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bell League Table]실물시장도 김앤장 몫, 세종 존재감 '여전'[M&A/부동산·SOC]이마트 성수동 본사 등 조단위 호텔·오피스 거래 활발
김예린 기자공개 2023-01-02 08:00:05
이 기사는 2022년 12월 30일 13시10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올해 부동산 M&A 시장은 전년 대비 규모 있는 딜이 많았다. 거래 건수와 금액이 각각 5건, 7조 2263억원 늘어났다. 작년에는 코로나19 여파로 시장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주춤했다면, 올해는 조 단위 딜이 여럿 나오며 부동산 시장이 비교적 활기를 띠었다.자문시장의 압도적 강자 '김·장 법률사무소(김앤장)'가 부동산·SOC 거래 자문도 휩쓸었다. 법무법인 세종과 명승부를 펼쳤지만 자문 건수와 금액 모두 반영한 조정점유율 기준으로 1위에 올라섰다. 세종은 미세한 차이로 2위를 차지했지만, 금액 기준으로는 김앤장을 넘어섰다.
30일 더벨이 집계한 리그테이블에 따르면 2022년 한 해 부동산·SOC(사회간접자본) 거래 규모는 거래완료(잔금납입) 기준 101건·22조 2521억원으로 집계됐다. 전년 같은 기간 시장 규모(97건·16조 2458억원)에 비하면 건수는 4건 증가했고, 금액은 5조 8263억원 늘었다.
가장 규모가 컸던 거래는 이마트의 서울 성수동 본사 매각 건으로 거래 금액이 1조 2200억원에 달했다. 서울 밀레니엄 힐튼 호텔 매각이 1조 1000억원으로 뒤이었다. 싱가포르계 부동산투자사 에이알에이(ARA)코리아가 내놓은 경기도 성남시 소재 토지·건물, 판교 알파리움타워 등도 1조원 이상의 딜로 부동산 투자 시장에 활기를 불어넣었다.

올해 가장 많은 부동산 자문을 완료한 법률자문사는 김앤장이다. 총 33건·6조 8665억원 규모 거래를 성료하며 1위를 차지했다. 조정점유율은 30.80%다. 세종은 7조 2542억원 규모의 딜을 성사시키면서 거래금액 기준으로는 선두를 달렸다. 다만 자문 건수는 23건으로, 이를 반영한 조정점유율이 26.73%를 기록하며 2위가 됐다.
그간 김앤장은 인수합병(M&A) 법률 자문에서는 최강 로펌 타이틀을 달았음에도 실물시장에서는 상위권 오르지 못했다. 작년 연간 기준 1위와 2위는 세종과 지평이 차지했고, 김앤장은 3위에 그쳤다. 그러나 올해는 1분기부터 금액과 조정점유율 모든 측면에서 두각을 드러내며 파란을 일으켰고, 올해 최종 순위표를 뒤흔들었다.
김앤장은 한 해를 통틀어 부동산 M&A 중 가장 사이즈가 큰 딜인 미래에셋자산운용의 이마트 성수동 본사 매각 자문을 맡으며 실적을 크게 끌어올렸다. 올해 거래 규모가 두 번째로 큰 서울 밀레니엄 힐튼호텔 딜에서도 인수 측인 이지스자산운용의 자문도 맡았다. 이지스자산운용과는 2022년 유독 관계가 깊어, 이지스자산운용이 신한투자증권의 여의도 소재 오피스 빌딩을 인수하는 과정에서도 자문을 맡으며 거래 규모 6395억원의 딜을 성사시켰다.
세종의 연륜도 무시할 수 없었다. 올해 거래규모 2위 서울 밀레니엄 힐튼호텔 딜에서 매각 자문을 맡으며 부동산 자문 강자로서의 위엄을 떨쳤다. 이지스자산운용의 홈플러스 4개 지점 매각(9400억원) 건에서는 이지스자산운용를 자문하며 거래 성사에 기여했다.
뒤를 이은 주자는 지평이었다. 거래 규모와 건수가 각각 4조 2억원, 23건을 기록하며 3위를 차지했다. 조정점유율은 19.8%다. 대표적으로 스마일게이트자산운용의 인천 오류동 물류센터 매각(3250억원), 키움투자자산운용의 롯데몰 광명점 인수(3240억원), 캡스톤자산운용의 서울 을지로 유안타증권빌딩 인수(3060억원) 등의 딜에서 자문을 맡았다.
4위 태평양은 9건의 자문을 맡으며 2조 6877억원 규모의 딜을 성사시켰다. 조정점유율은 10.14%다. 올해 부동산 M&A 거래 규모 기준 1위 이마트 성수동 본사 딜에서 미래에셋자산운용의 인수 자문을 맡으며 유의미한 실적을 냈다. SK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의 SK하이닉스 분당구 정자동 SK U타워 인수(5072억원), 코람코자산신탁의 에이플러스에셋타워 인수(3600억원) 딜도 성료시켰다.
율촌은 조정점유율 5.94%로 5위를 차지했다. 자문 완료 금액은 1조 6358억원, 건수는 5건으로 집계됐다. 맡은 딜 가운데 거래 규모가 가장 큰 건은 에이알에이알파리움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의 건물 매각(1조 206억원)으로, 올해 부동산 시장에서 거래 규모가 세 번째로 크다.
광장은 총 8건·8647억원 규모 거래를 마무리했다. 조정점유율은 5.76%로, 율촌보다 거래 건수는 많았으나 금액은 절반가량에 그치면서 순위가 한 단계 아래인 6위를 기록했다. 세한은 투게더자산운용의 대전 세이백화점 인수(1630억원)를 자문하며 1건의 실적을 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펀딩 3관왕' 트리거투자, 조력자 '유경원 상무' 눈길
- [VC 투자기업]뱅카우, 22일 4호 공모청약…5호부터 복수계좌 도입
- [thebell interview]황상연 HB인베 PE본부장 "차별화된 투자·밸류업 방점"
- [VC 투자기업]이플로우, 프리시리즈A 시동…독일법인 세운다
- [VC 투자기업]아토리서치, 적자 확대에 IPO 시계 늦춰졌다
- [동상이목(同想異目)] '아보하' 시장이 그립다?
- 상장 문턱서 좌절한 원유니버스, 넥써쓰가 일으키나
- [아이티켐 IPO]활발한 조달, RCPS·유상증자 당시 밸류 살펴보니
- [판 바뀐 종투사 제도]위험 익스포져 확대 전망, 리스크 파트 설득 '관건'
- [판 바뀐 종투사 제도]PBS 대상 확대…실효성은
김예린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지붕형 태양광 인수' 스틱·에이치에너지, LP 모집 포인트는
- 앵커PE, '식품 첨가물 제조사' 현진그린밀 매각 추진
- '500억 베팅' 스틱·에이치에너지, 모햇 태양광 발전소 인수 추진
- 한상기업 LVMC홀딩스, 300억 메자닌 발행 추진
- 페블즈PE, 반도체 디자인하우스 '위더맥스' 250억 투자 추진
- HCEI, 룰루레몬 납품 '빅토리아텍스타일' 인수 추진
- 한국교통자산운용, 원더모빌리티에 500억 베팅
- '예비입찰 임박' 효성 옵티컬필름·필름사업부, 투자 메리트는
- 상장사 대동, 300억 RCPS 발행 추진 '미래에셋벤처PE 등판'
- '국내외 IB 러브콜' JKL파트너스, 크린토피아 매각 시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