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종 M&A 부티크 '케이알앤', 자문 넘어 투자 보폭 확대 '눈길' 블라인드 펀드 공동조성에 이어 벤처캐피탈 투자, '친정' 큐더스 발자취 주목
김지효 기자공개 2023-02-14 08:26:24
이 기사는 2023년 02월 10일 14시14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독립계 부띠끄 인수합병(M&A) 자문사 케이알앤(KR&)파트너스가 자문을 넘어 투자 보폭을 확대하고 있어 눈길을 끈다. 케이알앤파트너스는 독립계 자문사로서 존재감을 키우고 있는 동시에 투자사업으로 영역을 넓혀나가고 있어 향후 행보가 주목된다.10일 투자업계에 따르면 케이알앤파트너스는 최근 코스닥 상장 벤처캐피탈(VC)인 엠벤처투자에 제3자배정 유상증자 방식으로 50억원을 투자하기로 결정했다. 케이알앤파트너스와 함께 수앤파트너스, 포틴앤컴퍼니도 각각 75억원, 25억원을 투자한다. 엠벤처투자는 유입되는 150억원을 운영자금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케이알앤파트너스가 직접 투자에 나선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2018년에는 사모투자펀드(PEF) 운용사 이음프라이빗에쿼티와 공동 운용하는 590억원 규모의 블라인드 펀드 '이음케이알제일호프로젝트공동투자사모투자'를 결성하기도 했다. 현재 해당 펀드의 투자금은 모두 소진됐다. 당시 케이알앤파트너스는 해당 펀드를 결성하고 공동 투자에 나서면서 운용사로서도 본격 데뷔했다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
케이알앤파트너스가 이처럼 투자 외연을 조금씩 넓혀가면서 향후 투자사업으로 사업 범위를 확대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케이알앤파트너스를 세운 김대중, 유세현 대표의 친정인 큐더스의 발자취를 보면 이 같은 시선에 더 힘이 실린다. 김대중, 유세현 대표는 큐더스에서 각각 대표와 부사장을 맡아 M&A자문을 수행해오다 2016년 4월 독립해 케이알앤파트너스를 창업했다.
두 대표의 친정인 큐더스는 자문사에서 시작해 전문투자회사까지 세우면서 투자사업으로 점차 발을 넓혔다. 큐더스는 1999년 설립됐고, M&A와 투자, 기업공개(IPO) 등의 기업재무 분야에서 자문 서비스를 제공하는 컨설팅업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했다. 이후 투자로 사업 영역을 점차 넓히면서 2019년에는 전문투자회사인 큐더스벤처스를 설립했다.
케이알앤파트너스는 2016년 등장한 뒤 국내 M&A 자문시장에서 탄탄한 입지를 구축했다. 글로벌 IB와 대형 회계법인이 지배하고 있는 국내 M&A 자문시장에서 사실상 유일한 독립계 자문사로 착실히 주관실적(트랙레코드)를 쌓아왔다.
설립 직후 더반찬 매각자문을 비롯해 활발히 자문업무를 수행했으며 설립 이듬해인 2017년에는 모두 8건의 금융자문을 완료하며 존재감을 드러냈다. 이후에도 해마다 10건 안팎의 금융자문을 수행하고 있다. 최근에는 스마트폰 동박연성적층필름(FCCL) 1위 제조업체인 넥스플렉스의 매각주관사로 뛰고 있다. 넥스플렉스 매각 자문은 케이알앤파트너스가 자문한 딜 가운데 최대 규모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케이알앤파트너스는 투자사업 확대와 관련해서는 선을 그었다. 케이알앤파트너스 관계자는 "사업의 중심은 M&A자문이며 이같은 성격이 바뀌지는 않을 것"이라며 "엠벤처투자는 다른 자문사들과 함께 진행한 것이며 공동 운영한 블라인드 펀드 이후 추가적인 펀드 조성에 대해서는 현재 생각하고 있지 않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청약증거금 2조 몰린 쎄크, 공모청약 흥행 '28일 상장'
- [영상/Red&Blue]겹경사 대한항공, 아쉬운 주가
- [i-point]모아라이프플러스, 충북대학교와 공동연구 협약 체결
- [i-point]폴라리스오피스, KT클라우드 ‘AI Foundry' 파트너로 참여
- [i-point]고영, 용인시와 지연역계 진로교육 업무협약
- [i-point]DS단석, 1분기 매출·영업이익 동반 성장
- [피스피스스튜디오 IPO]안정적 지배구조, 공모 부담요소 줄였다
- 한국은행, 관세 전쟁에 손발 묶였다…5월에 쏠리는 눈
- [보험사 CSM 점검]현대해상, 가정 변경 충격 속 뚜렷한 신계약 '질적 성과'
- [8대 카드사 지각변동]신한카드, 굳건한 비카드 강자…롯데·BC 성장세 주목
김지효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사외이사 BSM 점검]카카오그룹, 업종별로 갈린 사외이사 전문성
- [밸류업 성과 평가]밸류업 공시, 상장 공기업 반쪽 참여…재무 부담에 발목
- [사외이사 BSM 점검]더 커진 한진그룹, '법률·규제' 전문가 사외이사 과반
- [사외이사 BSM 점검]CJ그룹, 사외이사 법률·규제 전문가 80% 육박 ‘왜’
- [사외이사 BSM 점검]KT그룹, '다양성' 중심 KT와 '효율성' 높인 계열사 사외이사
- [사외이사 BSM 점검]신세계그룹, 법률·규제 사외이사 압도적, ‘전직 관료’ 선호
- [Board Change]포스코퓨처엠, 이사회 규모 감소한 이유는
- [사외이사 BSM 점검]GS그룹, 금융·기업경영 전문가 중심...다양성 부족
- [2025 대한민국 사외이사 인식 조사]사외이사 '대주주 견제' 핵심, 오너 영향력 최대 걸림돌
- [2025 대한민국 사외이사 인식 조사]이사회 최적 규모는 5~8명… 금융·재무 전문가 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