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생명 글로벌 은행업 도전기]김승연 회장의 못다 이룬 꿈…30년 만의 결실①그리스·헝가리·말레이 등 꾸준히 문 두드려…규제 풀리자 인니 노부은행 인수 결단
김영은 기자공개 2024-05-07 12:47:48
[편집자주]
한화생명이 인도네시아 노부은행에 지분투자를 단행했다. 보험업에 이어 은행업에 진출하며 현지 시장의 장악력을 높이고 있다. 이러한 움직임은 한화그룹 오너가의 주도로 이루어지고 있어 더욱 주목받는다. 한화생명이 은행업 진출을 통해 이루고자 하는 것은 무엇일까. 글로벌 금융그룹을 지향하는 한화생명의 현주소와 시사점을 살펴본다.
이 기사는 2024년 05월 02일 15시36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한화생명이 인도네시아 은행 지분 인수 발표 다음 날인 지난 4월 25일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이 63빌딩을 방문했다. 이날 김 회장은 김동원 한화생명 사장(CGO)을 비롯 한화의 금융계열사 임직원 200여명과 만남을 가졌다. 김 회장은 이번 성과를 두고 "한계와 경계를 뛰어넘는 '그레이트 챌린저'로서의 모범 사례"라며 격려와 응원을 아끼지 않았다.한화생명의 은행업 진출은 김 회장에게 그 의미가 남다르다. 김 회장은 한화그룹이 한국화약그룹이던 시절부터 해외 은행을 인수하며 금융업에 대한 의지를 보여왔다. 한화그룹은 현재 국내는 물론 해외 진출을 통해 은행·보험·증권 등의 계열사를 거느린 글로벌 금융그룹으로 발돋움하고 있다.
◇한화생명 인수 전부터 해외 진출…헝가리 은행은 17년 경영
한화그룹이 은행업 진출을 꿈 꾼 건 1990년대부터다. 1993년 그리스 정부의 민영화 사업 일환으로 매물로 나왔던 ‘아테네은행’의 인수가 시작이었다. 김 회장이 직접 은행 회장직을 겸하며 관심을 기울였으나 1998년 IMF 위기로 인해 경영이 어려워지자 재매각했다.

그러나 글로벌 금융위기의 여파로 유럽경제가 침체돼 적자 실적이 이어졌다. 17년간 경영을 이어왔지만 결국 2013년 헝가리 제조업체에 매각을 단행했다.
그사이 한화그룹은 국내에서도 금융업의 비중을 늘려갔다. 김 회장은 2002년 부실금융회사였던 대한생명(현 한화생명)을 인수해 대표이사로 취임했다. 이후 경영에 매진해 6년만에 누적 손실을 털어내고 견실한 생보사로 성장시켰다.
김 회장은 재정비한 한화생명을 중심으로 다시 은행업 진출에 나섰다. 이번엔 동남아 시장으로 타겟을 변경했다. 이번에는 지분 인수가 아닌 말레이시아에 은행을 신규 설립하는 계획을 세웠다.
당시 말레이시아 현지 정부와 긍정적인 논의가 오갔지만 국내 금산분리 원칙이 발목을 잡았다. 산업자본은 은행의 지분을 4% 이내로만 소유할 수 있다는 금산분리 법이 당시 국내 뿐 아니라 해외 은행 인수에도 동일하게 적용됐다. 한화생명은 실질적인 지배주주가 한화그룹이었던 탓에 규제 대상이 됐다.
또한 금융업권별 고유 업무를 지정해 둔 '전업주의' 또한 장벽으로 존재했다. 보험업법 제115조 2항에 따르면 보험사의 대주주가 비금융주력자인 경우 은행을 자회사로 소유하지 못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로 인해 한화생명은 2년간 각고의 노력을 기울였으나 결국 규제의 장벽을 넘지 못하고 은행 설립을 중단해야 했다.
◇비은행 금융사 최초 해외 은행업 진출
지난해 금융당국의 겸업 규제가 완화되자 다시 은행업 도전을 향한 길이 열렸다. 2023년 7월 금융위는 제8차 금융규제혁신회의를 통해 금융사의 해외 자회사 소유 범위를 대폭 확대해 보험사가 해외 은행을 소유하는 것을 허용했다. 현지 법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겸업이 가능해진 것이다.

한화금융계열사 임직원을 격려하는 방명록을 작성하고 있다.
한화생명은 즉각 행동에 나섰다. 이번 타겟은 인도네시아였다. 현지에서 손보사와 자산운용사를 인수하며 우호적 관계를 쌓아오던 리포그룹과 또 한번 손을 잡았다. 긴밀한 협의 끝에 그룹 산하 금융사인 노부은행의 지분 40%를 인수하는 협상을 성공적으로 이끌어냈다.
한화생명의 은행업 진출은 그룹 차원에서 오랜 기간 목표 삼았던 숙원사업을 이뤘다는 점에서 뜻깊은 동시에 비은행 금융사 최초 은행업 진출이라는 점에서도 유의미한 행보다. 이번 은행업 인수가 확정되면 한화생명은 보험사 최초로 은행을 포함한 글로벌 금융그룹의 위치를 선점하게 된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VC 투자기업]삼쩜삼, 가입자 2300만명 돌파…성과와 과제
- 'K콘텐츠전략펀드' GP 2곳 선정 그쳐…재공고 예정
- [i-point]신테카바이오 "동물실험 단계적 폐지 수혜 기대"
- [변곡점 맞은 해운업]'퀀텀점프' 현대LNG해운, 선대 확장효과 '톡톡'
- [중간지주 배당수익 분석]HD한국조선해양 수익원천 자회사 '금융→조선' 이동
- [상호관세 후폭풍]트럼프의 '90일 유예·애플 지목', 삼성전자 득실은
- '반년 장고' 거래소, 제노스코 상장심위 개최 '미승인' 가닥
- [시큐리티 컴퍼니 리포트]수산아이앤티, 무차입 경영 비결 '16년 흑자'
- AIA생명, 실적-자본적정성 '양날의 검' 된 환율 변동
- [지방 저축은행은 지금]IBK저축, 영업권·총량 규제에 발목 잡힌 '서민금융'
김영은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지방은행vs인뱅 구도 변화]카카오뱅크, 지방은행과 다각도 협업 나서는 까닭
- 거대 양당 연이어 은행장 소집…관세 후폭풍 대응 논의
- [지방은행vs인뱅 구도 변화]확장성 제한적인 지방은행, 인뱅에서 돌파구 찾는다
- [금융지주 해외은행 실적 점검]iM·농협 미얀마 법인, 나란히 순익 회복세…성장 전략은 상이
- [지방은행vs인뱅 구도 변화]리테일 강자 된 인터넷은행…다음 타깃은 소호 금융
- [금융지주 해외은행 실적 점검]전북은행 PPCB, 포트폴리오 다변화 통했다…순익 '성장일로'
- [윤석열 대통령 탄핵]동력 잃은 금융 정책…백지화 가능성도
- [지방은행vs인뱅 구도 변화]인터넷은행 도입 10년…지방은행 위협하는 순익 성장
- 한국소호은행, 소상공인 금융 혁신 이뤄낼 경쟁력 세가지
- [금융지주 해외은행 실적 점검]NH농협은행, 글로벌 순익 기여도 10% 청사진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