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rket Watch]공모채 경쟁서 완판금리 하향 곡선…GS에너지 두각신세계·LG유플 제치고 GS에너지 발행금리 최저치 예고
윤진현 기자공개 2025-02-11 07:59:56
이 기사는 2025년 02월 07일 13시50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연초부터 공모채 이슈어들의 조달 경쟁이 심화하고 있다. 풍부한 자금이 몰리며 이슈어들의 발행 금리 수준도 점차 낮아지는 현상이 관측된다. 이런 가운데 GS에너지가 우량 이슈어를 제치고 올해 최저치 수준의 발행금리(절대금리)를 기록할 가능성이 높다고 전해진다.◇1.1조 수요 모은 GS에너지, 올해 절대금리 최저치 '전망'
7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GS에너지는 최근 공모채 발행을 위한 기관투자자 수요예측에서 1조1450억원의 수요를 확인했다. 결국 GS에너지는 전일(6일) 최대한도로 증액하는 안을 확정했다. 3년물과 5년물을 각각 2200억원, 800억원씩 발행할 계획이다. 당초 모집액은 3년물 1000억원, 5년물 500억원으로 제시했다.
증액 발행으로 인해 가산금리도 소폭 높아졌다. 개별 민평금리 대비 3년물 마이너스(-) 5bp, 5년물 -4bp 수준으로 확정했다. 수요예측에서는 모집액 기준 -10~-5bp의 가산금리를 확인한 바 있다. 5bp 정도를 프리미엄으로 제시한 모습이다.
향후 GS에너지의 발행금리(절대금리)는 3년물 2.934%, 5년물 3.006%로 전망된다. 수요예측일 1영업일 전인 4일 기준 개별 민평금리에 증액 발행 기준 가산금리를 적용한 수치에 해당한다.
이 금리 수준이 발행일까지 유지될 경우 올해 공모채 절대금리 중 최저치로 기록될 가능성이 높다. 현시점 기준 공모채 발행금리 최저치는 트랜치별로 3년물 신세계(2.939%), 5년물 LG유플러스(3.006%)로 분석된다.
GS에너지와 마찬가지로 AA급 이슈어들이 저금리 조달에 한창인 모습이다. 연초부터 이슈어들의 공모채 조달이 집중되고 있는 가운데 더 나은 조건으로 발행을 마치기 위한 경쟁이 치열하다. 이슈어들의 발행 금리가 약 1bp씩 밖에 차이가 나지 않는 상황인 점에서도 이 특징이 고스란히 드러난다.

◇저비용 조달 경쟁 '격화'…AAA부터 BBB급까지 연이어 '등장'
투자자들은 GS에너지가 액화천연가스(LNG)와 수소 에너지 자원을 확보해 에너지 분야 경쟁력이 강화된 점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지속적인 투자 지출에도 불구하고 보유 자산 매각과 수익 기반을 확대하는 등 재무부담을 통제하고 있다는 점에서 추가점을 얻었다.
IB 업계 관계자는 "GS에너지의 안정적인 신인도에 1조원을 훌쩍 웃도는 자금이 모인 모습"이라며 "투자 지출이 큼에도 불구하고 재무부담을 통제하고 있는 점에 투자자들이 긍정적인 평가를 내놨다"고 밝혔다.
당분간 회사채 시장은 우량 이슈어들로 붐빌 전망이다. AAA급 SK텔레콤은 물론 AA급 현대트랜시스, 코리아에너지터미널,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호텔롯데 등이 2월 내 발행을 준비 중이다.
게다가 하이일드 채권도 도전장을 냈다. 한화오션(BBB+), AJ네트웍스(BBB+), 이랜드월드(BBB0) 등이 공모채 발행 채비에 나섰다. 금리 조정기에 이들 기업의 저금리 조달 경쟁은 보다 심화할 것으로 분석된다.
또 다른 IB 업계 관계자는 "연초부터 공모채 시장이 이슈어들로 붐비고 있는 가운데 이들 기업의 저비용 조달을 위한 눈치싸움이 이어질 전망"이라며 "이달 말까진 이 추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고 전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영상/Red & Blue]현대엘리베이터 '주주환원, 리포트, 실적' 삼박자
- 기지개 켜는 인성정보의 '헬스케어'
- [i-point]인텔리안테크, 정부 저궤도 위성통신망 구축 '핵심'
- [NHN 리빌딩]'아픈 손가락' 콘텐츠, 더디지만 잠재력 확신
- [영상]‘메타가 탐낸’ 퓨리오사AI의 백준호 대표에게 들었다…회사의 향후 계획은
- [i-point]넥스턴바이오, 흡수합병 소식에 '강세'
- [i-point]필옵틱스, TGV 검사장비 개발 "유리기판 라인업 확대"
- [SKT를 움직이는 사람들]하민용 AIDC 사업부장, 블랙웰 '조기 선점' 관건
- [디아이동일 줌인]자산 재배치 가시화, 보유 자산 활용 일환
- [고운세상코스메틱은 지금]로레알그룹 편입, 지분가치 최소 8배 점프 근거는
윤진현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Korean Paper]외평채 주관사단 5곳 확정…'토종IB' KB증권 기용
- [Korean Paper]막오른 외평채 PT 경쟁…국내외 IB 초청장 수령
- [무신사 IPO]FI 요구 밸류 4조부터…미룰수록 눈높이 '고공행진'
- [Korean Paper]"은행채 잡자" 국민은행 외화채에 100억달러 운집
- [Korean Paper]철강 디스카운트 없었다…포스코홀딩스 달러채 흥행
- [기술평가 모델 점검]기관별 역량 격차 우려…거래소 '사전협의' 넓힌다
- [New Issuer]한국물 데뷔 도전 포스코홀딩스, '장기물' 베팅 전략
- [Korean Paper]로드쇼만 세차례 KT&G, 공격적 마케팅에 투자자 화답
- [Korean Paper]'한국물 데뷔' 한화퓨처프루프, 글로벌 시장서 안밀린다
- [롯데글로벌로지스 IPO]롯데그룹도 '최단기' 보호예수...오버행 리스크 발생할까