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모주 재간접펀드 퇴출…업계 "신생사 고사 위기" 금융당국, 중복배정 제재…재간접 유인 사라져
황원지 기자공개 2025-02-04 16:11:59
이 기사는 2025년 01월 22일 09시00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IPO 제도개선방안에 공모주 재간접펀드가 업계에서 사실상 퇴출될 전망이다. 공모주 재간접은 펀딩한 자금을 재간접 펀드로 내려 배정 물량을 극대화해 수익률을 극대화하는 전략이다. 지난해 초부터 이 전략을 주력으로 삼는 하우스가 늘어나면서 당국에서 제도 개선을 예고한 바 있다.22일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 한국거래소, 금융투자협회, 자본시장연구원은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 1층에서 공동세미나를 열고 IPO 및 상장폐지 제도 개선 방안을 공개했다.
국내 사모펀드 운용사들의 눈길이 쏠린 건 기관 수요예측 참여자격 강화다. 이전까지 고유재산 참여시에만 존재하던 등록기관이나 총위탁재산 규모 관련 자격요건을 운용재산에도 동일하게 적용하기로 했다. 재간접펀드나 해외 페이퍼컴퍼니를 이용한 우회적 참여도 제한한다는 방침이다.
공모주 재간접 펀드들에는 대형 악재다. 공모주 재간접이란 펀딩한 운용자산의 일부를 하위 재간접 펀드로 내려 공모주 배정을 극대화하는 전략이다. 예를 들어 A자산운용사가 B펀드를 리테일에서 자금을 모아 200억원 규모로 설정한다면, 이중 100억원을 C자산운용사의 D펀드에 재투자하는 것이다. 이 경우 200억원 규모의 A펀드와 100억원 규모의 D펀드가 모두 공모주 청약에 참여할 수 있어 배정 물량을 늘릴 수 있다.
이번 정책은 이같은 편법을 막는다. 앞으로는 200억원 규모의 B 펀드를 만들고, 이중 100억원을 D펀드에 재간접했다면 B펀드도 100억원만큼만 물량을 받을 수 있게 한다. 펀드 설정액 규모를 한도로 공모주 청약 참여에 제한을 건 셈이다. 수익률을 끌어올릴 수 없게 되기에 일반 공모주 펀드 입장에서는 더이상 재간접 전략을 사용할 이유가 없다.
한 공모주 운용사 관계자는 “재간접 펀드를 더 이상 만들 이유가 사라진 셈”이라며 “작년에 재간접 방식을 통해 AUM을 빠르게 키웠던 신생 운용사들은 사실상 고사 상태에 빠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러한 재간접 전략은 수년 전부터 운용업계에서 활용해왔던 방식이다. 다만 2~3년 전부터 공모주 열풍에 사모 공모주펀드가 인기를 끌면서 상황이 달라졌다. 재작년 말부터 재간접 전략을 사용하는 펀드가 다수 설정됐고, 재간접만 전문으로 하는 하우스가 등장하기도 했다. 메자닌이나 NPL 펀드에도 공모주 재간접 전략을 추가하는 등 타 전략 펀드에도 영향을 미칠 정도로 인기를 끌었다.
재간접 전략이 인기를 끌자 당국에서는 지난해 6월 우려를 표하며 규제를 예고한 바 있다. 일반 투자자와 비교해 펀드 투자자가 공모주 청약에서 유리한 위치에 설 수 있다는 점 등이 지적됐다. 작년 6월에는 금융투자협회 차원에서 규율을 정하는 방안 등이 논의됐다. 하지만 이미 설정된 공모주 재간접 펀드의 규모가 컸고, 실제로 중복청약을 막을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을 마련해야 한다는 점 등으로 규제가 미뤄졌다.
다만 재간접을 주는 대형사들의 경우 수익률 일부 하락 외에는 큰 영향이 없을 것으로 보인다. 작년부터 이미 자정작용이 진행되기도 했다. 지난해 미래에셋자산운용의 공모펀드에서 투자했던 재간접 사모펀드가 손실을 내면서 자금을 내줬던 대형 운용사들이 경계를 높였기 때문이다. 수익자들이 반대하는 경우가 늘어나면서 자금줄을 쥔 대형 운용사들이 재간접 펀드를 만들지 않는 경향이 강해졌다. 업계에 따르면 공모주 펀드 중에서 재간접 펀드의 비중이 70%에서 40%정도까지 줄어든 것으로 전해진다.
한 공모주 펀드 운용역은 “지난해부터 자정작용으로 대형 운용사나, 기관 자금이 많은 운용사들은 재간접으로 내리는 경우가 많이 줄어든 것으로 안다”며 “재간접을 줬던 대형사들은 큰 타격이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AD]수출입은행, 공급망 안정화에 2000억 지원
- [트럼프발 관세전쟁]회사채 시장 영향 제한적…국채금리는 '변수'
- [트럼프발 관세전쟁]금리 상승 압박 확대, 바이오 자금줄 '직격탄'
- [트럼프발 관세전쟁]조단위 조달 앞둔 LG엔솔, 투자자 설득에 총력전
- [트럼프발 관세전쟁]‘기회의 땅’ 이종통화채 불붙을까…호주·대만 ‘거론'
- IPO 제도 개선안, 메자닌 전문 운용사들 '반색'
- [ETF 人사이드]미래에셋 키맨 품는 키움운용, ETF 도약 노린다
- 공모주 재간접펀드 철퇴, '공모가 정상화' 계기될까
- [매니저 퍼포먼스]‘최광욱 키즈’ 류원희, 하이일드로 성공적 데뷔전
- [WM 풍향계]우투증권, '삼성 출신 PB' 수혈 지속…리테일 확장 가속
황원지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매니저 퍼포먼스]‘최광욱 키즈’ 류원희, 하이일드로 성공적 데뷔전
- 코벤펀드 락업 불똥…"정책펀드 혜택 무력화" 반발
- 공모주 재간접펀드 퇴출…업계 "신생사 고사 위기"
- 더블유운용, 올해 첫 '개방형 롱온리' 내놓는다
- '글로벌 겨냥' 라이프운용, 한·미·중 투자 'LUCKY' 내놨다
-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법안 점검]'구원투수 기대' 국내투자형 ISA, 탄핵정국에 무기한 연기
- '한투운용 ACE' 3위 재탈환…ETF 경쟁 격화
- [ELS Monthly]발행잔액 50조 턱걸이…연말효과도 역부족
-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법안 점검]배당소득 분리과세 '지지부진'…난감한 운용업계
- 금융당국, 미래에셋운용에 ETF 업무절차 개선 요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