억원을 기록했다. 글로벌 우량 기술 기업에 투자하는 이 펀드 누적 수익률은 마이너스 20.1% 수준이었다. '한국투자미국배당귀족'과 'AB미국그로스' 등도 각각 올 들어 2000억원에 가까운 자금을 끌어모았다. '미래에셋미국달러채권'과 '피델리티미달러채권' 등 해외채권형 펀드도 외형 성장을 기록하면서 해외투자 인기를 이끌었다.
운용사별로는 미래에셋운용이 예년과 마찬가지로 설정액 기준 가장 큰 규모를 유지했다. 미래에셋운용의 퇴직연금 펀드 설정액은 도합 6조3385억원으로 전체 49개 퇴직연금 펀드 운용사 중 가장 컸다. 미래에셋운용 설정액은 전체 설정액의 26.7%를 차지하는 규모로 퇴직연금 펀드 4개 중 1개가 미래에셋운용 상품이었던 셈이다. 올해 들어 새로 유입된 자금은 6240억원으로 집계됐다.
미래에셋운용 퇴직연금 펀드 중에서는 '미래에셋솔로몬중장기국공채(1649억원)'와 '미래에셋미국달러채권 (456억원)' 등 채권형 펀드에서 자금 유입세가 도드라졌다. 해외혼합형 TDF 펀드 중심으로 자금 유입세가 도드라진 것은 전체 흐름과 비슷한 모습을 연출했고, 매크로 환경 변화에 따른 금리 인상 영향에 퇴직연금 적립금의 채권 투자 매력 역시 커진 결과인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해 말 퇴직연금 펀드 설정액 기준 업계 2위였던 삼성운용은 KB운용에 밀려 3위를 기록했다. KB운용 퇴직연금 펀드 설정액은 2조8901억원으로 삼성운용 2조8078억원을 소폭 웃돌았다. 'KB글로벌단기채'와 'KB액티브배당' 등이 각각 해외채권형과 국내배당형에서 상위권 수익률을 기록했고 'KB퇴직연금배당'이 연초 이후 30억원 가량을 유치하면서 외형 성장을 견인했다.
한국투자신탁운용이 2조3637억원으로 업계 4위에 이름을 올렸고 신한자산운용(9835억원), 피델리티자산운용(8978억원), 신영자산운용(8697억원) 등이 그 뒤를 쫓았다. 라자드코리아자산운용과 현대인베스트먼트자산운용 등 23개 운용사의 퇴직연금 펀드 설정액은 역성장을 기록했다. 설정액 감소폭이 가장 컸던 운용사는 우리자산운용이었다. 우리운용 퇴직연금 펀드 설정액은 5763억원으로 2075억원이 이탈했다.
'우리GBest중소형'과 '우리중소형고배당30' 등은 각각 국내 중소형주식형과 국내혼합형 유형 안에서 최하위 수익률을 기록했다. 우리Gbest중소형의 경우 연초 이후 마이너스 27.5%를 기록했고 우리중소형고배당30은 마이너스 17.2%를 기록했다. 우리GPIMCO글로버투자등급의 경우 해외채권형 펀드임에도 불구하고 연초 이후 900억원이 넘는 대규모 자금이 이탈하면서 전체 흐름에 역행하는 모습을 연출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영상]항공시장 다크호스 대명소노, 티웨이항공에서 멈춰선 이유는
- 코스닥 오너의 투자조언
- [i-point]에이루트, 무상감자 결정
- [i-point]샌즈랩, 지식재산 경영인증 획득… IP 포트폴리오 강화 박차
- [i-point]한컴케어링크, 3년 연속 질병관리청 생산 과제 수행기관 선정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vs 라인메탈]주가만으로도 확실한 환원, 미래투자 차이점은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vs 라인메탈]안정적 배당 추구 vs 적극적 주주환원에 '알파'도 기대
- 교보생명, 보장성 비중 축소 속 실적·CSM 동시 감소
- BC카드, 신사업 선전에도 본업 매출 축소
- 푸본현대생명, 환율 변동성에 투자부문 적자
이돈섭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밸류업에도 메타인지가 필요하다
- [감액배당 리포트]메가스터디 손주은 회장, 세금 부담 없이 '50억'
- [감액배당 리포트]KT알파, 사업 재편 중 자본 재배치…시장 반응은 아직
- [금융지주 사외이사 트렌드]하우스 색깔 제각각…규모 확대냐 구성 변화냐
- [금융지주 사외이사 트렌드]여성 교수 이사회 진입 가속화…전공분야는 다양해져
- [금융지주 사외이사 트렌드]전문성 요건 강화하자 기업인 늘었다
- [금융지주 사외이사 트렌드]사라지는 관료 출신…사외이사 인식 변화 '실마리'
- [영상]주식시장 '큰손' 국민연금…의결권 이렇게 행사한다
- [사외이사의 투자성과]SKC 전직 의장, 직접 투자에 주식 보상 얹은 결과는
- [감액배당 리포트]에스트래픽 밸류업 시동…감액배당 PBR 확대 이끌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