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행보' IMM인베, 인프라 자산 LP로 '블랙록' 유치 GS파워 투자 코인베펀드에 출자, 현금창출력·ESG 기준 눈높이 부합 관측
감병근 기자공개 2024-01-22 08:16:01
이 기사는 2024년 01월 18일 10시30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사모투자펀드(PEF) 운용사 IMM인베스트먼트가 기존 진행한 GS파워 투자의 신규 출자자(LP)로 블랙록자산운용을 유치하는 데 성공했다. 해외 주요 기관투자자가 LP로 합류한 첫 사례다. 최근 힘을 싣고 있는 글로벌 진출 행보에도 더욱 힘이 실릴 것이란 평가다.18일 투자업계에 따르면 IMM인베스트먼트는 최근 GS파워 투자를 위해 활용했던 후순위대출을 코인베스트먼트(Co-investment, 공동투자) 펀드로 교체하는 작업을 완료했다. 블랙록자산운용은 이 코인베스트먼트펀드에 출자했다.

IMM인베스트먼트가 해외 주요 기관투자자를 LP로 확보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기존 블라인드펀드에 해외 기관이 LP로 참여한 적은 있지만 인지도 면에서 글로벌 톱티어로 구분되는 블랙록자산운용에는 미치지 못하는 수준인 것으로 전해졌다.
업계에서는 블랙록자산운용이 GS파워의 현금창출력을 높게 평가한 것으로 보고 있다. GS파워는 GS그룹 내에서도 대표적인 캐시카우 역할을 하는 기업으로 손꼽힌다. 2017~2022년까지 합산 배당금이 3700억원을 상회했다.
이러한 배당이 가능한 배경에는 우수한 실적이 있다. 2022년의 경우에는 코로나19 완화에 따른 전력수요 증가 등으로 1809억원 규모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했다. 작년 9월까지 당기순이익 규모도 824억원에 이른다.
블랙록자산운용의 출자를 이끌어내기 위해 IMM인베스트먼트도 ESG 관련 내부 기준을 글로벌 수준으로 맞추기 위해 노력한 것으로 전해진다. 글로벌 주요 기관투자자들은 출자를 결정할 때 사업성 못지 않게 ESG 관련 기준들을 중요하게 여기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번 출자 확보로 IMM인베스트먼트의 글로벌 진출 행보에도 더욱 힘이 실릴 것이란 평가다. IMM인베스트먼트는 최근 수 년 동안 투자 뿐만 아니라 LP 풀을 해외로 확대하기 위해 꾸준히 노력해오고 있다. 작년에는 부동산 분야의 해외 투자자 확보 등을 목적으로 홍콩 대체투자사 Axe매니지먼트파트너스와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기도 했다.
IMM인베스트먼트는 이미 홍콩에 IMM인베스트먼트글로벌, 일본에 IMM재팬 등 법인도 확보하고 있다. 현재는 싱가포르 지사 설립을 위한 내부 준비가 진행 중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에이루트, 무상감자 결정
- [i-point]샌즈랩, 지식재산 경영인증 획득… IP 포트폴리오 강화 박차
- [i-point]한컴케어링크, 3년 연속 질병관리청 생산 과제 수행기관 선정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vs 라인메탈]주가만으로도 확실한 환원, 미래투자 차이점은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vs 라인메탈]안정적 배당 추구 vs 적극적 주주환원에 '알파'도 기대
- 교보생명, 보장성 비중 축소 속 실적·CSM 동시 감소
- BC카드, 신사업 선전에도 본업 매출 축소
- 푸본현대생명, 환율 변동성에 투자부문 적자
- 코리안리, 보험계약마진 증가… 킥스비율도 우상향
- [저축은행 서민금융 리포트]정책자금대출 경쟁 붙은 지주계, 앞서가는 하나저축
감병근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IMM의 이름값
- [LP&Earning]우본, 해외주식·대체투자 성과로 수익률 안정세 지속
- 박찬우 ICS 대표, 아워홈 이사회 합류
- [영상]코오롱, 내셔널타이틀 '한국오픈' 격전지 우정힐스 매물로 내놨다
- 코오롱, '충남권 명문' 우정힐스CC 매각 추진
- 체급 다른 롯데시네마-메가박스, 1대1 합병 추진 배경은
- [LP Radar]'하드캡 조건' 새마을금고 출자, 중소형사 수혜 기대감
- 엠플러스운용 매각 재개, '지분 70% 인수' 고정 조건
- 전동규 서진시스템 대표, 'FI 풋옵션 대비' 3000억 펀딩 추진
- LG화학 수처리 품는 글랜우드PE, '과점시장·성장성' 베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