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 성과급 기준 탓 인재확보 비상 걸리나 3년 평균 수익률 기준 금액 책정, 작년 마이너스 수익률로 사실상 보상 막혀
김경태 기자공개 2023-05-12 07:21:48
이 기사는 2023년 05월 11일 14:38 THE CFO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국민연금공단(이하 국민연금)의 인재 확보에 대한 고민이 날로 커지고 있다. 현재 내부 규정으로는 기금운용본부에서 향후 2년간 성과급을 받기 어렵기 때문이다. 일각에서는 성과급 지급 기준에 대한 전향적인 조치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제기된다.11일 투자업계에 따르면 최근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는 최근 내부 인력 유출 방지책 마련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 이는 기금운용본부의 성과급 지급 문제와 관련이 있다는 게 IB업계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의 성과급은 크게 3가지로 구성된다. 목표성과급이 60%, 조직성과급이 20%, 장기성과급이 20%다.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목표성과급은 기금 전체 및 개별 자산군의 벤치마크(BM) 대비 초과수익 창출에 대한 보상이다.
문제는 성과급 지급이 3년 평균 운용수익률을 기준으로 이뤄진다는 점이다. 국민연금의 작년 운용수익률은 마이너스(-) 8.22%를 기록했다. 지난해 미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인상, 우크라이나 전쟁 등으로 경제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다른 대다수 기관투자가와 마찬가지로 수익률 방어에 어려움을 겪었다.
성과급이 3년 평균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만큼 올해와 내년에는 성과급을 지급받지 못할 공산이 큰 셈이다. 더구나 국민연금은 국내 1위 기관투자가로서 안정적인 운용을 중시한다. 올 들어서는 플러스(+) 수익률을 기록하고 있지만 드라마틱한 시장 변화가 없다면 급격한 수익률 향상은 기대하기 어려운 구조다.

실제 작년 12월 열린 국민연금 기금운용위원회가 정한 올해 목표 초과수익률은 0.2%포인트(p)다. 목표수익률은 기금운용본부가 기준 수익률(BM 수익률)을 초과해 달성해야 하는 수익률 목표치다. 국내외 불확실성이 해소되지 않은 금융 시장 환경과 기금 운용 규모 증가에 따른 액티브 운용 여건 제약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했다.
기금운용본부에 근무하는 전문가 입장에서는 향후 2년간 성과급을 받기 어려운 만큼 이직 유혹에 흔들리기 쉬운 상황에 직면했다. 국민연금은 국내 최대 연기금으로 기금운용본부에 속한 임직원은 해외 국부펀드를 비롯한 기관투자가, 국내외 운용사에 고연봉 영입 제안을 받는다.
이 때문에 일각에서는 국민연금이 향후 인재 유출 방지와 확보를 위해 성과급 지급 기준 변경 등에 관한 조치가 필요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다만 국민연금이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보건복지부의 승인을 받는 등 넘어야 할 산이 만만치 않다는 점이 지적된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엄주성 차기 대표 "주주·고객·직원 모두에 최선 다할 것"
- 김연수 한컴 대표 데뷔전 "유럽 AI 기업 조만간 인수"
- [ETF 위클리]엇갈린 레버리지·인버스, KB 웃고 삼성 울고
- DL이앤씨, 핵심 신사업법인 카본코 '리더십 공백'
- [다시 반도체의 시간]SK하이닉스, 'HBM리더'가 펼쳐갈 새로운 40년
- [LG이노텍은 지금]'정리의 귀재' 떠나고 '카메라 전문가' 온다
- '11번가 고민' SK, 두산·삼표 갈림길 변수는
- [새판 짜는 아주약품]오너 3세 거침 없는 경영행보, 변화의 중심에 서다
- [신작으로 보는 게임사 터닝포인트]네시삼십삼분, '탈모바일' 포문 열었다
- [K-바이오 클러스터 기행/전남 화순]설립 20년차인 올해가 클러스터 패러다임 전환 원년
김경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11번가 고민' SK, 두산·삼표 갈림길 변수는
- 정현호 사업지원TF장 유임, 신설조직 관계설정 '관전포인트'
- [기로에 선 카카오, 해법은]스플리트 이어 프리나우 M&A, '발전형' 글로벌 역량 입증할까
- 'JY의 기술경영' 삼성전자, R&D·분쟁경쟁력 강화 '지속'
- 11번가 콜옵션 임박, SK그룹·자본시장 신뢰관계 '시금석' 촉각
- 삼성전자, 자금확보 수단 자회사 배당 '속도조절'
- 1심 결심공판 앞둔 이재용 회장, 결정적 순간들
- 이재용 회장, '공판 탓' 호암 36주기 추모식 불참 가닥
- 영국·네덜란드 경제사절단, 이재용 회장 역할론 재부각 이유
- 박영우 회장, 위니아 주식 전량 매각 '채무상환 사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