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영수 LG엔솔 부회장 물러날 듯, 후임 김동명 사장 유력 '재무통' 가고 연구원 출신 내정...배터리개발 역량 눈길
조은아 기자공개 2023-11-22 08:24:11
이 기사는 2023년 11월 21일 13시04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권영수 LG에너지솔루션 대표이사 부회장이 물러나고 후임으로 김동명 자동차전지사업부장(사장)이 내정된 것으로 파악됐다.2021년 11월 LG에너지솔루션 대표이사로 선임된 권 부회장은 2년 동안 IPO 완수와 글로벌 성장이라는 공을 세웠으나 퇴임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후임은 김동명 사장(사진)이 유력하다.
김 사장은 현재 LG에너지솔루션에서 자동차전지사업부장을 맡고 있다. 1969년생으로 권영수 부회장과의 나이 차이는 12살에 이른다. 연세대 금속공학과를 졸업해 KAIST에서 재료공학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고 LG화학 배터리연구센터 연구원으로 입사했다.

김 사장의 대표이사 내정은 사실 LG화학이나 LG에너지솔루션 내부에서는 그리 놀랍지 않은 사실로 여겨지고 있다. 올해 내내 권 부회장의 용퇴설이 불거질 때마다 김 사장 역시 후임으로 꾸준히 언급됐기 때문이다.
LG에너지솔루션에는 현재 사장이 3명밖에 없는데 김 사장을 제외한 다른 두 명은 김명환 사장과 이방수 사장이다. 둘 모두 1950년대생으로 나이가 적지 않은 데다 이방수 사장의 경우 CRO(최고위기관리책임자) 겸 경영지원센터장을 맡고 있어 회사의 주력 업무와는 다소 동떨어져 있다.
김 사장과 함께 꾸준히 LG에너지솔루션 대표이사로 거명됐던 인물은 신학철 LG화학 대표이사 부회장이다. 신 부회장의 경우 글로벌 회사 '3M'에 오랜 기간 재직해 글로벌을 대상으로 사업을 펼쳐왔던 만큼 배터리 사업에 꾸준히 관심을 뒀던 것으로 전해진다. 신 부회장에 대한 구광모 회장의 신뢰가 깊은 만큼 LG에너지솔루션으로 이동할 수 있다는 관측이 매년 연말마다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이번에는 이동하지 않는 것으로 파악됐다. LG화학의 경우 이번에 CHO(최고인사책임자)인 김성민 부사장이 회사를 떠나는 등 각 사업본부를 아우르는 지원부문에서 베테랑급 C레벨의 인사 이동이 예정돼 있어 신 부회장은 자리를 지키는 것으로 전해진다. 김 부사장은 2019년 말부터 LG화학에서 CHO를 지낸 인물로 신 부회장과 4년 동안 호흡을 맞춰왔다.
김 사장은 지난해 미국 완성차업체 제너럴모터스(GM)와의 제3 합작공장 설립, 스텔란티스 및 일본 혼다와의 합작공장 설립을 이끌었다. 전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북미 전기차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 현지 생산설비 확대, 배터리 적기 공급 등을 최우선 과제로 삼고 글로벌 완성차업체들과 적극적으로 협의했다. 이 과정에서 구광모 회장의 두터운 신임 역시 얻은 것으로 전해진다. 김 사장의 지인은 그에 대해 "똑똑하고 실행력이 강하다"라는 평가를 내놨다.
권 부회장은 1979년 LG전자 기획팀에 입사했다. 무려 45년에 가까운 LG그룹 생활에 종지부를 찍게 됐다. 그간 LG전자 사장, LG디스플레이 대표이사 사장, LG화학 사장, LG유플러스 대표이사 부회장을 지냈다. 구본무 전 LG그룹 회장이 별세하고 구광모 회장이 취임한 직후 ㈜LG로 이동해 최고운영책임자(COO)로서 구광모 회장과 함께 대표이사를 맡았다.
특히 권 부회장과 김 사장은 나이 차이만큼이나 다른 길을 걸어왔다는 점에서 더욱 눈에 띈다. 권 부회장은 대표이사나 COO 등 워낙 다양한 업무를 맡아왔지만 재무통으로 통한다. 반면 김 사장은 공학을 전공하고 연구원으로 입사해 연구개발 외길을 오랜 기간 걸은 전형적인 '엔지니어' 출신이다. LG에너지솔루션이 한층 도약하려면 비용 절감 등 '관리'보다는 기술 개발 등을 통한 '진보'에 답이 있다고 본 셈이다.
LG에너지솔루션 관계자는 이와 관련 "CEO 교체 여부는 알 수 없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PBR 0.6 주가고민 삼성물산, 삼성로직스 분할검토까지
- 삼성, 바이오 인적분할설…지배구조 개편 관심↑
- 신종자본증권 찍는 CJ CGV, 경쟁사 합병 영향은
- [i-point]시노펙스, 경북 산불피해지역 '탄소중립 숲' 조성 공동 추진
- [캐시플로 모니터]삼양식품, 호실적 연동 법인세 부담 '현금흐름' 반영
- [thebell interview/컬리 10주년 줌인]김종훈 CFO "외형 확장에 방점, 수익성은 장기 전략"
- [넷플릭스발 지각변동]플랫폼이 고르는 콘텐츠…제작 권력도 이동
- [i-point]씨플랫폼-엑스게이트, 손잡고 네트워크 보안 시장 공략
- [Company Watch]삼보모터스, 새 멕시코법인 첫 매출 '전기차 부품 거점'
- [i-point]아이씨티케이, WIPO 글로벌 어워드 최종 후보 선정
조은아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Peer Match Up/KB VS 신한]KB금융, 자산건전성 우위 지켰다
- [Peer Match Up/KB VS 신한]반대 흐름 뚜렷한 수익성 지표
- [Peer Match Up/KB VS 신한]무엇이 '리딩금융' 갈랐나
- 서수동 메리츠화재 부사장, 1년 만에 윤리경영실장으로 복귀
- [은행권 알뜰폰 사업 점검]토스모바일 3년차, 성적표는
- [우리금융 동양생명 M&A]금융지주 계열 생보사, 중위권 싸움 불붙는다
- [우리금융 동양생명 M&A]숙원 풀었다, 종합 금융그룹으로 도약 발판 마련
- [우리금융 동양생명 M&A]자세 낮춘 우리금융, "긴장의 끈 놓을 수 없다"
- [우리금융 동양생명 M&A]금융위 조건부 인수 승인, 조건 살펴보니
- [이사회 분석]하나금융 BSM 공개, 경영 전문가 1명 줄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