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nancial Index/SK그룹]'SK온 효과' SK이노베이션, 자산 80조원 달성[외형과 수익성/자산]④하이닉스 대규모 손실·자본 감소, 그럼에도 자산 100조대 유지
박기수 기자공개 2024-01-04 07:40:27
[편집자주]
기업은 숫자로 말한다. 매출과 영업이익 기반의 영업활동과 유·무형자산 처분과 매입의 투자활동, 차입과 상환, 배당 등 재무활동의 결과물이 모두 숫자로 나타난다. THE CFO는 기업 집단이 시장과 투자자에 전달하는 각종 숫자와 지표(Financial Index)들을 분석했다. 숫자들을 통해 기업집단 내 주목해야 할 개별 기업들을 가려보고 기업집단의 재무 현황을 살펴본다. 이를 넘어 숫자를 기반으로 기업집단과 기업집단 간의 비교도 실시해봤다.
이 기사는 2023년 12월 28일 10시53분 THE CFO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파이낸셜 인덱스(Financial Index)란?[외형과 수익성]
④자산
부채, 또는 자기자본의 증감에 따른 올해 3분기 말 SK그룹의 자산규모 변화를 계열사별로 살펴본다.
SK이노베이션이 올해 9월 말 자산총계가 전년 동기대비 12조원 이상 늘어났다. 배경은 부채·자본 '쌍끌이 확장'에 나섰던 자회사 SK온 때문이었다. 이 밖에 SK실트론과 SK에코플랜트 등도 1년 만에 자산이 불었다. 대규모 순손실로 자기자본이 감소한 SK하이닉스는 자산총계 100조원 만큼은 유지했다.
28일 THE CFO 집계에 따르면 SK이노베이션은 9월 말 연결 기준 자산총계 80조1082억원으로 작년 9월 말 수치인 67조7911억원 대비 18.2% 증가했다. SK이노베이션은 작년 9월 말 자산 4조4500억원에서 올해 9월 말 5조6167억원으로 26.2% 증가한 SK실트론에 이어 비율적으로 봤을 때 두 번째로 많이 증가한 계열사가 됐다.
세부적으로 SK이노베이션은 부채는 작년 9월 말 43조7959억원에서 올해 9월 말 50조9605억원으로 16.4%, 자본은 23조9952억원에서 29조1477억원으로 21.5% 늘어났다.

SK이노베이션의 자산 증가에는 배터리 자회사 SK온이 있었다. SK온은 올해 9월 말 연결 자산 18조7391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10조9663억원 대비 70.9% 늘어났다. SK이노베이션의 자산 증가량인 12조3171억원 가운데 SK온이 7조7728억원으로 대부분을 책임진 셈이다.
그 외에 자산이 불어난 SK그룹 기업으로는 △SK스페셜티(13.7% 증가) △SK에코플랜트(13.4%) △SK디스커버리(별도, 7.6%) △SK케미칼(7.2%) △SK플라즈마(6.9%) △SK바이오팜(2.9%) △SK디앤디(2.5%) △SK(별도, 1.8%) 등이 있다.
자산이 감소한 기업은 △SK네트웍스(-0.3%) △SK가스(-1.4%) △SK텔레콤(-2.1%) △SK E&S(-3.3%) △SK하이닉스(-6.8%) △SK바이오사이언스(-8.5%) △에스엠코어(-11.1%) △SKC(-18.1%) △SK스퀘어(-22.1%)다.
SK하이닉스는 작년 9월 말 연결 자산 109조5458억원에서 올해 9월 말 102조495억원으로 1년 만에 7조4963억원이 감소했다. 부채의 경우 올해 9월 말 50조9605억원으로 작년 동기대비 14.7% 늘었지만 자본총계가 68조7232억원에서 55조2316억원으로 19.6% 급감했다. 자본총계 감소 원인은 올해 3분기 누적 7조7581억원의 순손실을 기록하는 등 이익잉여금이 줄어든 탓이다.
가장 자산 감소율이 높았던 SK스퀘어의 경우 올해 SK쉴더스 매각 등 자산 매각이 이뤄졌던 요인이 있었다.
비율적으로 부채 증가가 가장 많았던 계열사는 SK실트론이다. 올해 9월 말 3조7328억원으로 작년 9월 말 2조7610억원 대비 35.2% 늘어났다. △SK스페셜티(31.1% 증가) △SK바이오팜(23.3%) △SK플라즈마(17.8%)도 1년 만에 부채가 증가한 기업이다. △SK가스(-12.1%) △SKC(-21.0%) △SK바이오사이언스(-49.5%) △SK스퀘어(-65.1%)는 부채가 감소했다.

자본 증가 1등 기업은 SK에코플랜트다. 올해 9월 말 4조8243억원으로 1년 전인 3조6258억원 대비 33.1% 늘어났다. △SK이노베이션(21.5% 증가) △SK가스(16.8%) △SK디앤디(15.2%) △SK실트론(11.5%)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자본이 감소한 기업은 △SK스퀘어(9.6% 감소) △SK스페셜티(12.3%) △SKC(12.6%) △SK바이오팜(15.7%) △에스엠코어(17.7%) △SK하이닉스(19.6%) 등이다. SK하이닉스는 계열사 중 1년 만에 자본이 가장 많이 줄어든 계열사가 됐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알테오젠 자회사, '개발·유통' 일원화…2인 대표 체제
- [상호관세 후폭풍]포스코·현대제철, 美 중복관세 피했지만…가격전쟁 '본격화'
- [상호관세 후폭풍]핵심산업 리스크 '현실화'...제외품목도 '폭풍전야'
- [상호관세 후폭풍]멕시코 제외, 한숨돌린 자동차 부품사…투자 '예정대로'
- [상호관세 후폭풍]미국산 원유·LNG 수입 확대 '협상 카드'로 주목
- [상호관세 후폭풍]조선업, 미국 제조공백에 '전략적 가치' 부상
- [상호관세 후폭풍]생산량 34% 미국 수출, 타깃 1순위 자동차
- [상호관세 후폭풍]캐즘 장기화 부담이지만…K배터리 현지생산 '가시화'
- [2025 서울모빌리티쇼]무뇨스 현대차 사장 "美 관세에도 가격인상 계획없어"
- [2025 서울모빌리티쇼]HD현대사이트솔루션 대표 "북미 매출목표 유지한다"
박기수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캐시플로 모니터]한화 3형제 가족회사 한화에너지, 가용 현금만 5000억
- [조선업 리포트]한화오션, 든든한 자금줄 산은 덕 현금흐름 '이상무'
- [Financial Index/삼성그룹]삼성전자, 순현금만 93조…차입 부담 버거운 호텔신라
- [Financial Index/삼성그룹]삼성전자, 영업익 본 궤도로…수익성 독보적 1위 삼바
- [Financial Index/삼성그룹]삼성重 매출성장 1위, 삼바·삼전도 반등…고민 깊은 SDI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증자]한화에어로, 차입 조달했어도 부채비율 유럽과 '비슷'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증자]오션 연결로 부채비율 낮췄는데…유증이 최선이었나
- [Financial Index/삼성그룹]1년새 주가 어디가 올랐나…금융사·삼성重·삼바 '미소'
- 손재일 한화에어로 대표 "유증이 최선의 방법"
- ROE에 대한 고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