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엠벤처투자는 지금]GCT세미컨덕터 '잭팟' 얼마나 터질까⑤PI·고유계정 약 370억 투자, 뉴욕증시 상장 후 1000억 이상 회수 추산
구혜린 기자공개 2024-01-02 08:31:12
[편집자주]
엠벤처투자는 1986년 설립된 신영기술금융을 모태로 하는 1세대 창업투자회사다. 최근 사모펀드(PEF) 운용사 수앤파트너스와의 경영권 분쟁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최대주주에 맞먹는 지분을 보유하고 있는 수앤파트너스는 엠벤처투자 이사회를 장악한 뒤 변화를 꾀하고 있다. 더벨은 엠벤처투자의 분쟁 현황과 쟁점, 향후 움직임을 살펴본다.
이 기사는 2023년 12월 28일 15시52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엠벤처투자가 GCT세미컨덕터 상장으로 회수할 수 있는 자금은 얼마나 될까. 코스닥에서 뉴욕증시 상장으로 선회한 GCT세미컨덕터는 한때 엠벤처투자 경영권분쟁의 원인으로 지목됐던 곳이다. 엠벤처투자가 지난 2000년부터 결성한 모든 펀드 재원을 GCT세미컨덕터에 쏟은 만큼 성공적인 엑시트 성과에 대한 기대감이 컸기 때문이다.엠벤처투자는 보유 자금으로 펀드 고유계정 및 직접투자를 꾸준히 단행했다. 투자원금만 약 370억원에 달한다. GCT세미컨덕터의 밸류에이션이 초기 투자시점 대비 8배가량 뛴만큼 보수적인 멀티플을 적용해도 최소 1000억원 이상의 자금을 손에 쥘 것으로 예상된다.
28일 금융투자(IB) 업계에 따르면 GCT세미컨덕터는 최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S-4 증권신고서를 제출했다. GCT세미컨덕터는 스팩(SPAC, 기업인수목적회사) 합병 방식의 뉴욕증시 우회상장을 추진 중이다. 지난달 2일 상장된 스팩 '콩코드(Concord Acquisition Corp III)'와 합병 계약을 체결했다.
지난 1월 뉴욕증시 상장으로 선회한 이후 1년여 만에 결과를 낸 셈이다. GCT세미컨덕터는 지난해 4월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본부에 외국기업 기술특례 트랙으로 상장예비심사를 청구했다. 그러나 지난 1월 열린 한국거래소 시장위원회 심사 결과 최종 승인을 얻지 못하면서 뉴욕증시 상장으로 방향을 틀었다. 5G 칩셋 개발사인 GCT세미컨덕터는 실리콘밸리에 본사를 둔 미국법인이다. 최대주주는 코스닥 상장사 아나패스다.
재무적투자자(FI)인 엠벤처투자의 엑시트에도 청신호가 켜졌다. 엠벤처투자는 GCT세미컨덕터의 2대주주(지분율 약 10%)다. 청산 펀드를 제외한 1000억원가량의 잔존 펀드의 약 80%가 GCT세미컨덕터 투자 재원으로 쓰인 것으로 알려졌다. 홍성혁 전 엠벤처투자 대표에 따르면 엠벤처투자가 극 초기에 투자를 단행할 때 GCT세미컨덕터의 밸류에이션은 1000억원에 불과했다. 콩코드사와의 스팩 합병 계약시 GCT세미컨덕터의 밸류는 약 8800억원으로 평가받았다.
자기자본투자(PI)도 꾸준히 진행했기에 엠벤처투자가 직접 쥐게 될 수익이 상당할 것으로 보인다. 엠벤처투자의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 중 GCT세미컨덕터 지분에 대한 장부가액은 전년 말 기준 218억원으로 책정됐다. 엠벤처투자 펀드 고유계정으로도 150억원가량을 투입했다고 전했다. 상장 후 주가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보수적으로 평균 5배 멀티플을 적용하더라도 엠벤처투자는 1000억원 이상을 회수할 것으로 예상된다.
경영권 분쟁 과정에서 GCT세미컨덕터가 주목받은 배경이다. GCT세미컨덕터 투자에 '올인'한 홍성혁 전 대표는 수앤파트너스가 경영권 분쟁 소를 제기한 이유를 GCT세미컨덕터 엑시트에 따른 기대 수익 때문이라고 주장해왔다. 그는 경영권 프리미엄의 대가 70억원 상당과 GCT세미컨덕터 펀드 투자금 회수에 따른 성공보수를 확보하기로 하고 엠벤처투자 지분을 수앤파트너스에 양도했다. 엠벤처투자 모든 운용 펀드의 대펀인 만큼 1년간 사내이사직을 유지키로 했다.
엠벤처투자는 GCT세미컨덕터가 상장된 이후 상환받을 돈도 있다. 엠벤처투자는 GCT세미컨덕터의 완전자회사 GCT리서치에 2021년 44억원, 지난해 60억원, 올해 60억원을 운영자금 지원 목적으로 대여했다. 여기서 상환된 자금은 현재까지 4억원에 불과하다. 대여기간은 1년이지만, 만기를 연장함에 따라 160억원 모두 뉴욕증시 상장 이후 상환될 것으로 파악된다. 이율은 전년 대여금이 6.5%, 올해 대여금이 8.7%로 책정돼 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알테오젠 자회사, '개발·유통' 일원화…2인 대표 체제
- [상호관세 후폭풍]포스코·현대제철, 美 중복관세 피했지만…가격전쟁 '본격화'
- [상호관세 후폭풍]핵심산업 리스크 '현실화'...제외품목도 '폭풍전야'
- [상호관세 후폭풍]멕시코 제외, 한숨돌린 자동차 부품사…투자 '예정대로'
- [상호관세 후폭풍]미국산 원유·LNG 수입 확대 '협상 카드'로 주목
- [상호관세 후폭풍]조선업, 미국 제조공백에 '전략적 가치' 부상
- [상호관세 후폭풍]생산량 34% 미국 수출, 타깃 1순위 자동차
- [상호관세 후폭풍]캐즘 장기화 부담이지만…K배터리 현지생산 '가시화'
- [2025 서울모빌리티쇼]무뇨스 현대차 사장 "美 관세에도 가격인상 계획없어"
- [2025 서울모빌리티쇼]HD현대사이트솔루션 대표 "북미 매출목표 유지한다"
구혜린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1조 대어' 리브스메드, 미국 1800개 병원 공급망 뚫었다
- [출격 나선 롱숏 운용사]밸류시스템, 수익률 선방…'내러티브 숏' 집중
- [출격 나선 롱숏 운용사]'하반기 출범' 안다글로리, 전략 다양화 개시
- [출격 나선 롱숏 운용사]'대표 하우스' 타임폴리오 물만났다…'국장' 집중 모드
- KB운용 'RISE 미국은행TOP10' 첫 배당 언제쯤
- 타임폴리오, 공매도 재개에 100% 롱숏펀드 내놨다
- 한국투자리얼에셋운용, 인니 IDC 개발 프로젝트 '순항'
- 오라이언운용, 한파 뚫고 역대 최대 코벤펀드 클로징
- 타임폴리오, 삼성증권 독점 롱숏펀드 400억 '자금몰이'
- 코벤 준비하던 GVA운용, 순수 메자닌펀드 '선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