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승부수]최태원 회장 취임 후 첫 CES 참관...4대그룹 총수 중 유일탄소중립 달성 위한 의지 강조
김위수 기자공개 2023-01-05 15:20:54
이 기사는 2023년 01월 04일 15시07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사진)이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개최되는 세계 최대 가전·IT 전시회 CES 2023에 회장 취임 이후 처음으로 참석한다. 신년을 맞이한 지 얼마 되지 않아 한참 바쁠 시기다. 특히나 최 회장은 SK그룹 회장이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부산엑스포 유치 민간위원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이 가운데 최 회장이 4대그룹 총수 중 유일하게 CES 방문을 결정해 관심이 모인다.
이에 따라 국내 주요그룹 계열사 경영진들도 CES 현장으로 향했다. 이중 전문경영인이 아닌 그룹 총수까지 CES를 방문하는 곳은 SK그룹뿐이다.
최 회장이 이번 CES에 참석한 이유는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SK그룹의 의지를 보여주기 위해서로 보인다. SK그룹에서는 총 8개 계열사가 참여해 40여개 탄소감축 기술을 선보인다. CES에 꾸민 전시관의 주제로 '행동'으로 잡은 만큼 최 회장의 참석으로 기술 홍보와 협력사에 대한 동참을 독려하는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는 것이다.
SK그룹에 있어 미국 시장의 중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는 상황도 고려해 CES 참석을 결정한 것으로 보인다. 최 회장의 참석으로 SK그룹이 선보이는 신기술에 대한 미국 시장에서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는 점에서다. 이를 통해 향후 현지 사업을 위한 자금조달, 고객사 확보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미국 시장이 중요한 SK그룹의 사업은 대표적으로 전기차 배터리를 들 수 있다. SK온은 북미를 중심으로 시장 점유율을 끌어올려 글로벌 최고 수준 기업으로 발돋움하겠다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북미 현지 단독 배터리 공장과 완성차 업체 포드와의 합작공장을 설립하며 생산능력을 끌어올리고 있다.
다만 SK온의 경우 LG에너지솔루션·삼성SDI·파나소닉과 같은 경쟁자에 비해 늦게 전기차 배터리 사업에 뛰어든 후발주자다. '전통강자'들보다 고객사 확보 및 브랜드 인지도 측면에서 불리한 위치일 수 있다. 이번 CES를 통해 SK온의 기술력을 대대적으로 알리겠다는 것이 SK그룹의 계획이다.
SK온은 상용화된 배터리 중 가장 빠른 충전 속도를 갖춘 SF(Super Fast) 배터리, 니켈 비중이 약 90%에 달하는 고성능 하이니켈 배터리 NCM9 시리즈, 셀투팩 기술로 모듈수를 최소화해 배터리의 주행거리는 늘리고 제조 비용은 낮춘 S-PACK 등을 출품한다.
배터리뿐만 아니라 전기차 소재·인프라를 비롯해 수소, 고효율 반도체, 폐기물 에너지화, 탄소포집·저장·활용(CCUS), 소형모듈원자로(SMR), 도심항공교통(UAM), 헬스케어 등 다양한 분야의 제품과 기술도 전시된다. 최 회장의 CES 참관이 이같은 기술력에 대한 신뢰도를 실어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더불어 최 회장이 부산엑스포 유치 민간위원장으로서의 활동을 펼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SK그룹 주요 계열사 중 하나인 SK이노베이션은 CES 2023 행사가 열리는 미국 라스베이거스 컨벤션 센터 내에 부산엑스포 유치 기원 메시지를 담은 가로 12m, 세로 3.6m 대형 현수막을 게시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KGC인삼공사, 혈당 케어 브랜드 ‘GLPro’ 확장
- [i-point]원영식 오션인더블유 회장, 산불 피해 장애인·주민 후원
- [thebell note]WM의 IB화
- [연기금투자풀 지각변동]ETF 포트폴리오 추가…삼성·미래에셋운용의 '고민'
- [Product Tracker]IMM로즈골드5호 GP커밋, 유동화 펀드 구조는
- 전진건설로봇 기초자산 EB…운용사 우려에도 700억 매듭
- 엘엑스운용 'NPL펀드' 론칭…패밀리오피스 자금 확보
- [스튜어드십코드 모니터]마이다스에셋운용, 적극적 행사기조 '현재진행형'
- ACE 미국500타겟커버드콜, 월배당 매력 '눈길'
- [연기금투자풀 지각변동]하위운용사도 눈치싸움…"증권사 무방 vs 기존 선호"
김위수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증권사 생크션 리스크 점검]대신증권, 5년간 제재 9건…내부통제 보완 절실
- [Rating Watch]삼성바이오로직스 신용등급 'AA0' 도약 '눈앞'
- '장기물 선호' 맥쿼리인프라, 5년 단일물로 회사채 발행
- [아이티켐 IPO]2차전지로 영토 확장, 소재사업 '확장성' 주목
- [IPO 모니터]기준 모호한 중복상장, SK엔무브 바라보는 후발 주자들
- SK이노베이션의 타이밍
- [아이티켐 IPO]SI·글로벌 투자자 유치, 비결은 '삼박자'
- [Market Watch]DN솔루션즈 이어 롯데글로벌까지, 대형 IPO '휘청'
- [롯데글로벌로지스 IPO]흥행 실패 우려, 결국 상장 철회로 귀결
- [아이티켐 IPO]5년만에 실적 '레벨업' 가능했던 배경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