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자비용 분석]이자수지 개선 삼천리, 비결은 1조 넘긴 현금성자산영업실적 호조에 현금성자산 1.1조 돌파…이자수지 적자폭 개선
이민호 기자공개 2023-04-07 07:35:16
[편집자주]
미국의 기준금리는 2022년 초 0%였지만 연말에는 4.5%까지 치솟았다. 국내 기준금리 역시 연초 1.25%에서 1년 만에 3.5%까지 상승했다. 기준금리와 함께 시장금리도 급격히 상승하자 저금리에 익숙해져 있던 기업들은 상상 이상의 비용 상승을 감내해야 했다. 차환이냐 상환이냐를 놓고 이전보다 더욱 깊은 고민에 빠질 수밖에 없기도 했다. 신용등급이 낮은 기업들은 금리 상승의 압박이 더욱 심각하게 다가온다. 이를 슬기롭게 대처한 기업들도 있다. THE CFO가 2023년 현재 이자비용에 대응하는 기업들의 현실을 조명해본다.
이 기사는 2023년 04월 03일 14시33분 THE CFO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삼천리가 이자수지 적자폭을 개선하는 데 성공했다. 단기차입금 확대와 차입금리 상승으로 이자비용이 늘었지만 영업실적 호조로 현금성자산이 1조원을 돌파하면서 이자수익을 끌어올린 덕분이다.㈜삼천리의 지난해 연결 기준 이자비용은 331억원이었다. 2021년(315억원)보다 16억원 늘어난 것이다. 다만 2019년(401억원)이나 2020년(370억원)에 비해서는 여전히 낮은 수준을 유지했다.
차입금 유형별로는 단기차입금 이자비용이 2021년 7억원에서 지난해 21억원으로 늘었고 회사채 이자비용이 178억원에서 183억원으로 증가했다. 하지만 장기차입금 이자비용은 101억원에서 95억원으로 오히려 줄었다.

차입금 유형별 변동을 보면 이자비용 증감의 이유가 드러난다. ㈜삼천리의 지난해말 총차입금은 1조3612억원으로 1년 새 651억원 늘었다. 지난해 이자비용이 늘어난 데는 단기차입금 신규차입을 늘리면서 차입금리가 뛴 영향이 크다. 단기차입금은 826억원으로 이 기간 506억원 늘었다.
㈜삼천리는 2021년 BMW파이낸셜서비스코리아로부터 원화단기차입금 57억원을 4.65%에 차입했다. 하지만 지난해 199억원으로 증액하면서 4.99%가 매겨졌다. 2021년 KDB산업은행으로부터 조달한 30억원에는 2.77%가 매겨졌지만 지난해는 같은 금액을 다시 빌리면서 4.97%로 뛰었다. 이외에도 지난해 신규차입한 30억원(KB국민은행)에는 4.45%가, 10억원(NH농협은행)에는 6.09%가 각각 책정됐다.
장기차입금(유동성·비유동성 포함)은 지난해말 2821억원으로 23억원 소폭 줄었다. 이 때문에 장기차입금 이자비용은 소폭 감소했다. 다만 신규차입한 장기차입금에서는 금리가 상승했다. 2021년말 NH농협은행으로부터 조달한 시설자금 잔액 134억원에는 2.52%와 2.76%가 책정됐지만 지난해말 잔액 200억원에는 5.37%와 5.52%가 붙었다.
㈜삼천리의 연결 기준 총차입금에는 ㈜삼천리뿐 아니라 발전 자회사 에스파워(지분율 51%)가 발행한 회사채도 포함된다. 하지만 삼천리와 에스파워가 지난해 신규발행한 회사채는 없다.

다만 ㈜삼천리는 이자수익을 늘리면서 이자비용을 상쇄하는 데 성공했다. 지난해 이자수익은 156억원으로 2020년(67억원)이나 2021년(67억원)에 비해 크게 늘었다. 이 때문에 이자수지(이자수익-이자비용)는 2021년 마이너스(-) 248억원에서 지난해 -175억원으로 적자폭이 줄었다.
㈜삼천리 이자수익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이 현금성자산에서 발생하는 이자수익이다. 지난해 현금성자산 이자수익은 136억원으로 전체 이자수익(156억원)의 대부분을 차지했다. 현금성자산 이자수익은 1년 새 82억원 늘었다.
이는 지난해 현금성자산이 크게 확대됐기 때문이다. 지난해말 현금성자산은 1조1364억원으로 1년 새 2662억원 크게 늘었다. 2019년(7195억원)이나 2020년(7606억원) 등 예년에 비해서도 확대된 것이다. 현금성자산은 예금이나 단기금융상품 등을 활용해 이자수익을 창출해낼 수 있다.

현금성자산 급증은 영업실적 호조 덕분이다. 현금흐름의 근간이 되는 상각전영업이익(EBITDA)이 지난해 2290억원으로 2020년(2246억원)이나 2021년(2032억원)에 비해 늘었다.
㈜삼천리는 수원, 안양, 광명 등 경기 남서부 13개 시와 인천 미추홀구, 중구, 동구 등 5개 구에 대한 도시가스 독점 공급권역을 확보하고 있어 사업안정성이 애초 우수하다. 지난해 도시가스 판매량 증가와 판매단가 상승이 호실적의 바탕이 됐다.
이 때문에 영업활동현금흐름(NCF)은 2021년 3409억원에서 지난해 3681억원으로 확대됐다. 자본적지출(CAPEX) 증가로 잉여현금흐름(FCF)은 이 기간 2073억원에서 1742억원으로 줄었지만 여전히 플러스(+)를 유지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한양학원 급한불 끈다…OK금융서 450억 주담대 실행
- 한양증권 매각, 차입 상환 압박 속 대체 카드는
- CJ프레시웨이, '효율화 방점' 프레시원 합병 결정
- [i-point]한컴, '2025 재팬 IT 위크 스프링' 참가
- [NPL 경영분석]800억 환입에 순익 4배…대신F&I, '나인원한남 효과'로 도약
- [보험사 CSM 점검]메리츠화재, 보수적 계리정책이 견인한 잔액 증가
- [신협 부실여신 관리 점검]'PF 후폭풍' 신협중앙회, 위기대응 역량 '시험대'
- 우리금융캐피탈, 디지털 영업 경쟁력 강화 사업 착수
- [보험사 기본자본 점검]NH농협생명, 경과조치·보완자본 뺀 손실흡수력은
- [신한금융-더존비즈온 맞손]제주은행 주가 급등한 두 가지 이유
이민호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조선업 리포트]중간지주사 HD한국조선해양, 어떻게 현금을 쌓았나
- [머니체인 리포트]CJ제일제당, 자회사 출자 부담 상쇄한 유휴자산 매각
- [머니체인 리포트]'10배' 더 쓴 CJ제일제당, 지주사 역할 분담
- [머니체인 리포트]자체 조달 CJ 자회사들, 추가 차입 여력은
- [밸류업 성과 평가]LG그룹 전반적 부진, 주가지표 부진
- [밸류업 성과 평가]'유일' 두산밥캣 중위권…두산그룹 밸류업 향방 '안갯속'
- [밸류업 성과 평가]통신 3사 밸류업 '대장'은 SK텔레콤
- [밸류업 성과 평가]역대급 순익 SK하이닉스, '밸류업' 무엇이 모자랐나
- [밸류업 성과 평가]SK스퀘어, SK그룹내 밸류업 성적표 '우수'
- [머니체인 리포트]CJ 지원 못 받은 자회사들, 자체 현금 확보 '부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