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O 모니터]아이에스티이, '높은' SK 의존도…차입금도 부담SK계열 매출 비중 88%…공모자금 차입금 상환에 활용
안윤해 기자공개 2024-11-06 13:25:45
이 기사는 2024년 10월 31일 15시25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이차전지 반도체 장비 전문기업 아이에스티이가 한국거래소 예심 승인 하루만에 증권신고서를 제출하고 기업공개(IPO)에 속도를 내고 있다. 회사는 100% 신주 매출 공모구조와 수익 창출력을 갖췄지만 성공적인 증시 안착을 위해서는 매출처 편중 해소가 관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회사는 매출 편중 이슈 외에 차입금 의존도와 부채비율이 높은 점도 리스크로 작용하고 있다. 올해 반기 기준 아이에스티이의 차입금 의존도는 53.58%, 부채비율은 491.77%로 업종 평균치를 크게 웃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SK계열 매출 88%…관건은 매출처 편중 해소
31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아이에스티이는 증시 입성을 위해 속도를 내고 있다. 회사는 지난 28일 거래소로부터 예심 승인을 받은 직후 다음날인 29일 금융당국에 증권신고서를 제출했다. 기술특례상장 방식으로 상장하며 주관 업무는 KB증권이 맡았다.
아이에스티이는 100% 신주 발행으로 공모를 진행한다. 최대주주 등 임직원들이 자발적으로 긴 락업을 설정한 점도 긍정적인 포인트로 꼽힌다. 최대주주는 조창현 대표이사로 보유지분 42.97%를 3년간 의무보유하기로 했다. 이밖에 회사의 임직원들도 자발적 의무보유확약기간 추가해 1년6개월의 락업을 약속했다.
2013년에 설립된 아이에스티이는 반도체 장비를 개발하고 양산하는 전문기업이다. 고대역폭메모리(HBM)용 풉(웨이퍼 이송용기) 클리너와 패널레벨패키지(PLP)용 풉 클리너를 개발했다. 회사는 반도체 핵심 공정 장비인 플라즈마 기상화학 증착장비(PECVD) 개발에 성공했으며 SK하이닉스의 최종 국산화 장비 후보자로 선정되기도 했다.
SK하이닉스의 밸류체인에 포함된 것은 긍정적인 소식이지만 동시에 의존도가 높아 매출 비중이 과도하다는 점은 걸림돌이다. 주요 고객사들의 행보에 따라 회사의 매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서다.
올해 반기 기준 아이에스티이의 주요 제품인 풉 클리너의 매출액은 104억원으로, 이 가운데 국내외 SK하이닉스·SK실트론에 대한 납품으로 발생한 매출이 92억원으로 나타났다. 비중으로 보면 88% 이상이다. 이밖에 올해 반기까지 Automation 부문 매출에서도 SK하이닉스발 매출이 100%를 차지하면서 사실상 SK계열 매출처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다.
◇부채비율 491.77%…공모자금 일부 차입금 상환
아이에스티이는 차입금 의존도에도 적신호가 들어온 상태다. 앞서 회사는 지속적인 순손실로 결손금이 발생하면서 지난 2022년 자본잠식 상태에 빠진 바 있다. 이후 차입금의존도는 2022년 49.24%에서 지난해 57.2%까지 크게 늘어났다. 올해 상반기 기준 차입금 의존도는 53.58%로 비슷한 흐름을 지속하고 있다.

회사는 차입금이 증가하면서 부채비율도 높은 편을 유지하고 있다. 부채비율은 2021년 169%에서 지난해 891.82%로 급증했다. 아이에스티이는 지난해 말 KB증권으로부터 10억원에 달하는 제3자배정 유상증자를 통해 부채비율을 491.77%로 절반 이상을 낮췄다. 하지만 지난해 업종평균 부채비율이 90.58%인 점을 감안하면 여전히 과도한 수준이다. 이에 따라 회사는 이번 공모자금 155억원(공모가 하단 기준) 중 50억원을 차입금 상환에 활용하겠다는 계획이다.
한편, KB증권은 아이에스티이의 상장으로 3억~6억원의 차익을 거둘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말 KB증권은 제3자배정 유상증자를 통해 아이에스티이의 주식 7만175주를 주당 1만4250원에 취득했다. 총 취득금액은 약 10억원이다. 회사가 올해 1월 무상증자를 진행함에 따라 주식 수는 14만350주, 주당 단가는 7125원으로 변경됐다.
아이에스티이의 주당 희망공모가는 9700~1만1400원으로, KB증권은 희망공모가 기준 13억6000만~16억원의 수익이 예상된다. 1개월 보호예수가 걸려있는 점은 변수로 작용할 수 있지만 투자한지 1년 만에 최대 6억원의 차익을 거둘 예정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한컴라이프케어, 경북 산불 호흡보호장비 정비 지원
- [게임사 인건비 리포트]'효율 치중' 더블유게임즈, 미래 성장 '안갯속'
- [thebell interview]"젠시, AI가 상품 소개 작성…로봇 촬영까지"
- LG이노텍·LG디스플레이, 유리기판 사업화 시동
- [Company Watch]시노펙스, 반도체 필터 성장에 혈액투석 신사업까지 '본궤도'
- [i-point]제이엘케이, 'JLK-LVO' 혁신의료기기 통과
- [i-point]포커스에이아이, 차세대 나라장터 구축유공 표창장 수상
- [thebell interview]"매출 1000억 이어 신사업 두 마리 토끼 잡을 것"
- [Red & Blue]테마 바람 탄 아이스크림에듀, 사업 경쟁력 '재조명'
- 제노스코 '상장 불발' 이후, 오스코텍·메리츠 복잡한 셈법
안윤해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포이닉스 IPO]피어그룹 주가 하락, 밸류에이션 산정 '주목'
- 대신밸류리츠, IPO 주관사 '대신·한투·삼성·신한' 낙점
- [소노인터내셔널 IPO]상장 닻 올린다…6월 예심청구 가닥
- [한라캐스트 IPO]상장 목전서 순익 흑전…이사회 손질·CB전환도 완료
- [IPO 모니터]스팩합병 나선 뉴키즈온, 구주주 락업 눈길
- [판 바뀐 종투사 제도]PBS 대상 확대…실효성은
- [Deal Story]LX인터, 복귀전서 1조 수요…언더금리 확보
- [Deal Story]CJ제일제당, 공모채 조 단위 수요…금리도 '만족'
- [Deal Story]한화호텔앤드리조트 공모채 2배 수요 확보 '완판'
- 뉴로핏, 밸류 마지노선 '미전환 CB'로 결정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